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반백년 간 받았던 술상 중 최고의 술상입니다. 각각의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군더더기 없이 깜끔하고 단아한 술상이었지요.
 반백년 간 받았던 술상 중 최고의 술상입니다. 각각의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군더더기 없이 깜끔하고 단아한 술상이었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최근 봄비가 잦았습니다. 봄 가뭄을 말끔히 해소시킨 단비였지요. 땅과 동식물이 갈증을 풀었다니 기쁩니다. 반대로 흐린 날씨는 술꾼에게 '~탓'을 종용했습니다. 날씨 덕에 술 갈증이 오히려 심했으니까. 술 잔 기울이길 피하려고 스님과 마주 앉아 차 마시는 중에도 목은 끊임없이 탔습니다. 타는 목마름이었지요. 지인에게 문자로 도움을 청했습니다.

"막걸리 두 통 사, 절집으로 오세요."

지인까지 "녭!" 하며, 흔쾌히 동의했습니다. 안 봐도 뻔합니다. '이럴 때 아니면 언제 절집에서 내놓고 술을 마시겠냐!'는 거죠. 절집에서 마시는 술은 속세에서 마시는 술과는 격이 다르다지요. 고상한 말로 '곡차(穀茶)'라나. 지인이 막걸리를 사 들고 도착했습니다. 그제야 술꾼 얼굴에 화색이 돌았습니다.

절집에서 곡차 한 잔 마시면 좋겠다고? '때로는…'

지리산 청학동에서 가져 온 곶감이 막걸리 안주로 오를 줄이야!
 지리산 청학동에서 가져 온 곶감이 막걸리 안주로 오를 줄이야!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아무리 염치없는 중생이라지만, 절집에서 내놓고 곡차 마시겠단 소린 못하겠더군요. "술은 군 생활 1년을 제외하곤 평생 입에 대 본 적이 없다"던 스님 눈치를 살폈습니다. 차를 접을 생각을 아예 하질 않는 겁니다. 그래 티 나게 은근슬쩍 말을 던졌습니다.

"곡차 한 잔 마시면 좋겠는데…."

그제야 스님, "요것까지만 마시세!"하셨습니다. 마시던 차는 음미는커녕 급하게 홀라당 마셨습니다. 스님, 자리를 분연히 털고 일어나 밖으로 나가시더군요. 그랬는데 금방 다시 들어오시는 겁니다. 그러면서 하시는 말씀.

"요게, 이래봬도 대웅전 서까래로 쓰던 목재로 만든 찻상이야. 테두리에 연꽃 문양을 넣었고."

찻상만 들고 오신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웬 걸. 찻상 위에는 막걸리 두 병과 곶감이 놓여 있었습니다. 어찌나 반갑던지. 몸짓과 말로 표현은 안했지만, 마음속으론 발딱 일어나 '아이고 고맙습니다, 스님'을 반복하며 허리까지 몇 번이고 구부렸습니다. 스님께서 술꾼의 격한 환영을 읽으신 듯, 한 수 더 거드셨습니다.

왜, 막걸리 두 통 사오라 했는지 아시는가?

죽공예 하는 지인과 곡차를 나눠 마셨지요. 막걸리는 명품으로 꼽히는 '여수 생막걸리'였지요. 이 막걸리에는 임용택 씨의 장인 정신이 녹아 있습지요.
 죽공예 하는 지인과 곡차를 나눠 마셨지요. 막걸리는 명품으로 꼽히는 '여수 생막걸리'였지요. 이 막걸리에는 임용택 씨의 장인 정신이 녹아 있습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이왕이면 곡차 마시는 잔도 운치 있는 찻사발이 좋겠지?"
"스님께서 뭘 아시네."

두 말하면 잔소리. 스님께선 잘 사용하지 않고, 고이고이 모셔 두었던 투박한 사발 두 개를 꺼내셨습니다. 곡차 잔을 받아 들었습니다. 잔은 울퉁불퉁한 표면과 반들반들한 유약이 혼재된 질박한 '자환'이었지요. 이 정도면 신선놀음을 시작해도 무방하지, 싶었습니다. 막걸리 사 온 지인과 곡차 앞에 앉았습니다.

"한 잔 받으십시오."

지인의 권유에 잔을 들었습니다. 졸졸졸졸~, 곡차 따르는 소리가 은쟁반 위를 구르는 구슬소리 같았습니다. 지인 잔에도 적당히 부었습니다. '쨍' 잔을 부딪친 후, 한 모금 마셨습니다. 목구멍 넘어가는 곡차가 묘하게 편안했고, 가슴은 '쏴~'했습니다. 지인에게 물었습니다.

"왜, 막걸리 두 통 사오라 했는지 아시는가?"
"글쎄요…."
"한 통은 부족하고, 두 통은 적당하고, 세 통은 과하고. 차는 분별이 있지."
"그 말이 맞습니다."

"맛난 김치가 있는데 묵은 김치도 좀 주까?"

곡차 상이 곧 비움의 미학이 녹아있는 발우공양이었지요. 행복했습니다.
 곡차 상이 곧 비움의 미학이 녹아있는 발우공양이었지요. 행복했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스님, 뒤에서 들으시고, '허~ 요놈 봐라'시듯, 빙그레 웃으시며 하시는 말씀.

"맛난 김치가 있는데 묵은 김치도 좀 줄까?"
"주신다면 감사하지요."

이심전심이었습니다. 곡차(막걸리)의 다식(안주)으로 지리산 청학동에서 가져 온 곶감만으론 2% 부족하지 싶었는데, 발효식품의 대명사인 김치가 부족함을 메운 겁니다. 아주 정갈한 한상차림이었습니다. 보기만 해도 흐뭇했습니다. 덤으로 여유까지 생겼습니다. 이 곡차 상은 반백년을 넘어 사는 동안 받아 본 술상 중 단연 '최고의 술상'이었습니다.

이쯤해서 이실직고 해야겠습니다. 예전엔 술 마셨다 하면 끝장 보는 아주 미련 곰탱이 술꾼이었지요. 안되겠다 싶었습니다. 노력하니 차츰차츰 변하더군요. 이제야 '절주의 미학'을 알게 되었지요, 간혹 '미학'이고 '나발'이고 할 때가 있습니다만, 때와 장소의 분별이 있으니 한 시름 놓았습니다.

곡차는 점점 비워졌습니다. 배는 차츰 불렀습니다. 결국 빈 그릇만 남았지요. 싹싹 비움의 미학이 가미된 넉넉한 한 끼 발우공양에 행복했습니다. 당분간 타는 목마름은 없을 듯합니다. 대신, 변하지 않는 진리에의 갈구만이 남을 듯합니다. 인생이란?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태그:#최고의 술상, #곡차, #발우공양, #막걸리, #비움의 미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