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강원도교육청 앞에서 '차별철폐' 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는 강원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소속 두 노조 조합원들
▲ 강원도교육청 앞에 모인 교육공무직 노동자 강원도교육청 앞에서 '차별철폐' 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는 강원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소속 두 노조 조합원들
ⓒ 최고봉

관련사진보기


'강원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가 함께하는 도교육청의 반인권적 노동탄압 규탄 및 총파업 결의대회'에 참가한 노동자들이 집회를 갖고 있다.
▲ '강원도교육청의 반인권적 노동탄압 규탄 및 총파업 결의대회' 참가자들 '강원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가 함께하는 도교육청의 반인권적 노동탄압 규탄 및 총파업 결의대회'에 참가한 노동자들이 집회를 갖고 있다.
ⓒ 최고봉

관련사진보기


임금교섭 과정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교육공무직 노조가 강원도교육청을 규탄하는 집회가 4월 2일 도교육청 후문에서 열렸다. 작년 11월 당시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가 파업에 돌입한 이후 약 4개월 만에 다시 등장한 모습이었다.

강원도교육청 규탄 집회에 200여명 운집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강원지부(지부장 정유정)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강원지부(지부장 우형음)가 구성한 '강원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소속 180여 명의 조합원과 연대단체 회원 20여 명이 참가한 이날 집회는 강원도교육청 성토장을 방불케 했다.

조합원들은 평일 저녁 춘천에서 열리는 집회에 참가하기 위해 조퇴까지 냈다. 특히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와 전교조 강원지부 등 연대단체들도 대거 참석하여 강원도교육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에 앞서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강원지부 농성장에서는 '강원교육노조협의회'가 열려 교육공무직 노조 측에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이날 집회에서 연설을 한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이태의 본부장은 "고용안정, 처우개선, 호봉제 다 약속했던 민병희 교육감이 이제는 차별 철폐를 외면한다"며 "학교에서부터 차별을 없애나가야 한다"고 호소했다.

열흘 가량의 농성에 대상포진으로 고통받고 있는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정유정 강원지부장은 "강원도교육청은 교섭자리에서 예산부족, 수용불가를 앵무새처럼 외쳤다"며 "학교에서부터 차별을 당연시 하고 있다"고 강원도교육청을 비판했다.

정유정 지부장이 농성을 시작할 무렵 강원도교육청은 피켓을 뺏고, 문을 모두 걸어 잠근 것도 모자라 조명을 모두 꺼 시민사회단체와 여러 노조의 반발을 샀다.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본부장 유재춘)와 전교조 강원지부(지부장 김원만) 등 여러 단체의 항의로 현재는 농성장인 도교육청 본관 1층 로비 출입제한이 풀린 상황이다.

정액급식비, 명절휴가비, 장기근속수당 상한선 철폐가 쟁점

비가 내리는 가운데에서도 직종 차별 없는 밥값(정액급식비) 지급,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는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이 우비를 입고 집회를 갖고 있다.
▲ 우비를 입은 교육공무직 노동자 비가 내리는 가운데에서도 직종 차별 없는 밥값(정액급식비) 지급,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는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이 우비를 입고 집회를 갖고 있다.
ⓒ 최고봉

관련사진보기


강원도교육청을 규탄하는 집회를 마치고 다시 농성에 들어가는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정유정 지부장 등 노조 임원을 참가자들이 격려하고 있다.
▲ 다시 농성에 들어가는 교육공무직본부 강원지부 임원 등 강원도교육청을 규탄하는 집회를 마치고 다시 농성에 들어가는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정유정 지부장 등 노조 임원을 참가자들이 격려하고 있다.
ⓒ 최고봉

관련사진보기


이에 앞서 강원도교육청은 ▲ 일부 직종은 임금을 동결하고, 일부만 3.8%를 인상할 것 ▲ 정액급식비를 임금 160만 원 이하인 직종에 한해 월5만 원씩 지급하되 단시간 근로자와 강사직종, 대체인력은 제외 ▲ 명절휴가비(현재는 20만 원을 2회 지급) 인상 불가 ▲ 장기근속수당 상한선 철폐 불가 등의 임금교섭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강원지부 등 두 노조는 이러한 도교육청의 교섭안을 거부했다. "일부 직종만 임금을 인상하거나 정액급식비를 지급하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 노조 측의 입장이다. 특히, 가장 약자인 단시간 근로자와 대체인력 등에게 정액급식비를 주지 말자는 도교육청의 입장이 차별을 확대한다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현재 일부 시도는 모든 교육공무직의 임금을 공무원 임금인상률인 3.8% 인상하고, 정액급식비를 월8만 원씩 지급하는 것을 합의했다. 광주교육청은 55만 원의 상여금을 별도로 지급하고 있기도 하다. 명절휴가비를 인상한 지역도 있다. 그러나 강원도교육청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감소, 누리과정예산 부담 등으로 교육공무직 처우개선을 위한 재정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강원도교육청과의 임금교섭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강원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를 구성한 두 노조는 조합원교육을 통해 투쟁수위를 높여나갈 예정이다. 노조 측은 4월 2일 결의대회를 시작으로 4월 16, 17일 이틀간 공동파업을 벌여 강원도교육청을 압박한다는 계획이다.


태그:#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 #강원도교육청, #임금교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