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순신의 조선수군 재건로를 따라가는 여행책자 '명량으로 가는 길' 표지. 삼도수군통제사로 다시 임명된 이순신이 칠천량 전투에서 궤멸된 조선수군을 재건하며 명량대첩의 현장인 울돌목으로 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이순신의 조선수군 재건로를 따라가는 여행책자 '명량으로 가는 길' 표지. 삼도수군통제사로 다시 임명된 이순신이 칠천량 전투에서 궤멸된 조선수군을 재건하며 명량대첩의 현장인 울돌목으로 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과 건곤일척의 명량대첩을 앞둔 이순신이 전라남도 일대에서 군사를 모집하고 병참물자와 군량미를 확보한, 이른바 조선수군 재건로를 따라가는 <명량으로 가는 길> 안내 책자와 지도가 나왔다.

전라남도가 펴낸 이 책자는 218쪽 분량의 전면 컬러로 백의종군하던 이순신이 1597년 8월 3일(양력 9월 13일) 삼도수군통제사로 다시 임명된 이후 전라남도 일대에서 조선수군을 재건해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끄는 과정이 소상히 담겨 있다.

이순신의 조선수군 재건 과정은 구례에서 황대중 등 군관 9명과 병사 6명으로 시작해 곡성, 순천, 보성으로 이어졌다. 일본군이 뒤쫓아 오는 긴박한 상황에서 군사와 군기, 군량, 군선을 복원하는 과정이었다. 조양창과 양산원의 집을 비롯 열선루, 백사정, 군영구미가 보성에 속한다. 장흥 회령포, 해남 이진과 어란, 진도 벽파진, 다시 해남 우수영으로 이어지는 노정이다.

조선수군을 재건하며 울돌목으로 가던 이순신이 하룻밤 유숙했던 곡성 석곡 대황강변의 능파정 터. 당시 이순신은 여기에 있던 능파정에서 신대년을 만났다.
 조선수군을 재건하며 울돌목으로 가던 이순신이 하룻밤 유숙했던 곡성 석곡 대황강변의 능파정 터. 당시 이순신은 여기에 있던 능파정에서 신대년을 만났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순천 낙안읍성 민속마을 객사 뒤에 있는 푸조나무. 1598년 순천 왜교성전투를 앞둔 이순신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승리를 기원하며 심었다고 전해진다.
 순천 낙안읍성 민속마을 객사 뒤에 있는 푸조나무. 1598년 순천 왜교성전투를 앞둔 이순신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승리를 기원하며 심었다고 전해진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이순신은 구례와 곡성에서 병사들을 모으고 순천에선 무기와 대포, 화약, 화살을 구했다. 보성에선 군량미를 다량 확보했다. 조정의 수군 철폐령에 맞서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전선이 있다(今臣戰船 尙有十二)'는 내용의 장계를 써서 상소를 올린 곳도 보성이었다. 장흥에선 조선수군의 남은 함대 12척을 회수해 수군의 면모를 갖췄다.

이순신은 이렇게 재건한 조선수군으로 1597년 9월 16일(양력 10월 26일) 울돌목에서 세계 해전사에 길이 빛나는 명량대첩의 승리를 일궈냈다. 조정의 지원을 받기는커녕 수군 철폐령까지 내려지는 악조건 속에서도 전라남도 일원에서 조선수군 재건에 성공한 결과였다. 목숨까지도 기꺼이 내놓은 남도 백성들의 지원 덕분이었다.

1597년 남도수군통제사로 다시 임명된 이순신이 궤멸된 조선수군을 재건하며 지났던 노정도. 구례에서 곡성, 순천, 보성, 장흥, 강진, 해남, 진도로 이어지는 길이다.
 1597년 남도수군통제사로 다시 임명된 이순신이 궤멸된 조선수군을 재건하며 지났던 노정도. 구례에서 곡성, 순천, 보성, 장흥, 강진, 해남, 진도로 이어지는 길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명량으로 가는 길>은 당시 이순신이 조선수군을 재건하면서 지났던 이 길을 따라간다. 내륙의 길은 내륙으로, 바닷길을 통해 이동을 한 장흥 회진(회령포)에서 해남 이진과 어란, 진도 벽파, 해남 우수영으로 가는 길은 뭍에서 조망하는 구간으로 대신한다. 길은 전남 연해안 8개 시·군을 연결하며 총 연장 500㎞에 이른다.

남도 이순신길 조선수군 재건로는 걷는 길 80㎞와 자전거 길 40㎞, 자동차 길 380㎞로 이뤄져 있다. 지역별로는 구례 37㎞, 곡성 64㎞, 순천 78㎞, 보성 60㎞, 장흥 75㎞, 강진 68㎞, 진도 12㎞, 해남 106㎞ 등이다.

책자와 지도에는 이순신의 조선수군 재건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체 지도와 함께 구간별 상세 지도가 그려져 있다. 정유재란 당시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도록 날짜별 상황을 흥미진진하게 묘사하고 구간마다 당시의 상황과 현재의 설명, 해설판 위치 등이 소개돼 있다.

주요 지점을 길 도우미(내비게이션)에 의지해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정확한 주소도 덧붙여 놓았다. 주변의 먹을 곳과 묵을 곳, 가볼 곳 그리고 특산물과 문의 전화번호는 덤이다.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을 따라가며 주변의 관광지까지 함께 둘러볼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조선수군을 재건하던 이순신이 다량의 군량미를 손에 넣었던 보성의 조양창 터.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고내마을에 있다.
 조선수군을 재건하던 이순신이 다량의 군량미를 손에 넣었던 보성의 조양창 터.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고내마을에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과 조선수군, 승병과 의병들의 전투 모습. 이순신 관련 최초의 사당인 여수 충민사에 조각돼 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과 조선수군, 승병과 의병들의 전투 모습. 이순신 관련 최초의 사당인 여수 충민사에 조각돼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전남도는 이 책자와 안내지도를 학생들의 역사 탐방과 일반인들의 답사여행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의 초·중·고교와 대학교, 교육청, 청소년 수련시설, 군부대 등에 배부하고 있다. 남도 이순신길을 답사하려는 여행객들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전국의 주요 여행사 등에도 보내고 있다.

심남식 전남도 관광과장은 "남도 이순신길 조선수군 재건로의 주요 거점 64곳에 현재 안내 해설판을 설치하고 있다"면서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의 흔적을 따라가는 조선수군 재건로를 지속적으로 알려 전남관광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진도에 있는 정유재란 순절묘역. 명량대첩을 비롯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과 싸우다 순절한 장수와 군인, 의병들을 모신 모역이다.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도평리에 있다.
 진도에 있는 정유재란 순절묘역. 명량대첩을 비롯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과 싸우다 순절한 장수와 군인, 의병들을 모신 모역이다.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도평리에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태그:#명량으로가는길, #남도 이순신길, #조선수군재건로, #조양창, #정유재란 순절묘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찰이 일상이고, 일상이 해찰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전남도청에서 홍보 업무를 맡고 있고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