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창원시민 328명이 '5·24 조치 철회'를 촉구했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경남본부 창원지부(아래 6·15창원지부)는 3일 창원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28명의 시민 명의로 "남북교류, 경제협력 가로막는 5·24 조치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번 선언에는 창원지역 대학생뿐만 아니라 창원시의원과 노동자 등도 참가했다. 5·24 조치란 2010년 5월 24일 이명박 정부가 발표한 대북제재 조치를 말한다. 이 조치는 그해 3월 26일 일어났던 천안함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나온 것이다.

6·15창원지부는 "박근혜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통일의 길을 열어가겠다고 밝혔다"라면서 "정상회담을 제안하고 남북공동행사를 언급하는가 하면 DMZ에 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일들은 5·24 조치를 해제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경남본부 창원지부는 3일 창원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328명의 시민 명의로 “남북교류, 경제협력 가로막는 5.24조치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경남본부 창원지부는 3일 창원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328명의 시민 명의로 “남북교류, 경제협력 가로막는 5.24조치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이들은 "민족 공동번영의 희망을 담아 진행된 20년 동안의 남북경제교역은 모두 중단됐다"라면서 "남북의 선박이 오가던 바닷길은 가로막혔으며, 방북이 불허됐고, 안보와 경제의 선순환으로 평가받던 개성공단마저도 가까스로 현상유지만 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남북의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지던 사회문화교류도 중단됐고, 인도적 대북지원도, 이산가족 상봉도, 금강산 관광 재개도 5·24 조치를 해제하지 않고서는 다음 단계로 나아갈수 없다"라며 "5·24 조치 해제는 남북관계개선에서 당면하고 긴급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6·15창원지부는 "5·24 조치로 인한 경제적 손실로 실효성 없는 조치임이 명백히 드러났고, 경제만이 아닌 남북의 평화까지 단절시켰다"라면서 "5·24 조치 이후, 남북교류가 단절되자 남북은 날을 세우고 대립각을 세워갔으며 한반도에는 일촉즉발의 군사적 긴장 상태가 반복되고 있다, 한반도의 위기상황에서 개성공단이 가동을 멈췄을 때, 우리는 역설적으로 남북교류의 중요성을 체감하지 않았던가"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분단 70년, 남북은 70년의 세월을 뛰어넘을 수 있을 만큼 만나고, 또 만나야 한다, 만남에서 평화가 오고 통일이 오는 것"이라며 "분단 70년, 그 어떤 미사여구로 가득한 말보다 진정성 있는 행동이 필요한 때다, 그 시작은 '5·24 조치 해제'일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5.24조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