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 후보로 나선 전병헌 의원이 14일 전남도청에 마련된 세월호 희생자 분향소에서 분향을 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 후보로 나선 전병헌 의원이 14일 전남도청에 마련된 세월호 희생자 분향소에서 분향을 하고 있다.
ⓒ 이영주

관련사진보기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 후보인 전병헌 의원이 전남을 찾아 '정책시리즈'를 발표하며 당심 잡기에 나섰다.

전 의원은 지난 14일 오전, 전남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새정치민주연합 집권플랜을 발표하며 '말과 감정 대결' 대신 '대안과 정책'으로 경쟁하는 전당대회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전 의원은 또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대형사고가 잇따르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안전망각증에 걸려 책임회피에만 급급하다"며 "국민안전혁신특별위원회 활동시한을 연장해서라도 국가안전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키겠다고 밝혔다.

전병헌, "정책과 제안, 집권플랜 있는 전당대회" 강조

우선 전 의원은 지방자치 혁신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집권플랜은 전 의원이 내놓고 있는 새정치연합 집권을 위한 제안 시리즈다.

그는 지방행정·지방의정·지방재정 등 지방자치 3정' 혁신 태스크포스(T/F)구성 당론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중앙과 지방의 세수 비율(8 대 2) 개선이나 시·도지사 인사권 확대, 지방의회의원 행동강령 합리적 개정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지방의정지원센터를 신설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지방자치정부'로 명명해 자율성과 독립성을 높여야 한다고 구상을 밝혔다. 전 의원은 "지난 1990년 김대중 전 총재가 13일 간의 단식투쟁으로 되찾아 온 지방자치는 김대중정신이 집약된 민주주의 제도"라며 "올해는 민주당(새정치연합)이 만들어진지 60년째 맞는 해로 당의 역사적 정체성을 회복하고 재건하는 적기이자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 의원은 세월호 참사가 진행형임을 밝혔다. "전남도청에 세월호 희생자 분향소가 남아있고 팽목항에도 오늘 분향소가 만들어진 것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질타도 뒤따랐다. 그는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대형사고가 잇따르지만 대통령과 정부는 책임 모면에만 급급해 사회안전시스템을 바꾸겠다는 의지가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연두 기자회견에서도 대형사고에 대한 언급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박대통령과 청와대가 안전망각증에 걸렸다"고 질타했다.

전 의원은 국민안전혁신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구상도 밝혔다. 국민안전혁신위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 재난 관리 체계 전반을 점검하고 안전 혁신 방안 마련을 위해 구성됐다.

그는 "대한민국은 세월호 참사 이전과 이후가 달라져야 한다"며 "교통, 건설 등 17개 분야에 대한 현장 확인과 안전 매뉴얼, 관련 법규 점검을 통해 매뉴얼 개정안은 국가안전처에, 법령 개정안은 해당 상임위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특위의 활동기간이 애초 올 4월까지 지만 제대로 된 성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올해 말까지는 활동해야 한다"며 특위 활동기간 연장을 시사했다.

과열되고 있는 당 대표 선출 과정에 대해선, 집권플랜 경쟁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당 대표 경선 과정이 주장과 구호만 난무하고 대안과 청사진은 없는 말과 감정의 대결로 이어지는 것 같아 아쉽게 생각한다"며 "정책과 대안, 집권플랜을 제시하는 전당대회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전 의원은 지역정책도 내놨다. 국제e스포츠연맹 회장을 맡고 있는 전 의원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이전한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에 모바일게임센터를 설립해 청년 고용과 창업의 문을 넓혀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호남지역에 대한 애정과 인연도 강조했다. 그는 "그 동안 광주전남과 전북 예산확보를 위해 열심히 뛴 결과 광주 명예시민이 됐다"며 "원내대표 시절 전남지역 예산도 15% 증액 관철 시키는데 일조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을 "충청도에서 태어났지만 호남의 심장을 가진 사람"이라고 덧붙였다.


태그:#새정치연합, #전병헌, #새정치 최고위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