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시가 민간업체가 운영하는 유료 동물원의 면적을 넓히기 위해 무리한 개발에 나서면서 비판을 받고 있다. 부산시가 최근 밝힌 초읍동 어린이대공원 재정비 계획에는 이곳에 자리잡은 더파크 동물원의 면적을 현재보다 2배 이상 확장하는 계획이 잡혀있다.
 
현재 8만5000㎡에 달하는 부지에 10만 ㎡를 더해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부산시가 개발하겠다고 밝힌 지역이 편백나무가 빽빽한 원시림으로 시민들의 등산로와 산책로로 이용되어 온 곳이라는 데 있다.

논란이 커지자 부산시는 개발 계획이 시가 동물원을 인수할 때를 대비한 용역이라고 진화에 나섰지만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6일 낸 입장에서 부산시가 민간사업자에 휘둘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산진구 초읍동에 문을 여는 삼정 더파크 동물원.
 부산진구 초읍동에 문을 여는 삼정 더파크 동물원.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경실련은 "더파크가 스스로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과 의지도 없이 또다시 부산시에 특혜를 바라고, 부산시도 민간사업자에게 또다시 끌려가는 행정을 보이는 것은 시민을 위한 행정이라고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경실련은 "지역 환경단체 등과 연대하여 어린이대공원 주변이 더 이상 난개발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감시할 것"이라며 "부산시가 민간사업자에 대해 앞으로도 계속 과도한 특혜를 제공하려 한다면 주민감사청구 등 보다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언론도 부산시의 개발 계획이 무리수라고 지적하고 있다. <부산일보>는 5일자 사설에서 "(개발이 이루어지면) 지리적 특성상 도심의 원시림 파괴가 불가피하고, 온 시민의 휴식처가 사유화되는 심각한 문제를 낳게 된다"고 우려했다.

신문은 "결론적으로 더파크 사업이 무리하게 진행되다 보니 시가 민간사업자에게 질질 끌려다니는 꼴이 되고 말았다"고 지적하며 "더파크 부지 면적을 늘리는 일은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는 것"이라 꼬집었다.


태그:#더파크, #부산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