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사회와 개인적으로 갈등의 한 해를 보내면서 모든 존재하는 것은 연관되어 있다는 진리를 가슴에 새겨보지만, 여전히 내적 성장에는 부족함과 어려움이 있다. '나무도 공기에 기대어 서 있다'는 시 구절처럼 나에겐 작업과 가족이 있었기에 삶의 지지대가 되어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게 된다."

신미란 화가가 연말에 각계각층의 인물상을 담은 그림을 선보이며 한 말이다. 신 화가는 오는 15~20일 사이 창원대 예술관 63전시관에서 개인전을 연다.

신미란 작 "삶의 무게만큼 자유로워지리라".
 신미란 작 "삶의 무게만큼 자유로워지리라".
ⓒ 신미란

관련사진보기


이번 전시에서 주목할 모티브는 '인물상'이다. 어린아이부터 할머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이 그림의 주인공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인물들은 사회 '소외계층'이라 할 수도 있지만, 우리의 이웃이다.

손수레에 파지 상자를 키보다 훨씬 높게 쌓아 끌고 가는 할머니를 그려놓고 "삶의 무게만큼 자유로워지지라" 했고, 추운 겨울 두툼한 옷을 입고 눈을 감은 채 팔짱을 끼고 앉은 할머니를 그려놓고 "한겨울, 깊은 상념"이라는 제목을 붙여 놓았다.

구부정한 허리에 앞치마를 두른 재래시장 생선가게 주인처럼 보이는 아주머니를 그려놓고 "흐린 날, 도시를 등진 시선"이라 했고, 도심 빌딩숲을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는 아이를 그려놓고 "회색빛 도시와 아이의 호기심"이라 해놓았다.

또 화가는 대야에 팔 물건을 담아놓고 두툼한 옷에 목도리로 머리를 감싼 할머니를 "거리의 수도자"라 했다. 우리 이웃들의 고단한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작품들이다.

창원대 김해동 교수(미술학)는 "각 인물상들이 겪고 있는 현실의 문제를 고발하되 그것을 시사하는 요소들을 페르소나적으로 등장시킴으로써 화가는 '이성과 의지를 가진 존재자로서 자유로이 책임을 지고 행동하는 주체'의 모습을 적극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경남민미협 회원인 신미란 화가는 그동안 두 차례 '수채화 개인전'을 열었고, 지난해 부산프랑스문화원 아트스페이스에도 참여했다.

신미란 작 "거리의 수도자".
 신미란 작 "거리의 수도자".
ⓒ 신미란

관련사진보기




태그:#신미란 화가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