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0월 20일부터 부산에서 열릴 예정인 ITU 전권회의에 에볼라 발병국가에서도 대거 참가할 것으로 예상돼 부족한 방역체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2010년 멕시코에서 열린 ITU 전권회의 모습.
 10월 20일부터 부산에서 열릴 예정인 ITU 전권회의에 에볼라 발병국가에서도 대거 참가할 것으로 예상돼 부족한 방역체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2010년 멕시코에서 열린 ITU 전권회의 모습.
ⓒ 2014ITU전권회의

관련사진보기


오는 20일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ITU 전권회의를 앞두고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정부와 부산시는 방역 대책을 마련하는 등 걱정을 불식시키는데 안간힘을 쓰고있지만, 여전히 허술하다는 의견은 이어지고 있다.

17일에는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가 나서 에볼라 바이러스와 관련한 철저한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노조가 가장 큰 문제로 본 것은 부실한 부산의 격리병동 시설이다. 노조는 "최고수준으로 알려진 미국에서도 에볼라에 대한 방어는 사실상 실패해 환자는 물론, 의료진까지 연이어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각종 격리시설, 의료진에 대한 보호장구류, 의료폐기물 처리 시스템 등 제반 시설·장비가 준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노조는 "에볼라 지정병원인 부산의료원의 경우 격리병상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고 있으며, 동아대병원 역시 의심환자 발생시 완전격리가 불가능한 중환자실에 격리하는게 고작인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또 노조는 "자체 검사장비가 없고 검사는 질병관리본부에서만 이루어지는데 에볼라 의심환자 발생시 혈액채취 후 검사완료까지 5시간, 재검사를 통해 최종 확진까지는 3일이 걸린다"면서 "총괄적 대비면에서 한국이 결코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에볼라에 대한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팀 가동과 공공의료시설 장비 및 전문인력 확충에 정부가 나설 것을 촉구했다.

지방의원들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새정치민주연합 부산지역 지방의원들은 성명을 내고 "과연 이러한 행사가 서울에서 개최가 되어도 이렇게 안전하다고만 할 것인가"라고 따저물었다.

의원들은 "격리병동 하나 없는 부산에서 어떻게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지 부산시장의 의중을 묻지 않을 수 없으며, 부산시장의 강력한 정치력 발휘를 요구한다"면서 "부산시장이 나서서 정부에 강력히 입국거부를 요청해 줄 것을 촉구 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국인 서아프리카 6개국 중 3개국만을 관리대상국가로 삼고 중점 관리하겠다고 밝힌 후, 시민단체들의 비판에 부딪혔다. 부산시민단체협의회와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등 172개 시민사회단체는 공동 성명을 내고 "특별 관리대상으로 지정해도 불안할 판인데 사실상 방치한 셈"이라며 관리대상국가 지정 방침을 비판했다.

이들은 정부에 "제외된 서아프리카 3개국을 관리대상국에 포함시키고, 총체적 점검을 통해 방역 허점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을 경우 회의는 외교적 실례를 무릅쓰고 즉각 연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앞서 부산시에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대책을 다시 한 번 묻는 질의서를 지난 15일 발송하기도 했다. 질의서에는 입국자에 대한 검역방법을 비롯 전문의, 대응 매뉴얼 등에 대한 질문이 담겼다. 부산시는 일단 17일까지 질의에 대한 답을 내놓겠다는 입장이다.


태그:#에볼라 바이러스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