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신 : 19일 오후 2시 15분]
주민들, 경북지사에게 대화 중재 요구하며 농성

'송전탑 공사 중단'과 '지중화' 등을 요구하며 경북도청에서 농성하던 청도 각북면 삼평리 주민과 활동가들이 경찰에 연행되었다. 19일 청도345kV송전탑반대 공동대책위는 할머니와 활동가를 포함해 9명이 경찰에 연행되었다고 밝혔다.

할머니 3명을 포함한 주민들은 김관용 경북지사한테 '대화 중재'와 '송전선로 지중화' 등을 요구하며 18일부터 경북도청에서 철야농성해 왔다. 경북도의 중재로 19일 오전 한국전력공사 측과 한 차례 협의가 있었지만, 양측은 평행선을 보이며 협상의 진전은 없었다.

이런 속에 이날 오후 1시경 경찰이 농성하던 주민과 활동가들을 대구북구경찰서로 연행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할머니 1명은 기력이 없어 병원으로 후송되기도 했다.

청도345kV송전탑반대 공동대책위 변홍철 집행위원장은 <오마이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오늘 오후에도 한국전력공사측과 협상을 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경찰이 주민과 활동가들을 연행했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경북도청은 청사 보호 차원에서 경찰 출동을 요청해 놓았다.

한국전력공사는 북경남-서대구 345kV 송전선로 공사를 벌이고 있는데, 청도 삼평리 주민들은 철탑 1기 공사를 막으며 투쟁해 왔다. 그러다가 한국전력공사는 지난 7월 21일 공사를 재개했고, 이로 인해 충돌이 벌어졌다. 

[1신 : 18일 오전 8시 50분]

"지중화율 꼴찌 경북, 우리도 국민입니다."

경북 청도 각북면 삼평리 송전철탑 공사 재개로 경북도청과 주민들 간 갈등이 깊다. 할머니 3명은 지난 18일 오전 경북도청을 찾아가 '지중화'와 '송전탑 공사 중단'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떠나지 않겠다고 밝혀 농성이 장기화 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할머니들이 경남도청을 찾은 때는 18일 오전 10시경. 김관용 경북지사와의 만남은 이날 오전 11시 50분경 성사되었다. 할머니들은 송전탑 공사 과정에서 벌어진 억울함을 전달하며 '공사 중단'과 '지중화'를 호소했다.

청도345kV송전탑반대 공동대책위원회(아래 청도송전탑대책위)에 따르면, 삼평리 할머니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김관용 경북지사가 적극 나서 줄 것을 요구하며 도청에서 철야농성을 벌였다. 현재도 경북도청 3층 접견실에서 1층 회의실로 옮겨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

경북 청도 각북면 삼평1리 주민들이 18일 경북도청을 찾아가 '송전선로의 지중화'와 '철탑 공사 중단' 등을 요구했다. 할머니 3명은 경북도청에서 철야 농성했다. 사진은 경북도청에서 한 할머니가 김관용 경북지사의 바지가랭이를 잡으면서 하소연하고 있는 모습.
 경북 청도 각북면 삼평1리 주민들이 18일 경북도청을 찾아가 '송전선로의 지중화'와 '철탑 공사 중단' 등을 요구했다. 할머니 3명은 경북도청에서 철야 농성했다. 사진은 경북도청에서 한 할머니가 김관용 경북지사의 바지가랭이를 잡으면서 하소연하고 있는 모습.
ⓒ 청도송전탑대책위

관련사진보기


"농민들이 송전선로 때문에 피해를 많이 입고 있다"

청도송전탑대책위에 따르면, 이날 김 지사는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전권을 갖고 있는 일이기 때문에 경북도가 강제할 수 있는 부분이 적지만, 주민들의 억울함이 줄어들도록 중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김 지사의 주선으로 삼평리 주민과 청도송전탑대책위, 한국전력공사, 경북도청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가 벌어졌다.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이강현 한전 대구경북건설지사장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할머니들은 "어떤 형식의 대화이건, 전제조건으로 공사 중단이 먼저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한전 측은 "이 자리에서 결정할 수 없고, 상부에 보고해보겠다"고 답변했다.

특별한 결정사항 없이 협의가 끝나자, 할머니들은 경북도의 적극적인 중재를 요구하며 농성을 시작했다. 청도송전탑대책위는 "중재가 단지 형식적인 협의 테이블을 마련해주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경북의 최고 행정책임자로서, 그 결과까지 책임을 다해 주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삼평리 주민들은 송전선로의 지중화를 요구하고 있다. 경북은 송전선로와 철탑의 수가 전국 2위인 반면, 송전선로의 지중화율은 전국 꼴찌로 알려져 있다. 경북지역의 송전선로 지중화율은 0.9%인데, 서울지역 88.3%에 비하면 100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청도송전탑대책위는 "경북에 배정된 한전의 지중화 예산은 다른 지자체에 비해 형편없는 수준"이라며 "그만큼 다른 지역에 비해 경북 지역 주민들, 특히 농민들이 송전선로로 인해 피해를 많이 입고 있다는 말"이라 지적했다.

청도송전탑대책위는 "이번 삼평리 할머니들의 호소에 대해 경북지사는 이를 지역 민생의 최대 현안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해법 마련을 위해 노력해 주셔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할머니들을 돕고 있는 이보나 상황실장은 <오마이뉴스>와 한 전화통화에서 "할머니들은 요구사항이 해결되지 않으면 경북도청을 떠나지 않겠다고 밝히고 있다"며 "먹을거리와 이부자리 등은 대책위에서 지원해 주고 있고, 현재 크게 건강 이상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대구환경운동연합은 19일 오후 경북도청 앞에서 청도 삼평리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다. 대구환경연합은 "경상북도는 원자력 클러스터 계획을 철회하고, 청도 송전탑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라"고 촉구한다.

한국전력공사는 신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가져가기 위해 송전선로 공사를 벌이고 있는데, 삼평1리 주민들은 송전탑 23호기 건설공사를 반대해 2012년 9월부터 공사가 중단되어 왔다.

그러다가 한국전력공사는 지난 7월 21일 주민들의 움막농성장을 강제 철거한 뒤 공사를 재개했고, 움막이 뜯긴 주민들은 노숙 농성을 벌이면서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태그:#청도 송전탑, #경북도청, #한국전력공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