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집중호우가 자주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가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여름철이면 기록적인 집중호우와 태풍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관리와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태풍과 장마 등 자연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예측 방법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기후변화센터(이사장 이장무)는 지난 18일 서울 중구 기후변화센터 레이첼카슨홀에서 '미래의 한반도 기상변화 어떻게 될 것인가? 태풍과 장마의 변화'를 주제로 특별 세미나를 개최했다.

"자연재해 따른 재산피해 80~90%가 사회간접자본(SOC)"

인제대 박종길 교수가 한반도 아열대화로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그 강도가 세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인제대 박종길 교수가 한반도 아열대화로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그 강도가 세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 온케이웨더 박선주 기자

관련사진보기


이 자리에서 인제대 환경공학과 박종길 교수는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지상최대풍속 예측과 위기관리시스템 제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도 점점 아열대 기후의 양상을 보이면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 이렇게 순간적으로 내리는 폭우에 대응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서울에서 시간 당 15㎜의 비가 내리면 서울은 물바다가 된다. 하수관의 소화용량이 시간당 15㎜이기 때문.

박 교수는 "일본도 지구온난화로 인한 아열대 기후화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강수패턴이 생기고 강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 또한 여름철 국지적으로 시간당 20㎜의 폭우가 내리는 곳도 있다"고 밝혔다.

비가 내리는 패턴뿐만 아니라 비가 내리는 시간도 바뀌고 있다. 그는 "과거 1970년대에는 오전이나 오후에 주로 강우(降雨)가 집중됐다면 2000년대 들어서는 새벽 시간대에 비가 오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이 또한 아열대화로 인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새벽에 집중호우가 쏟아질 경우 이를 방재할 시간확보가 안 돼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강우 패턴 변화에 따른 방재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자연재해에 따른 재산피해는 80~90%가 사회간접자본(SOC) 등 공공시설에 집중되고 있다"며 "반복되는 자연재해에 대비해 공공시설물에 대한 방재활동을 벌인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사후 복구비의 10분의 1만 사전 예방에 투자하면 피해규모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재난·재해 대책은 복구가 아닌 완화 중심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에서 지역별 맞춤정보를 제공하고 주민을 대상으로 재난재해 대응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는 등 지자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순간 돌풍 측정 통해 태풍의 구조물 피해 예측해야"

박종길 교수는 태풍에 대한 대비는 순간최대 풍속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태풍에 의한 강풍으로 발생하는 건물 등 구조물의 피해는 10분 평균 풍속이 아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돌풍(gust)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라며 "'3초 가스트(3-second gust·3초 사이에 부는 순간최대풍속)'를 통해 태풍에 따른 구조물의 피해규모를 예측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에 따르면 태풍이 한반도를 지날 때 단위면적당 피해 강도가 가장 큰 지역은 '부산'이다. 두 번째로 피해가 큰 지역은 '경남'이고 세 번째 '강원', 네 번째 '서울' 순으로 나타났다. 또 인구 1인당 피해강도는 '강원'이 가장 컸으며 경남·경북 순이었다.

부경대 이동인 교수는 태풍이나 국지성 호우는 기존 수치예보 모델로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1~2시간 후의 기상상태를 예상할 수 있는 ‘초단기 예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경대 이동인 교수는 태풍이나 국지성 호우는 기존 수치예보 모델로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1~2시간 후의 기상상태를 예상할 수 있는 ‘초단기 예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박선주 기자

관련사진보기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이동인 교수는 '국지성 호우 단시간 예측은 가능한가'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매년 7, 8, 9월에 국지성 호우가 집중돼 발생하고 있는 만큼 '초단기 예보'를 도입해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를 줄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동인 교수는 "지난 10년 간의 통계를 살펴보면 국지성 호우의 경우 생명(인명)과 관계된 손실은 30%, 경제적인 손실은 48%"이라며 "태풍이나 국지성 호우는 기존 수치예보 모델로는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1~2시간 후의 기상상태를 예상할 수 있는 '초단기 예보(now casting)'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아직 초단기 예측 모델은 강수량을 과대·과소 측정하는 등의 한계점이 있다. 이 교수는 "이는 기존의 수치 예보 모델과의 결합을 통해 측정 정확도의 간극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정태성 박사(가운데)가 현재의 기상청 기상 정보는 그 전파 절차가 복잡해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정태성 박사(가운데)가 현재의 기상청 기상 정보는 그 전파 절차가 복잡해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 박선주 기자

관련사진보기


이어진 토론에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정태성 박사는 "예전과 달리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상황이 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응 역량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현재 기상청에서 예측하는 기상 정보는 전파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기 어려운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박사는 "기상청에서 국민에게 직접 전달해야 하는 정보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처리해야 하는 정보를 구분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정보의 신뢰성과 책임성이 먼저 담보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상청·민간기상회사 협력, 좋은 기상정보 서비스를"

삼성방재연구소 경민수 박사는 "기상에 대한 정보량에 비해 국민들이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다"며 "국민들을 위해 정보를 가공해서 제공할 필요가 있다. 기상청과 민간기상회사가 협력해서 좋은 기상정보를 국민들이 접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향신문 원희복 기자는 "국가안전처를 설치해 컨트롤 타워만 높일 것이 아니라 재난 대응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실무 권한을 현장으로 돌려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안전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문화 수준을 올리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후변화센터 김소희 사무국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대피를 얼마나 빠르게 하고, 국민들이 얼마나 훈련되어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일반 국민들이 재난·재해에 대비해 평상시 반복된 훈련을 하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사무국장은 "재난·재해 대응은 정부가 모두 담당할 수 없기 때문에 민간 방재 산업이 발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덧붙이는 글 | 박선주(parkseon@onkweather.com) 기자는 온케이웨더 기자입니다. 이 뉴스는 날씨 전문 뉴스매체 <온케이웨더(www.onkweather.com)>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태그:#기후변화센터, #‘태풍과 장마의 변화’ 세미나, #인제대 박종길 교수, #부경대 이동인 교수, #태풍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국내최초 날씨전문 매체 <온케이웨더>: 기상뉴스,기후변화,녹색성장,환경·에너지,재난·재해,날씨경영 관련 뉴스·정보를 제공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