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985년 '이산가족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으로 평양에 가서 35년만에 어머니를 만났던 황준국 목사.
 1985년 '이산가족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으로 평양에 가서 35년만에 어머니를 만났던 황준국 목사.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그때는 정부에서 사진이나 돈은 갖고 가지 말라고 했다. 나는 목사라 고지식해서 그랬는지 안 가져갔는데, 다른 분들은 가져왔더라. 옷, 시계, 금반지는 사갔는데 돈을 못 드린 게  마음에 남는다."

허리춤까지 큰 눈이 쌓였던 1950년 12월 4일, 아들은 19살 나이로 평안남도 중화군 중화면 초현리 집을 떠났다. 46살의 어머니는 "미군이 핵폭탄을 터뜨릴지 모른다니, 난리를 피해야 한다"며 운동화, 담요, 옷, 갱엿, 돈을 넣어서 꿰맨 코트를 담은 보따리를 매주셨다. 아버지는 일찍 돌아가셨고, 하나뿐인 누나도 시집간 뒤 어머니와 단 둘이 살았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어머니는 목사님도 떠난 교회를 지켜야 한다며 5대 독자인 아들만 떠나보냈다.

생사도 알 수 없던 35년 세월이 흐른 뒤에야 다시 어머니 손을 잡을 수 있었다. 아들 황준국 목사가 분단 이후 처음으로 1985년에 성사된 '이산가족고향방문 및 예술 공연단' 일원으로 선정된 것이다. 하루도 빼놓지 않고  "어머니께 따뜻한 밥 한 그릇만 대접하게 해 달라"고 빌고 빌던 황 목사는 그해 9월 20일 3박 4일 일정으로 평양 고려 호텔에서 어머니 조희영씨를 만났다. 아들은 헤어질 때의 어머니보다도 더 나이가 든 54세의 장년이 됐고, 어머니는 81세의 백발로 변해있었다.

30년 동안 "어머니께 따뜻한 밥 한 그릇만 대접하게 해달라"

24일 경기도 양주에서 만난 황준국(83) 목사는 29년 전 상봉 상황과 고향방문단 일정을 '당연하게도' 완벽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평양에 들어간 다음날인 21일 상봉 행사가 시작됐다. 처음에 뵈니, 어머니 같이 안 느껴져서, 우리 어머니 맞나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둘만 하는 얘기를 꺼냈는데 바로 답을 하시더라. 어머니하고 얘기를 하는데 꼭 서너 명이 지켜보고 있어서  '음식 다 먹었으니 더 갖다 달라'고 쫓아 보낸 뒤에 대화를 했다. 죽었는지 살았는지도  몰랐다가 살아계신 것 자체가 너무 감사했다. 어머니도 마찬가지 아니었겠나."

아들이 폭격으로 죽었다고 한 어머니는 고향에 만들어진 협동농장에 소속돼 농사를 지으면서 계속 혼자 사셨다고 한다.

평안남도 진남포로 시집갔던 누나도 전쟁 중에 배를 타고 남쪽으로 피난을 내려왔고, 황 목사는 전쟁 끝난 뒤 3년 만에 누나를 만났다.  황 목사는 "자식들 없이 계속 홀로 지내시던 어머니는 나하고 상봉한 뒤에도 혼자 외롭게 사셨을 텐데…"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그는 평양에 있던 9월 22일 일요일에 예배를 드리기도 했다. 고향방문단과 예술 공연단 단원 가운데 개신교 및 천주교 신자 50여 명이 고려호텔 3층 소강당에 모인 가운데 황 목사가 개신교 예배를 인도했고, 이어 지학순 주교가 미사를 집전한 것이다.

1985년 '이산가족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으로 평양에 가서 35년만에 어머니를 만났던 황준국 목사가 당시 사진들을 보여주고 있다.
 1985년 '이산가족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으로 평양에 가서 35년만에 어머니를 만났던 황준국 목사가 당시 사진들을 보여주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2박3일 7번의 만남... 그리고 다시 이별

어머니를 모시고 잘 수는 없는 가운데 총 7번의 만남이 있었다. 그리고 다시 헤어져야 했다. 

"19살 철없을 때 헤어졌다가, 나도 자식들 키운 쉰 살 넘어서야 어머니 만났다가 또 헤어져야 하니… 그때 유엔 같은데  남으로 갈 사람 북으로 갈 사람 원하는 대로 해줄 테니 택하라고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그로부터 다시 29년이 지났다. 황 목사는 고려 호텔에서 만난 어머니보다 더 나이가 들었고 어머니는 살아계신다면 110세다.

평양에서 돌아온 뒤 고향방문단 51명이 (평양에서 처음으로 이산상봉했다는 뜻의) 일평회(단장 홍성철)를 만들어 매년 모임을 하고 추억을 나누기도 했으나 지금은 뜸해졌다.

그는 현재 금강산에서 진행 중인 이산가족 상봉뉴스를 유심히 지켜봤다. 그러면서 상봉자들을 걱정했다.

"이번에 만난 분들 기쁘기는 대단히 기쁠 것이다. 그런데 상봉 뒤에 충격이 클 거다. 다시 만난다는 기약이 없으니…. 나도 충격이 심했다. 이제 끝이구나 하면 건강을 해치게 되는데…. 통일은 반드시 올 테니 모두들 건강 유념해서 그 날을 기약하시기를 바란다. 그나마 나는 기도하면서 많이 극복했다. 우리 어머니는 지금은 돌아가셨을텐데 '통일되면 어디에 묻히셨는지 무덤이라도 찾아야 할텐데'라고 생각하고 있다."

1985년 '이산가족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으로 평양에 가서 35년만에 어머니를 만났던 황준국 목사.
 1985년 '이산가족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으로 평양에 가서 35년만에 어머니를 만났던 황준국 목사.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상봉 이후 지금까지 어머니 소식은 전혀 들을 수가 없었다.

황 목사는 "내가 갈 때는 신체검사해서 건강 안 좋은 사람은 못 갔는데 지금은 구급차 타고 가기도 하고 정부가 애를 많이 쓴 것 같다"며 "정부에서 생사확인부터 먼저 적극 하고영상 상봉과 편지 교환도 가능하도록 노력해주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만남의 기쁨보다 이별의 슬픔은 훨씬 크다. 이 땅에 하루바삐 평화를 내려주소서."

황 목사가 평양 예배 중에 '만남과 이별'이라는 주제로 한 설교 중의 한 대목이다.

그러나 이런 '재이별'의 슬픔조차 느끼지 못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가 7만 1천여 명에 달한다. 1988년부터 지난해 12월 말까지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2만9천264명. 이 중 44.7%에 달하는 5만7천여 명이 사망했다. 특히 최근 10년 사이 급속한 고령화로 매년 약 4천 명이 한을 풀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고 있다.


태그:#이산가족 상봉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