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삼바드로메로 불리는 해변도로. (2011년 6월 사진)
▲ 코파카바나 해변 삼바드로메로 불리는 해변도로. (2011년 6월 사진)
ⓒ 정광주

관련사진보기


해변의 풍경. (2011년 6월 사진)
▲ 코파카바나 해변 해변의 풍경. (2011년 6월 사진)
ⓒ 정광주

관련사진보기


해변의 풍경. (2011년 6월 사진)
▲ 코파카바나 해변 해변의 풍경. (2011년 6월 사진)
ⓒ 정광주

관련사진보기


끝없이 펼쳐진 코파카바나 해변. (2011년 6월 사진)
▲ 코파카바나 해변 끝없이 펼쳐진 코파카바나 해변. (2011년 6월 사진)
ⓒ 정광주

관련사진보기


해변도로의 노점상과 파라솔. (2011년 6월 사진)
▲ 코파카바나 해변 해변도로의 노점상과 파라솔. (2011년 6월 사진)
ⓒ 정광주

관련사진보기


해변을 따라서 늘어선 고층빌딩들. (2011년 6월 사진)
▲ 코파카바나 해변 해변을 따라서 늘어선 고층빌딩들. (2011년 6월 사진)
ⓒ 정광주

관련사진보기


세계적으로 유명한 해변인 코파카바나에서는 꼭 수영복을 입고 해수욕을 하지 않아도 여행자가 즐길 것과 볼 것들이 많다. 모래사장을 따라 걸어가면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 휴양을 온 사람들을 만나는 것과 노점에서 팔고 있는 코코아를 즉석에서 잘라 스트로를 넣고 시원하게 마시거나 파라솔 밑에서 아사이 주스를 마시며 코파카바나의 아름다운 해변풍경을 감상하는 것으로도 여행자에게는 충분한 힐링과 휴식이 된다.

코파카바나는 해변을 한 번에 전체를 걸어보는 것이 힘이 들 정도로 길지만 중간에 음악을 연주하거나 비치발리볼을 하는 사람들이 있어 재미있게 구경을 하면서 가면 지루하지는 않다. 해변에서는 노점의 상인이나 리우의 시민들이 길을 묻는 여행자에게도 친절함을 보여준다. 리우의 빈민촌인 파벨라스에서 원정을 나온 소매치기들이 여행자들의 주머니를 노리는 것만 주의한다면 그 외에는 대부분 아름답고 즐거운 리우의 모습을 보여준다.

코파카바나 해변은 리우데자네이루를 상징하는 해변이며 1년 내내 세계 각국에서 모여드는 관광객과 대담한 노출의 수영복을 입은 리우의 시민들로 항상 붐비는 해수욕장이다. 산악지대와 바다 사이의 좁고 긴 지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활처럼 휘어있는 모습이 시각적으로 장관을 이루는 길이 5㎞에 이르는 곡선해안으로 유명하다.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긴 해변에는 일광욕과 수영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항상 북적거린다.

브라질에서는 매년 2월에 카니발이 열려 세계 곳곳에서 수십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리우데자네이루를 향하는데, 그들이 최종적으로 모두 모이는 곳이 코파카바나 해변이다. 이곳 리우 사람들을 일컫는 말인 '삼바 카리오카'는 '리우데자네이루 삼바'라는 뜻이며 리우에서도 이러한 삼바의 열정과 광기를  가장 많이 느낄 수 있는 곳이 코파카바나 해변이다.

해변을 따라서 이어지는 넓은 해안도로에서 삼바 퍼레이드가 펼쳐지는데 '삼바드로메'로 이름 붙여진 이곳 700m 길이의 퍼레이드 전용 공간에서 삼바 공식 경연이 벌어진다. 삼바는 브라질의 4분의 2박자 신나는 리듬을 가진 춤과 음악으로 카니발 축제 중에는 낮이나 밤이나 삼바에 열광하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코파카바나 해변은 습도는 높지만 무역풍의 영향으로 시원한 편이라서 휴식과 운동을 즐기기에도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 해안도로를 따라서 이어지는 주변에는 세계 최고의 관광지답게 희고 검은 모자이크 모양으로 치장한 산책길을 따라 고급 호텔과 레스토랑, 바, 극장, 쇼핑가 등이 줄지어 늘어서 있다. 그 밖에 휴양에 관련한 부대시설들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어서 여행자들에는 낙원 같은 곳이다.

해안도로를 따라 줄지어 있는 고층빌딩 등 주변 건물들 때문에 얼마 전 까지 교통이 혼잡했으나 리우데자네이루의 도심 지역과 코파카바나해변 지역을 이어주는 터널을 건설하여 지금은 혼잡이 많이 완화되었다. 해변 남쪽 끝에는 코파카바나 요새 역사박물관이 있는데 박물관에서는 초기 브라질의 역사와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


태그:#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코파카바나 해변, #삼바드로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생의 한가운데의 니나 또는 슈타인처럼, 여행과 사진 그리고 건축, 머나먼 이베리아 반도의 끝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와 숭산 스님의 선의 나침반, 수타니파타의 그물에 걸리지않는 바람처럼~~~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