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회계직비정규직(전회련) 전북지부 소속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350여 명(50개 학교)이 15일 경고파업을 벌였다.

15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회련 전북지부의 경고파업에 약 350여 명의 노동자들이 함께 했다.
 15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회련 전북지부의 경고파업에 약 350여 명의 노동자들이 함께 했다.
ⓒ 문주현

관련사진보기


전회련 전북지부는 "학교비정규직 문제를 외면하는 박근혜 정부와 시도교육청의 무책임한 태도에 전국의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분노는 커지고 있다"면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인 학교 현장의 차별과 고용불안 문제를 계속 외면한다면 12월 초 전국 총파업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전회련 전북지부는 경고파업 당일 오전 9시에 전북교육청에서 모여 학교비정규직 차별 철폐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이태의 전국 전회련 본부장은 "우리가 정규직에 준하는 호봉제를 요구하자, 박근혜 정부는 2018년까지 근속수당으로 2만 원을 단계적으로 올려주겠다고 말했다"면서 "내년에 1만 원 인상하고 그 후에는 2500원씩 올려준다는 것인데, 우리를 무슨 김밥 한 줄로 보냐"고 분노했다.

이어 "2500원짜리 김밥 한 줄로 우리의 영혼까지 제압하려고 하는 박근혜 정권에게 오늘은 경고하지만, 학교 비정규직 차별을 해소하라는 우리의 요구를 받지 않으면 8만 조합원이 모두 들고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본부장의 제기는 7월 30일 새누리당과 교육부, 청와대가 당·정·청 협의를 열어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안을 내놓은 것에 대한 것이다. 당시 당·정·청은 노조가 요구하는 호봉제를 대신해 근속수당은 내년에 1만 원 올리고, 1년 이상 일한 노동자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전회련 전북지부 관계자는 "호봉제를 통해 똑같은 일을 하는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와 차별을 줄이지 않으면 무기계약직은 영원한 비정규직일 뿐"이라면서 "정부의 대책은 현장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그나마 갖고 있던 작은 믿음도 깨버린 것"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돌봄노동자, 급식노동자 등 전북지역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다양한 구호를 외치며 15일 파업에 함께했다.
 돌봄노동자, 급식노동자 등 전북지역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다양한 구호를 외치며 15일 파업에 함께했다.
ⓒ 문주현

관련사진보기


이동백 전교조 전북지부장은 "평등을 가르치는 교육현장에서 교사와 급식노동자를 차별해서는 안 된다"면서 "내가 다니는 학교 급식노동자가 '아이가 유치원 다닐 때와 지금 대학을 다닐 때 받는 임금이 비슷하다'고 한탄하는 것을 봤다. 단결을 통해 반드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차별이 철폐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날 파업은 박근혜 정부에 대한 경고성 파업의 의미도 있지만, 전북교육청의 적극적인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의미도 있었다.

영어전문강사와 돌봄교실 노동자 등은 해고와 가까운 계약 만료와 초단기 계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전북교육청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회련 전북지부 관계자는 "오늘 오전 교육청 관계자와 면담을 진행했다"면서 "이 자리에서 차별을 줄이려는 노력과 계획을 밝히지 않는다면 총파업을 11월 말, 12월 초에 벌이겠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전회련 전북지부는 ▲호봉 간격 2500원이 아닌 최소 3만원 ▲정액급식비 월 13만원 지급 등 맞춤형 복지비 정규직과 동일 ▲영전강과 돌봄 노동자 고용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전북지부는 이 요구안에 대해 2주 안에 답을 줄 것을 촉구했다.

돌아오는 2014년에도 대량 해고사태를 맞이할 위험에 있는 영어회화전문강사들도 이날 파업에 함께하며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돌아오는 2014년에도 대량 해고사태를 맞이할 위험에 있는 영어회화전문강사들도 이날 파업에 함께하며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 문주현

관련사진보기


한편, 전회련 전북지부 파업 참가자들은 오전 집회를 마치고 노조 탄압이 가장 극심한 충북지역의 학교비정규직 파업에 함께하기 위해 자리를 나섰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전북인터넷대안언론 참소리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전회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