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참게 정식 한상차림입니다. 헉, 참게탕이 빠졌네!
 참게 정식 한상차림입니다. 헉, 참게탕이 빠졌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왜 그럴까?

음식 찾아 떠나는 맛 여행은 설렘이 두 배입니다. 왜냐하면 아름다운 자연풍광 구경에 요리까지 즐기는 기쁨이 추가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반가운 사람과의 만남이 더해지면 그야말로 금상첨화지요.

어제(2일) 전주에 갔습니다. 여성 검사 1호이며, 3선 국회의원을 지낸 조배숙 변호사를 만나기 위함이었습니다. 창당 예정인 안철수 신당의 유력 전라북도 도지사 후보로 꼽히는 그녀와 이야기를 섞는 것 자체가 매력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강렬했던 유혹은 "맛있는 거 먹자"는 솔깃한 제안 때문이었습니다.

기차 타고 전주에 가는 내내 기대 하나가 머릿속에 꽉 차 있었습니다. 그것은 '어떤 음식을 제안할까?'였습니다. 하나 더 바란 건, 이왕이면 색다르고 맛있는 요리면 더 좋겠다는 거였지요. 조 변호사와 마주 앉았습니다.

- 우리 변호사님, 오늘 무슨 맛있는 걸 권하려고 저를 불렀을까?
"그냥 밥 한 끼 하자고. 좋은 사람과 같이 밥 먹는 자체가 행복 아닐까."

궁상 떨 생각일랑 애시당초 말라는 경고(?)였습니다. 그렇습니다. 지인은 뭐니 뭐니 해도 알아주고 찾아주는 지인이 최고지요. 군자지도(君子之道)를 설파하신 공자께서 <논어>에서 그랬다지요.

"유붕(有朋)이 자원방래(自遠方來)하면 불역낙호(不亦樂乎)아라."(벗이 멀리서 찾아오니 그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전주에 이런 집도 있었네? 참게장과 참게탕이 어우러진 '참게 정식'

참게장과 참게탕
 참게장과 참게탕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참게로 참게장을 만드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참게로 참게장을 만드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조배숙 변호사와 함께 찾은 곳은 참게 요리 전문점이었습니다. 식당 앞 주차장에 차들이 즐비했습니다. 1만 원짜리 참게 정식을 시켰습니다. 밑반찬이 나왔습니다. 단호박, 파래무침, 파김치, 계란말이, 고사리, 배추김치, 깻잎, 콩 등. 게다가 골뱅이무침까지, 아주 푸짐했습니다.

- 조 변호사님은 요리 잘하세요?
"사람 그렇게 띄엄띄엄 보면 못써. 나 음식 엄청 잘해."

- 에이~, 혼자만 잘하면 뭐할까. 먹는 사람이 맛있어야지….
"우리 엄마가 요리를 무척 잘했어. 그걸 내가 물려받았어. 복이야. 내가 요리를 하면 사람들이 맛있다고 다들 깜짝 놀란다니까."

- 말도 안 돼. 먹어 봤어야 인정하지?
"허~, 사람 잡네 잡아. 우린 김장도 집에서 직접 해. 거기에 동치미까지 담글 정도야. 다들 맛있다고 더 주라고 난리야."

사람 안 보는 데서는 소도 잡아먹는다고 했지요. 그러게, 그녀의 요리가 맛있다는 걸 알 길이 있남. 각설하고,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참게 요리가 나왔습니다. 헉, 참게장에 참게탕, 밥까지. '전주에 이런 집도 있었네'하고 엄청 놀랐습니다. 그리고 군침이 확 돌았습니다. 어쨌거나 먹어 봐야 맛을 알지.

그동안 이 맛을 어찌 모르고 살았을까~

맛있는 것 앞에서는 체면이고 뭐고 없지요! 조배숙 변호사님, 그렇지요?
 맛있는 것 앞에서는 체면이고 뭐고 없지요! 조배숙 변호사님, 그렇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조배숙 변호사, "찍던지 말던지, 니 알아서 해라!"라며 맛있게 먹습니다.
 조배숙 변호사, "찍던지 말던지, 니 알아서 해라!"라며 맛있게 먹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처음 대하는 참게 요리를 어떻게 먹어야 할지 난감했습니다. 이럴 땐 눈치를 봐 가야 먹는 게 최선. 그러나 이는 요리를 즐기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아닙니다. 이럴 땐 주인에게 물어보는 게 최상책. 자칭 '참게 장인'이라는 주인장 이춘화씨를 모셔 맛있게 먹는 방법에 대한 강의를 들었습니다.

"참게장 게 따까리(딱지)를 하나씩 들고 밥 위에서 빡빡 글거. 다 글거스믄 게 뚜까리에 밥을 얹어 가꼬, 비벼서 머거 봐. 게 뚜껑에 있는 노란 거슨 참게 알이 아니고, 그 옆에 있는 까만 부분이 참게 알잉께 그러케 알더라고. 게 따가리 다 글거스믄, 참게장 간장을 밥에 언저 밥과 가치 쓱싹쓱싹 비벼. 그라고 비빈 밥은 김과 같이 머그믄 돼야. 글고 밥을 머금시롬 한 손으로 참게 다리를 머그믄 돼."

주인장의 육자배기 같은 구수한 전라도 사투리 입담이 맛을 더했습니다. 여하튼 밥을 비벼 한 입 넣었습니다. 게장에 비빈 밥이라 짤 줄 알았는데 수수한 맛이었습니다. 주인장 말로는 "짜지 않게 만드는 게 비법"이라네요. 방송까지 탔다고 합니다.

참게탕은 조금 짰습니다. 맛 하면 전국이 다 알아주는 아니다, 저승까지 소문난 전라도 음식은 조금 짠 게 흠이라면 흠입니다. 주방에서 요즘은 짜지 않게 먹는 게 웰빙이란 걸 더 참고하시면 싶네요. 음식문화의 변천을 읽어야 대박 맛집이 되는 이치지요. 제 맛 품평은 이렇습니다. 그동안 이를 어찌 모르고 살았을까~ 잉!

그러고 보면 공자께서 모르는 게 하나 있습니다. 먼 곳에서 벗이 찾아오는 것만 행복이 아니라, 그런 벗과 함께 맛있는 걸 먹으면 더 행복이라는 것을….

참게장 게딱지를 딱딱 긁어 밥에 얹고, 참게장 간장 양념을 넣고 쓱싹쓱싹 비며 먹는 맛이 일품입니다.
 참게장 게딱지를 딱딱 긁어 밥에 얹고, 참게장 간장 양념을 넣고 쓱싹쓱싹 비며 먹는 맛이 일품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도 올립니다.



태그:#참게 요리, #참게 정식, #조배숙, #전주 맛집, #안철수 신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