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무총리님, 저희는 보상을 원치 않습니다."

'밀양 765kV 송전탑 반대 경과지 주민'들이 정홍원 국무총리를 향해 외쳤다. 정 총리는 밀양 송전탑 갈등을 풀기 위한 의도로 11일 오후 밀양을 방문했는데, 송전탑 반대 주민들은 '백지화' 등을 주장했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밀양 산외면사무소에서 홍준표 경남지사와 조환익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잠시 뒤 정 총리는 송전탑 반대 주민대표와 간담회를 하기 위해 단장면사무소로 이동했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송전탑 반대 주민 대표와 간담회를 갖기 위해 11일 오후 밀양시 단장면사무소를 방문하자 반대 주민들이 "국무총리님, 우리는 보상을 원치 않습니다"고 쓴 펼침막을 들어 보이고 있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송전탑 반대 주민 대표와 간담회를 갖기 위해 11일 오후 밀양시 단장면사무소를 방문하자 반대 주민들이 "국무총리님, 우리는 보상을 원치 않습니다"고 쓴 펼침막을 들어 보이고 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11일 오후 정홍원 국무총리가 밀양 송전탑 문제를 다루기 위해 밀양시 산외면사무소를 찾아 홍준표 경남지사, 엄용수 밀양시장, 조환익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과 함께 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11일 오후 정홍원 국무총리가 밀양 송전탑 문제를 다루기 위해 밀양시 산외면사무소를 찾아 홍준표 경남지사, 엄용수 밀양시장, 조환익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과 함께 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 경남도청

관련사진보기


단장면사무소 앞에는 송전탑 반대 주민 200여명이 모여 들었다. 이들은 피켓과 구호를 통해 송전탑 반대와 '백지화', '지중화' 등을 호소했으며, "송전탑 백지화송"을 함께 부르기도 했다.

주민대표로는 이남우(부북면)·백영민(상동면)·안영수(산외면)·양윤기(단장면)·최민자(가르멜수녀원 대리인)씨와 밀양765kV송전탑반대대책위 김준한 대표(신부)가 나섰다.

정 총리와 주민대표의 간담회는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그런데 간담회를 시작한 지 불과 10여분만에 주민대표들이 내려왔다. 이남우씨 등 주민대표들은 단장면사무소를 나오면서 "정부를 믿을 수 없다"거나 "결렬이다"라고 외쳤다.

이에 주민들은 격분했다. 주민들은 정 총리에게 항의하는 표시로 바닥에 드러누웠다. 경찰이 주민들을 막는 사이, 정 총리 일행은 타고 왔던 버스를 이용해 다시 밀양시청으로 향했다.

간담회에 참여했던 김준한 대표는 "먼저 정 총리가 모두발언을 했는데, 전기가 부족하고 정전의 위험이 있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김 대표는 "주민대표들이 잠시 뒤 밀양시청에서 있을 '밀양 특별지원협의회 보상안 발표'와 '태양광 밸리(한전에서 진행하는 송전탑 지역 주민 지원 사업 중 하나) 양해각서 체결'에 참석할 것이냐고 묻자 정 총리는 대답을 하지 않았다"며 "그것은 참석한다는 것으로, 간담회를 더 이상 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주민들이 이렇듯 반발한 이유는 이 두 행사 모두 밀양 송전탑 건설을 강행하기 위한 차원의 조치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밀양765kV송전탑반대대책위 이계삼 사무국장은 "어제 간담회 약속을 하면서 정 총리가 '밀양 특별지원협의회 보상안 발표'와 '태양광 밸리 양해각서 체결'에 참석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붙였다"며 "그런데 정 총리는 그같은 조건을 지키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후 정 총리는 밀양시청에서 송전탑 찬성주민과 한국전력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했다. 또 정 총리는 밀양시청에서 '태양광 밸리 양해각서 체결식'에 참석했다.

송전탑 반대 주민 "1813명 주민이 보상 반대 서명"

'밀양 765kV 송전탑 반대 4개면 주민 일동'은 이날 호소문을 발표했다. 주민들은 "밀양 주민들의 피해가 크고, 송전탑 경과지 1584세대 주민 중에서 무려 1813명이 보상 반대 서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어 "8년째 공사를 막아설 수 밖에 없었던 원인이 있다"며 "밀양 구간 송전선로 노선이 잘못 그어졌고, 그만큼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밀양구간은 다른 지역과 달리 민가와 농토에 너무 가깝게 설계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밀양구간 총 20개 마을 이상이 사실상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고,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를 할 수 없는 정도의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밀양시 단장면사무소를 방문해 송전탑 반대 주민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지만 결렬된 뒤 일부 주민들이 항의하며 도로에 드러눕고 있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밀양시 단장면사무소를 방문해 송전탑 반대 주민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지만 결렬된 뒤 일부 주민들이 항의하며 도로에 드러눕고 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한국전력이 추석 뒤 공사를 재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주민들은 "공사 강행의 명분이 없다, 신고리핵발전소 3호기의 완공시기는 부품성적서 위조 사건의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았으며, 그 시기가 언제가 될지 알 수 없다"며 "2014년 여름까지 화력발전소 등이 다수 준공될 것이기에 전력 수급의 문제는 해소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또 주민들은 "어르신들이 다시 산꼭대기까지 힘든 걸음으로 매일처럼 올라다녀야 하는 상황, 인부와 공권력에 맞서 애처롭게 싸우는 모습을 정말 보고 싶지 않다"며 "주민 다수의 목소리는 '보상은 필요 없으며 지금 살던 곳에서 살고 싶다'는 것"이라고 호소했다.

이날 현장에 나온 주민들은 "이 나이에 무엇을 더 바랄 게 있나, 이대로 살게 해 달라, 보상도 필요 없다", "평생 지키고 모아온 집과 논밭을 한국전력에 다 바치라는 것이냐", "좁은 마을(상동면 여수마을)에 송전탑 6개가 들어서는데 가만히 있을 수 있나"고 말했다.

또 주민들은 "어쨌거나 송전탑 결사 반대이고, 보상도 필요 없다", "국무총리가 우리 죽이러 온 것이냐. 우리 죽이고 철탑을 세워라", "피해가 없는데 왜 보상을 하나. 피해가 있으니까 보상을 하지. 그런데 우리는 보상이 필요 없다", "철탑이 좋으면 경찰과 공무원 집 앞마당에 세워라"고 외쳤다.

밀양 송전선로 특별지원협의회 '보상 합의'

정부와 한국전력공사는 밀양 송전선로와 관련한 보상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밀양 송전선로 특별지원협의회'는 한국전력과 송전탑 찬성 주민 대표, 밀양 주민대표 등 21명으로 구성되어 그동안 협상을 벌여왔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송전탑 반대 주민 대표와 간담회를 갖기 위해 11일 오후 밀양시 단장면사무소를 방문하자 반대 주민들이 "우리는 보상을 원치 않습니다"고 외치고 있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송전탑 반대 주민 대표와 간담회를 갖기 위해 11일 오후 밀양시 단장면사무소를 방문하자 반대 주민들이 "우리는 보상을 원치 않습니다"고 외치고 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이날 '밀양 송전선로 특별지원협의회'는 기존 특수보상비 215억 원에 40억 원을 증액한 255억 원 보상안에 합의했다. 이들은 보상금 가운데 일부를 송전탑 건설 예정지 주변 개별세대에 직접 지급하기로 했는데, 한 가구당 400만 원 정도(4개면 1800여 가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보상 지원과 관련해, 한국전력 밀양지사 관계자는 "이는 밀양 송전선로 특별지원협의회에서 합의를 한 것"이라며 "정부와 한국전력은 내일 정도에 공식 발표할 예정으로 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송전선로 경과지 보상은 간접공동보상 형태했는데, 개별직접보상이 되려면 '송변전 설비 주변시설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개정안, 일명 '보상지원법')이 개정되어야 하는데, 개정안은 현재 국회 계류 중이다.

이번 보상 합의에 대해, 송전탑 반대 주민들은 참여하지 않아 앞으로 논란이 클 것으로 보인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송전탑 반대 주민 대표와 간담회를 갖기 위해 11일 오후 밀양시 단장면사무소를 방문하기에 앞서, 반대 주민 200여명이 면사무소 앞에 나와 "보상이 필요 없다"고 외치고 있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송전탑 반대 주민 대표와 간담회를 갖기 위해 11일 오후 밀양시 단장면사무소를 방문하기에 앞서, 반대 주민 200여명이 면사무소 앞에 나와 "보상이 필요 없다"고 외치고 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태그:#밀양 송전탑, #정홍원 총리
댓글1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