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반핵대책위원회가 고리1호기 비상디젤발전기의 장시간 정지 사고에 항의하는 기자회견을 5일 오전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앞에서 열고 있다.
 부산반핵대책위원회가 고리1호기 비상디젤발전기의 장시간 정지 사고에 항의하는 기자회견을 5일 오전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앞에서 열고 있다.
ⓒ 부산반핵대책위원회

관련사진보기


18시간 동안 비상디젤발전기의 가동이 중단되는 사고가 난 부산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사건 진상 규명과 원전 가동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6일 부산반핵시민대책위원회는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전 앞에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반핵대책위는 비상디젤발전기 가동 중단 사고가 운영사인 한수원의 안일함이 불러온 인재임을 강조했다. 이들은 "원안위의 원전 운영 기술 지침 상 비상디젤발전기는 어떠한 경우에라도 한 대는 반드시 가동 되고 있어야 한다"며 "한수원이 해이한 안전의식으로 또 다시 지침서도 어기고 발전소를 운영해 왔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한수원은 사고은폐와 비리, 업무태만 등으로 수없이 사고를 치며 전 국민적인 근심거리를 만들어오더니, 아직도 정신 차리지 못하고 최소한의 안전원칙 조차 지키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핵대책위는 한수원과 더불어 원전의 감독 책임을 지고 있는 원안위의 무능함을 질타하기도 했다. 이들은 "한수원으로부터 사건을 보고 받고 한 달이 넘게 조치를 취하지 않은 원안위를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다"며 "자신의 본업조차 수행하지 못하고 핵사업계의 방패막이로만 역할하는 원안위는 즉시 해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반핵대책위는 설계수명을 넘겨 운영중인 고리1호기의 즉각 폐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들은 "핵발전소 운영에 대한 불안과 불신이 갈수록 팽배해짐에도 불구하고 한수원과 정부는 고리1호기의 2차 수명연장을 준비하는 등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는 도무지 관심이 없다"며 "고리1호기의 가동은 350만 부산울산시민의 생명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의 골칫거리"라고 강조했다.

한편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1호기는 지난 7월 29일 계획예방정비 기간 중 핵심 안전 장비인 2대의 비상디젤발전기가 18시간 동안 작동불능 상태였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문제가 되고 있다.

당시 고리1호기 내부에는 여전히 고온의 사용후핵연료가 남아있던 시점으로 이를 고려하지 않고 비상디젤발전기 가동을 정지한 한수원은 물론이고, 감독 기관인 원안위의 능력도 도마에 올랐다. 원안위 측은 이번 사건을 두고 운영기술지침서 위반 여부 등 최종 검토를 거쳐 차기 회의에서 논의해 법적 조치 등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이번에는 비상발전기 불능...고리1호기 왜 이러나')


태그:#고리1호기, #고리원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