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시민공원의 올바른 운영을 위한 시민토론회가 3일 오후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 열렸다.
 부산시민공원의 올바른 운영을 위한 시민토론회가 3일 오후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 열렸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미군 측으로부터 반환받은 기지 부지에 조성중인 부산시민공원의 올바른 운영 방안을 살펴보는 토론회가 열렸다. 3일 오후 2시부터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시민공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민간의 참여를 늘리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발제를 맡은 김동필 부산대 교수(조경학)는 서울숲과 울산대공원, 대전 유림공원 등과 해외 사례를 들어 공원 운영 민관 공동협의체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김 교수는 "시민공원은 민관협치의 정신을 가급적 살려야 한다"며 시민참여를 통한 공원관리 개발을 통한 '파트너쉽 관리모델 개발'을 공원 관리 전략으로 제안했다.

토론자들도 부산시민공원이 관 주도로 가서는 곤란하다는데 인식을 함께 했다. 김광수 부산시민공원조성 범시민운동본부 공동운영위원장은 "현재까지만 놓고 본다면 허남식 부산시장이 과욕을 부리고 있는 느낌을 받고 있다"며 "임기 내에 해결하겠다는 성과주의적 접근으로는 공원이 잘 안 만들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차재근 하야리아포럼 대표는 "현재 공원을 운영하는 시설관리공단을 살펴보면 시민 보다는 건물 관리 수준"이라며 "(부산시민공원은) 운영위원회에 충분한 민간참여가 있어야 하고 민간참여는 7:3 비율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진구 연지동과 범전동 일대에 조성중인 부산시민공원의 조감도. 부산시는 2006년 폐쇄된 미군부대를 넘겨받아 공원을 조성중에 있다.
 부산진구 연지동과 범전동 일대에 조성중인 부산시민공원의 조감도. 부산시는 2006년 폐쇄된 미군부대를 넘겨받아 공원을 조성중에 있다.
ⓒ 부산광역시

관련사진보기


이성근 부산그린트러스트 처장은 부산시와 시민단체와의 시각차를 지적했다. 이 처장은 "현상황에 정의내리면 소통부재와 동시에 불신이 존재한다"며 "최근에 빚어진 공원 부지의 토양 오염과 관련해서도 시민단체가 제기하는 토양오염 문제가 공원 완공 이후에도 문제가 된다는 데 초점을 맞춘다면 시의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같은 시민사회의 지적에 부산시 측은 단계적으로 민간의 참여를 늘려나가겠다는 뜻을 전했다. 나윤빈 부산시 공원운영계장은 "20명 내외의 공원 운영위원회를 올 연말까지 수립하고 그 안에 시 관련 공무원은 3~4명 외에는 모두 민간으로 구성할 것"이라며 "현재는 공원 조성에 전력을 다하다보니 이런 부분이 미흡했지만 최대한 빨리 운영위를 구성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나 계장은 "공원 내 문화예술체험존을 민간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며 "처음부터는 모든 공원 운영을 함께 하기에는 공원 예산 문제나 불편함이 있기에 단계적으로 민간 단체와 함께 운영하도록 계획하겠다"고 덧붙였다.

부산시의회에서는 조례 제정을 통해 시민공원의 안정적 운영을 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오보근 의원(창조도시교통위원회)은 "부산시민공원 관리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부산시민공원 관리운영 조례 제정을 통해 시민의 정서함양에 이바지 할 수 있고 쾌적하게 운영·관리해 나가야한다"며 "전달 받은 의견을 참고해 시민공원이 사람 중심 공원, 시민에게 희망 그 자체가 되도록 최선을 다해겠다"고 밝혔다.


태그:#부산시민공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