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회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가 14일 개최한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에 두 핵심증인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불출석해 파행을 빚고 있다.
 국회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가 14일 개최한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에 두 핵심증인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불출석해 파행을 빚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14일 국정원 국정조사 청문회가 핵심 증인인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의 불출석으로 파행이 예상되는 가운데, 민주당은 '원·판'에 대한 동행명령장 발부를 촉구했다. 16일에 다시 청문회는 열자는 것이다.

앞서 원세훈 전 원장은 전직 국정원 직원으로서 증언하기 어렵다며 불출석 의사를 전해왔고, 김용판 전 청장은 이날이 재판기일이라는 이유로 역시 불출석을 통보했다.

"권력의 보이지 않는 손 움직이는 것이냐"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14일 오전 서울광장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원 불법 대선 개입 사건에 대한 진실의 벽이 높다는 것을 절감한다,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이 마음만 먹으면 두 핵심 증인인 원 전 원장·김 전 청장 청문회 출석은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라며 "우려했던 대로 두 사람은 합당한 이유 없이 청문회에 나오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진실을 두려워하는 권력의 보이지 않는 손이 움직이고 있는 것이 아닌지 하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면서 "원 전 원장·김 전 청장 등 국정조사의 핵심 증인이 (진실 규명이라는) 국민의 요구를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피하면 피할수록 더 큰 대가를 치를 것임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병헌 원내대표는 동행명령장을 즉각 발부해 16일 두 사람을 불러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야 원내대표는 지난 7일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 등의 출석을 담보하기 위해 필요한 정치적 노력을 다하고, 채택된 증인이 출석을 거부할 경우 동행명령, 고발 등의 조치를 취하기로 한다'고 합의한 바 있다.

전 원내대표는 "이들의 불출석에도 새누리당이 합의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새누리당 스스로 원·판 불출석의 배후임을 자임하는 것이다, 원·판을 비호하고 국정조사를 방해하는 것"이라며 "국정조사만 막으면 진실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오판이다, 진실을 가릴 수 없도록 상황을 극한 대립으로 몰고 가는 것은 정권에 독이 되는 자해 행위라는 것 깨닫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진실 규명이 미뤄지면 미뤄질수록 국민 분노는 커지고 화살은 박근혜 정권으로 향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회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가 14일 개최한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에 두 핵심증인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불출석해 파행을 빚자, 민주당 정청래 간사가 박영선 박범계 신경민 박남춘 의원 등과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국회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가 14일 개최한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에 두 핵심증인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불출석해 파행을 빚자, 민주당 정청래 간사가 박영선 박범계 신경민 박남춘 의원 등과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국정조사 특위 위원이기도 한 신경민 최고위원은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은 국정조사 불출석을 통보해왔다, 두 사람 모두 국정조사에 나가고 싶은 생각과 말하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다는 게 문서상으로 확인됐다"면서 "새누리당이 정당한 사유이기 때문에 동행명령장을 발부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면 여야 합의를 파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여야는 합의를 통해 14일은 '원·판'의 날, 19일은 기타 증인의 날, 21일은 '김·세(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권영세 주중대사)'의 날로 정했다"면서 "'원·판'이 14일 출석할 수 없다면, 16일 청문회를 다시 여는 게 합당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세 증인 채택도 지금부터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그:#원판 불출석
댓글1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법조팀 기자입니다. 제가 쓰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우리 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데에 필요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이나 페이스북 등으로 소통하고자 합니다.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