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청와대 민정수석실이국과수에 '성접대 의혹' 동영상 분석결과를 요청해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이국과수에 '성접대 의혹' 동영상 분석결과를 요청해 논란이 일고 있다.
ⓒ SBS

관련사진보기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찾아가 '성접대 의혹' 동영상 분석 결과를 요구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SBS <8시뉴스>는 25일 국과수가 동영상 분석 결과를 경찰에 공식 통보한 오늘(25일) 오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관계자가 국과수를 방문해 동영상 분석 결과를 한 부 달라고 요구했다고 단독보도했다.

하지만 국과수와 경찰이 수사 진행중인 사건의 핵심 자료라는 이유로 거부했고 민정수석실 관계자는 그냥 돌아갔다고 SBS는 전했다. 이와관련 청와대가 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 개입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민정수석실은 "고위 공직자의 비위여부를 알아보는 것은 청와대의 당연한 권한이라며 수사에 개입하거나 외압을 행사한 것도 아니"라고 해명했다고 <8시뉴스>는 전했다.

또 김행 청와대 대변인도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민정비서관실은 고위 공직자의 재직 중 비위사실 여부에 대해 확인할 권한이 있고, 그러한 취지에서 김학의 전 차관의 동일성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므로 법률과 절차에 위배된 것이 아닌 적법한 활동"이라며 수사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또한, 공식적으로 민정비서관실에서 경찰에 감정결과를 직접 요구할 경우 수사 방해 및 외압 행사라는 의혹이 제기될 우려가 있어 직접 확인하게 된 것"이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22일 감정 결과를 경찰에 이미 회신하였으므로, 수사에 영향을 미친 사실이 전혀 없다"며 거듭 수사 개입 의사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SBS <8시뉴스>는 다른 기사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문제의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동영상 속 남성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을 공문 형식으로 경찰청 특수수사과에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국과수는 경찰이 제출한 김학의 전 차관의 사진과 동영상 속 남성의 모습을 이미지 파일 형태로 추출해 선명화 작업을 벌였다"면서 "그 결과 '두 인물의 외모가 흡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전했다. 하지만 "목소리 지문인 성문 분석에서는 모니터를 다시 촬영했기 때문에 판정하기 어렵다는 소견을 첨부 했다"고 밝혔다.

누리꾼들은 민정수석실이 국과수에 가 동영상 분석 자료를 요구한 것에 대해 비판했다. @Whoi******는 "청와대 요구를 거절한 국과수의 담당자분 대단하군요. 오랜만에 '몰상식'을 '상식'으로 바로잡는 것을 보게 된다"라며 국과수 직원을 추켜세운 후, "청와대는 꾸준하게 삽질 중"이라고 비판했다. @mo*****도 "거부한 국과수가 더 놀라움.."이라며 국과수 행동을 칭찬했다.

"법치를 무시하는 자들입니다"(@Study******) , "청와대 민정수석실 관계자.. 성접대 비디오 분석자료를 국과수에 직접 가서 달라고 해 물의.. 국과수는 거부.. 반손으로 되돌아가.. 이건 지들이 무슨 무소불위의 권력인줄 아나?"(@hand******) 등의 의견도 있었다.

청와대와 경찰이 김학의 전 법무차관의 '성접대 의혹'을 두고 책임 떠넘기기를 하는 가운데 민정수석실이 국과수 동영상 분석 자료를 요청한 사실까지 드러나 파문은 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태그:#성접대 동영상, #민정수석실, #국과수, #김학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당신이 태어날 때 당신은 울었고, 세상은 기뻐했다. 당신이 죽을 때 세상은 울고 당신은 기쁘게 눈감을 수 있기를.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