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주통합당 울산시당 당직자들이 반구대암각화를 살펴보고 있다
 민주통합당 울산시당 당직자들이 반구대암각화를 살펴보고 있다
ⓒ 민주통합당 울산시당

관련사진보기


"자랑스러운 세계적인 문화유산을 또다시 토건족들의 손에 맡겨 둘 수 없다. 주변 환경이 훼손돼 세계사적 가치를 상실하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

선사시대 생활사 연구가치 등으로 국내외로부터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는 반구대암각화, 하지만 보존방안을 두고 문화재청과 울산시가 11년째 대립해 훼손을 가속시키고 있는 데 대해 민주통합당 울산시당이 울산시에 직격탄을 날렸다.

반구대암각화 주변을 막는 방제 건설을 보존방안으로 고수하는 울산시를 '토건족'으로까지 지칭한 민주당 울산시당의 첫 입장은 이례적인 것이었다. 반구대암각화 보존에 변수로 작용될지 주목된다.

반구대암각화(국보 제285호)는 울산 태화강 상류 기슭의 가로 8m, 세로 2m 암벽에 선사시댄 선조들이 고래·개·늑대·호랑이·사슴·멧돼지·곰·토끼·여우·거북·물고기·사람 등의 형상과 고래잡이 모습, 배와 어부의 모습, 사냥하는 광경 등을 표현했다. 문화재청은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 각석(국보 147호)을 묶어 '대곡천 암각화'군으로 지정하고 2001년 1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에 성공했다.

하지만 1971년 동국대학교 탐사반에 의해 발굴되기 6년 전인 1965년 이곳에 사연댐이 건설되면서 현재 암각화가 1년에 6~7개월은 물에 잠기는 상태다. 그만큼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문화재청과 울산시의 보존 방안이 서로 다르기 때문. 문화재청은 댐 수위를 낮추자고 하는 반면 울산시는 시민 식수 부족을 들어 수위는 그대로 두고 반구대암각화 앞을 인위적인 방제로 막자고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 2월 15일 열린 마지막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김황식 총리가 현 정부의 미해결 국정현안과 정책과제로 반구대암각화를 지목하기까지 했다.

울산시는 최근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위한 수리모형 실험을 해온 한국수자원학회가 내놓은 생태제방 축조안을 언론을 통해 적극 홍보하고 있다.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 두고 문화재청-울산시 '줄다리기' 

하지만 민주당은 이 수리모형실험 발표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며 울산시를 압박하고 나서선 것. 민주통합당은 울산시가 홍보하고 있는 한국수자원학회의 생태제방 축조안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과 언론이 수리모형 실험 용역에 전문가의 참여가 전혀 없고, 문화재적 측면과 주변 경관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수문학적 검증일 뿐이라고 지적하고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 울산시당은 20일 성명을 내고 "4000년을 넘게 견뎌오던 한반도의 선사시대 유적이 사연댐 건설 이후 40년 만에 깎아져 내리고 뒤틀리면서 암각화에 그려진 선사시대 동물과 인물 300여 점 중 100여 점 이상이 원형을 상실해 강물에 무너져 내리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울산시가 2001년 보존대책 연구용역 이후 정부와 의견차이만 보여 논란이 증폭되고 장기 표류까지 예견된다"며 "반구대암각화 보존대책의 본질은 세계적인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암각화 유적과 같은 훼손 뒤 복구가 힘든 유적은 개발이 아닌 유적보호를 위한 효과적인 관리에 초점을 둬야 한다"며 "먼저 정부가 물 공급의 안전을 보장한 사연댐 수위 52m 유지를 위한 수문부터 설치해 당장의 훼손부터 막아놓자"고 촉구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국회는 2013년 예산심의에서 반구대암각화 보존대책의 일환으로 문화재청이 추진하고 있는 사연댐 수문설치사업의 예산 30억 원을 국회에서 의결했다. 이 점을 들은 것이다.

민주통합당 울산시당은 "반구대암각화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암각화 생성의 원인이 되는 주변 환경과 수로를 함께 보존하는 것"이라며 "울산의 자랑스러운 세계적인 문화유산을 또 다시 토건족들의 손에 맡겨 주변 환경이 훼손되고, 세계사적 가치를 상실하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울산>에도 실릴 예정입니다



태그:#반구대암각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