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시의회의 부산민주공원 예산 삭감에 반대하는 1인 시위가 8일부터 오는 2월 5일까지 부산시의회에서 진행된다. 8일 낮 12시부터 1인 시위에 나선 음악인 우창수씨가 기타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 있다.
 부산시의회의 부산민주공원 예산 삭감에 반대하는 1인 시위가 8일부터 오는 2월 5일까지 부산시의회에서 진행된다. 8일 낮 12시부터 1인 시위에 나선 음악인 우창수씨가 기타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 있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부산시의회가 부산지역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공간인 부산민주공원의 올해 예산을 절반 이상 삭감한데 따른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부산시의회는 지난해 12월 11일 주변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2013년도 부산민주공원 위탁 운영비를 지난해 대비 52%가량 줄어든 5억 1천만 원으로 확정했다.

하루아침에 예산이 반 토막 난 부산민주공원은 당장 이번 달부터 관련 행사에 차질을 겪고 있다. 부산민주공원 측은 오는 13일로 예정된 박종철 열사 추모제와 다음달 24일 정월대보름 맞이 행사를 취소했다. 현재로서는 매년 40여 개를 진행하던 다른 행사들도 줄취소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시의회 측은 부산민주공원의 예산에서 인건비 등 고정비가 차지하는 항목이 대폭 늘었다는 입장에서 예산 축소에 찬성했다. 하지만 부산민주공원 측은 시의회가 시설 개·보수 비용까지 인건비로 포함해 예산 축소의 명분으로 사용했다며 반발해왔다.

줄어든 예산에 민주공원·시민사회단체 등 반발 이어져

부산 영주동에 자리잡은 부산민주공원. 부산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공간으로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시로부터 수탁·운영하고 있다.
 부산 영주동에 자리잡은 부산민주공원. 부산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공간으로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시로부터 수탁·운영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

관련사진보기


특히 방만한 운영이란 질책 속에서 삭감의 이유가 된 인건비 탓에 부산민주공원 직원들은 올 들어 40% 이상 줄어든 임금을 받고 있다. 직원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노동조합 설립도 검토하고 있다. 고용관계는 부산민주화항쟁기념사업회와 맺고 있지만 부산민주공원을 위탁하는 기관인 부산시에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단일화 된 조직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부산민주공원 측과 함께 지역 문화예술인과 시민단체들도 부산민주공원 예산 회복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우선 8일부터 부산시의회에서 민주공원 예산 삭감에 반대하는 1인 시위가 벌어졌다. 오는 2월 5일까지 매주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점심시간을 이용해 펼쳐지는 이 시위에는 지역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나선다.

8일 첫 1인시위에서는 음악인 우창수씨가 기타와 노래로 예산 삭감에 반대하는 공연을 선보였다. 우씨는 "부산민주공원은 부산에서 민주주의와 관련된 전시와 공연을 하는 유일한 곳"이라며 "민주주의를 가치를 생각해봤을 때 예산삭감을 한 시의원들이 치졸하다"고 시위 동참의 이유를 밝혔다.

관련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도 8일 특별 결의문을 내고 삭감 예산의 원상회복을 주문했다. 이들은 예산삭감을 "최소한의 민주공원 시설운영과 관리조차 불가능하여 불의의 사고에 대한 불안과 시민 불편에 대한 우려는 단순히 민주공원 차원의 문제를 넘어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예산 삭감 불통 뛴 민주당은 몸 사리고, 삭감 주도 의원측은 "삭감 정당"

부산 민주공원 직원들은 2일 오전 민주통합당 부산시당이 참배할 때 예산 삭감에 대해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부산 민주공원 직원들은 2일 오전 민주통합당 부산시당이 참배할 때 예산 삭감에 대해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 민주공원

관련사진보기


이러한 반발이 이어지자 가장 당황하고 있는 곳은 민주통합당이다. 민주당 소속 노재갑 시의원이 이번 예산 삭감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난의 화살이 노 의원과 민주당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일 열린 민주당 부산시당 단배식을 마치고 참배를 위해 민주공원을 찾은 민주당 당직자들에게 민주공원 직원들은 피켓 시위로 항의 의사를 표출했다. 현재 민주당 측은 노 의원에게 이번 사안과 관련된 소명을 요청해 놓은 상태다. 민주당은 소명을 바탕으로 시당 윤리위 차원에 검토를 한 후 중앙당 윤리위에도 회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노 의원은 아직까지 구체적인 답을 내놓지 않고 있어 절차가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부산시당의 한 당직자는 "당 차원에서 예산 삭감을 주도한 일은 없다"며 "비난이 민주당에 쏟아져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소속 의원이 당헌과 당규에 따라 의정 활동을 해야하는 것은 맞지만 의원은 개인의 양심에 따라 의정활동을 할 수 있고 당이 사전에 모든 활동에 관여하기란 무리가 따른다"고 설명했다. 

당 차원의 해명 노력과는 달리 노재갑 의원 측은 여전히 민주공원의 예산 삭감이 불가피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노재갑 의원 측은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민주공원은 예산이 대폭 삭감되서 사업을 못하겠다고 이야기하지만 예산 삭감의 출발점은 현재의 민주공원 규모를 봤을 때 정규직 18명에 계약직 7명을 포함한 25명의 인원이 적절한지의 문제였다"며 "예삭 삭감의 근거는 문제삼지 않고 예산을 53% 삭감했다는 것만을 갖고 논란을 촉발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태그:#부산민주공원, #부산시의회, #노재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