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안희정 충남지사
 안희정 충남지사
ⓒ 충남도

관련사진보기

안희정 충남지사가 시무식 신년사를 통해 "공직자들의 일하는 방식을 바꿀 것"을 거듭 요구하고 나섰다. 그는 3농 혁신을 도정 제1 목표로 내세우면서도 문제를 풀어갈 공직자들이 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안 지사는 2일 도청문예회관(충남 홍성 신청사)에서 가진 시무식 신년사를 통해 "올해 도정의 제1의 목표는 3농혁신"이라며 "하지만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것은 바로 우리 공직자들이 해야 될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장과 기업을 가지고는 절대로 새로운 변화가 안 만들어진다"며 "모든 사람들이 이윤에 기반해서 움직일 때 공직자들은 가치와 미래의 비전을 가지고 움직여야 된다"고 강조했다.

인사제도 혁신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안 지사는 "3농 혁신과 행정혁신, 자치분권의 세 가지 시대의 의무를 위해 신나는 조직이 되어야 한다"며 "이를 위한 인사제도의 대안으로 제안한 직무성과계약, 근무성적평정제도, 역량평가제에 머리를 모아보자"고 덧붙였다.

안 지사는 3농혁신과 관련해서는 ▲ 국가보조금 제도 정비를 전제로 ▲ 친환경유기농·자연순환형 농어업 혁신 ▲ 지역순환식품체계 완성 ▲ 살기좋은 희망마을 만들기 ▲ 지역리더 육성 ▲ 도농교류 활성화 등 5대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국가보조금 제도 일대 정비와 관련 "생산성과 경쟁력을 향상 시켜서 1억 원 수입의 직업인이 되라는 것은 원초적으로 한계가 있다"며 "선진국의 농가소득 직접보조금제도를 샅샅이 뒤져서 어느 나라 농어민 못지않게 제도설계를 하고 이를 국가에 제안하라"고 지시했다.

"어떤 형태든 지역순환 경제시스템 만들어야..."

2일 도청 문예회관에서 열린 충남도 시무식
 2일 도청 문예회관에서 열린 충남도 시무식
ⓒ 충남도

관련사진보기


친환경유기농·자연순환형 농업 필요성에 대해서는 "화학비료와 각종 농약을 통한 증산이 20세기까지의 농업혁명이었다면 이제 소비자들은 식탁에 안정과 좀 더 높은 고품질의 농어업 수산업 축산품을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네 구멍가게들이 지금은 24시간 편의점으로 죄다 바뀌었지만 동네 주민들이 점원이 돼 있을 뿐 지역경제의 선순환경제에 별로 도움이 안 된다"며 "어떠한 형태든 간에 지역순환시스템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포신도시에 대해서는 "2020년까지 인구 10만 명의 계획을 위해서 올해와 내년에 어떤 계획을 세워야 될 것인지 구체적으로 역량을 집중해 달라"고 주문했다.

서해안 유류유출사고 피해 주민들과 관련해서는 "올 1월중 손해사정이 마감되고, 주민들의 정식재판을 청구하는 재판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자연생태계 보존 방안을 강구하고, 피해를 입었음에도 배보상 대상에서 제외된 주민을 위한 방안을 찾아 달라"고 요청했다.


태그:#안희정, #3농혁신, #유류유출사고, #내포신도시, #충남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