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뉴스데스크>는 25일 "기준은 전문성" 실무형 인수위, 부자·대기업 세금 늘린다, 쪽방촌 도시락 봉사 "노인 복지" 등 3꼭지를 박 당선인 보도에 할애앴지만 윤창중 대변인 막말과 막글은 눈을 씻고 봐도 없었다.

MBC <뉴스데스크>는 25일 "기준은 전문성" 실무형 인수위, 부자·대기업 세금 늘린다, 쪽방촌 도시락 봉사 "노인 복지" 등 3꼭지를 박 당선인 보도에 할애앴지만 윤창중 대변인 막말과 막글에 대한 보도는 없었다. ⓒ 뉴스데스크


MBC 노조가 자사의 보도 행태에 대해 강한 비판의 날을 세웠다. MBC 노조는 26일 오후 전국언론노조 MBC본부 민주방송실천위원회(이하 '민실위보고서')를 통해 "보수 언론을 포함해 대한민국의 모든 언론이 보도하는 사안을 보도하지 못하는 언론은 이미 죽은 언론"이라며 대선 직후 MBC의 보도 태도를 성토했다.

문제의 핵심은 최근 박근혜 당선인이 기용한 윤창중 수석 대변인에 대한 보도였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대변인으로 발탁된 윤창중 수석대변인을 두고 MBC가 보도를 외면했다는 내용이었다. 

민실위 보고서는 "윤창중 수석 대변인은 칼럼에서 정운찬 전 총리와 김덕룡, 윤여준 씨 등 문재인 후보의 지지 의사를 밝힌 인사들에 대해 '정치적 창녀'라는 극언을 했다"라면서 또  "종편 채널에 출연했을 때는 야권 단일화를 막장 드라마라고 비난해 선거방송심의위원회로부터 경고를 받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 극우파로 분류되는 윤창중씨가 인수위 수석대변인으로 지명됐을 때 언론은 이를 대부분 다뤘지만 MBC만큼은 예외였다. 민실위 보고서는 "이런 인물을 인수위의 입으로 삼았다면 논란이 될 수밖에 없다. 이것을 보도하는 건 언론의 당연한 소임이다"라면서 "야권 인사들의 발언에 대해서는 '매서운 잣대'를 들이댔던 MBC가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한겨레와 SBS는 윤창중씨 지명 당시 기사를 통해 강경 우파 기용 논란이라면서 우려를 표했다. 보수 매체인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마저 "박근혜 당선인이 강조하는 통합과 대탕평과 거리가 멀다"면서 기사와 사설을 통해 당황스러움을 표하기도 했다.

 윤창중 당선인 수석대변인이 25일 오후 여의도 새누리당 기자실에서 기자들을 찾아다니며 인사를 하던 중 조윤선 대변인을 촬영하던 카메라 기자들이 화면 가려진다며 지적하자 놀라는 표정을 짓고 있다.

윤창중 당선인 수석대변인이 25일 오후 여의도 새누리당 기자실에서 기자들을 찾아다니며 인사를 하던 중 조윤선 대변인을 촬영하던 카메라 기자들이 화면 가려진다며 지적하자 놀라는 표정을 짓고 있다. ⓒ 권우성


민실위는 "MBC는 이 문제를 어떻게 다뤘나? 인선 첫 날부터 각계의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는데 이에 대한 보도는 없었다"면서 "심지어 다음 날인 25일 야당의 비판 논평이 있었는데도, 단신도 쓰지 않았다가 윤창중 대변인이 해명 기자회견을 했고, MBC는 그제야 윤 대변인의 해명만 갖고 세 문장의 단신을 작성했다"고 꼬집었다.

또한 민실위는 "메인 뉴스인 <뉴스데스크>에서는 이에 관해 일절 언급이 없었다. MBC에게는 '윤창중 논란'은 없는 일이나 마찬가지였다. 이를 묻기 위해 민실위 간사가 김장겸 정치부장에게 전화를 했지만 전화를 받지 않았다"면서 "황용구 보도국장은 '정치부에서 판단한 것이다. 국장이 직접 챙길 만한 큰 사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MBC의 보도 태도에 대해 민실위는 "대선 이전 MBC는 극심한 편파 보도를 저질러, MBC에 대한 시청자들의 신뢰는 바닥을 기고 있다. 이런 식이면 선거 이후에도 신뢰를 회복하기란 난망이다"라면서 "언론이 박근혜 당선인에게 듣기 좋은 소리만 하는 것은 당선인을 돕는 것이 결코 아니다"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윤창중 MBC 언론노조 뉴스데스크 뉴스타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