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송암 박두성 선생은 한글 점자를 창안하여 맹인들에게 새 삶을 열어준 위대한 교육자다. 11월 24일 고인의 묘소를 참배하기 위해 길을 나셨다. 남동구청에서 소래쪽으로 300m쯤 달리다가 우회전하여 150m쯤 올라가 차를 세우고 우측을 바라보니 야트막한 야산에 무덤들이 옹기종기 늦가을 햇살에 빛나고 있었다. 옛날엔 묘지 안내판이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져서 나는 묘지를 이장한 줄 알았다. 그러나 예전과 다름없이 선생의 묘소는 예전 그 자리에 있었다. 여러 무덤 중 제일 눂은 위치에 커다란 비석이 보였다. 저기로구나 생각하고 다가가니 그 비석은 노산 이은상 선생의 글을 새긴 추모비였다.

노산 이은상 작시
▲ 추모비 노산 이은상 작시
ⓒ 최일화

관련사진보기


선생은 월드컵이 개최되던 2002년 문화관광부에 의해 4월의 문화인물로 선정되었다.

2002년 문화인물
▲ 송암 2002년 문화인물
ⓒ 최일화

관련사진보기


비석이 보이고 묘지 울타리에 현수막이 보인다. 고인의 탄생 124주기에 맞춰 시각장애인 단체에서 참배하며 걸어놓은 현수막이다.

124주기 현수막
▲ 송암 124주기 현수막
ⓒ 최일화

관련사진보기


10여년 전 찾았을 때는 이런 시설이 하나도 없었다. 이렇게 추모비를 세우고 사람이 다녀간 흔적을 보니 비로소 마음이 편안하다.

추모비와 비석
▲ 송암 추모비와 비석
ⓒ 최일화

관련사진보기


내려오면서 되돌아보며 다시 묘소를 바라보았다. 저만치 추모비가 보이고 현수막이 보인다. 함께한 여러 묘소들이 옹기종기 정답다. 인천시 남동구엔 몇 군데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묘소가 있다. 나는 오늘 네 군대를 돌아보았다. 송암 박두성 묘지. 이승훈 베드로 묘지. 영의정 김재로 묘지, 조정만 묘지 등이다. 차례로 소개하기로 한다.

묘소 전경
▲ 송암 묘소 전경
ⓒ 최일화

관련사진보기




태그:#송암, #박두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의 시, 수필, 칼럼, 교육계 이슈 등에 대해 글을 쓰려고 합니다.

이 기자의 최신기사쉽고 재미있는 시 함께 읽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