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창원 성불사에서 작은 음악회도 열렸습니다.
 창원 성불사에서 작은 음악회도 열렸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지금 들어 가. 들어가라니까."
"옆에서 잔소리 할 거면 내리든지, 아니면 뒤로 가."

'아뿔싸, 실수했네' 싶었습니다. 운전대 잡은 아내의 오금 박는 소리에 입 꼭 다물었습니다. 이게 그렇습니다. 운전 중 끼어들기를 할지 말지, 시야 확보가 곤란한 버스 및 화물차 뒤를 따라가는 답답함 등이 원인입니다. 나름 훈수인데, 아내에게 잔소리일 뿐입니다.

왜 그럴까? 운전석 옆에 앉아 입 다물고 조용히 있으면 좋으련만, 한 마디씩 건네야 직성이 풀립니다. 나쁜 습관입니다. 아내의 날카로운 소리를 들어야 멈춥니다. 저도 고쳐야겠습니다.

지난 일요일, 아내와 창원 성불사에 갔습니다. 혼자 다니던 절집에 처음으로 아내와 같이 간 것입니다. 남편이 다니는 흔적을 알려줘야 그나마 관심을 갖지 않을까 싶어섭니다. 중년에 기죽어 사는 남편의 비애 혹은 사랑의 몸짓인 셈입니다. 법당에 앉았습니다.

스님의 설법 듣고 가슴 뜨끔했던 사연

"남편이 술 먹고 늦게 들어오면, '아이고 저 원수' 그러죠?"

청강스님 말씀에 듣던 내 가슴도 뜨끔했습니다. 옆에 있던 아내는 긍정과 부정의 경계에 있는 애매모호한 미소를 일순간 지었습니다. 나도 아내에게 원수일까?

"남편을 부처님으로 생각하면 마음이 달라집니다. 남편이 늦게 온다고 '저 원수'? 그러지 말고, 남편을 부처님처럼 귀하게 여기면서 칭찬과 격려를 하면 남편이 집에 빨리 들어옵니다. 모든 문제는 나로부터 나옵니다. 나를 낮추면 해결됩니다. 이게 부처님의 자비입니다."

사람 마음 참 간사합니다. 이런 말을 들을 때는 '맞아, 그래야지' 하면서도 뒤돌아서면 잊고 사는 게 중생입니다. 설법 후, 아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스님이 어찌 그리 내 마음을 잘 알까. 당신이 늦게 들어오면 '아이고 저 원수' 그러는데…. 지금부터 당신을 부처님으로 알아야겠네."

아내는 그러면서 "아이고 내 부처님"이라며 안을 듯 달려들었습니다. 그때서야 깨달았습니다. 내가 아내에게 원수였다는 것을. 지금껏 착각하고 살았습니다. 아니, 지금이나마 알아서 다행입니다. '너 자신을 알라'던 나를 이제나마 알게 되었으니. 아내의 확인은 계속되었습니다.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이 중생아..."

창원 성불사 청강스님입니다.
 창원 성불사 청강스님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공양시간, 스님에게 아내를 소개했습니다. 아내는 절 법당에 들어 온 것이 처음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설법 들은 소감을 말했습니다. 

"스님, 꼭 저에게 하신 말씀 같았습니다."
"남편이 늦게 들어옵니까? '부처님' 하세요."
"알겠습니다. '남편=부처님' 하고 살겠습니다."

짧게 오간 말 속에 아내의 마음이 담겨 있었습니다. 몇 마디에는 하고 싶어도 다 쏟아내지 못할 남편에 대한 아내의 애증이 들어 있었습니다. 그나저나 남편을 부처님으로 알고 산다니 고마울 따름입니다. 옆에서 스님에게 한 마디 건넸습니다.

"스님, 남편들을 바보로 만들어야 직성이 풀립니까?"
"그게 아니다. 남자들 편들어준 거다."
"뭐가 편입니까?"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이 중생아…."

돌아오는 길에 아내는 상냥해지고, 살가워졌습니다. 함께 다닌 덕분입니다. 또한 남편에 대한 기대치는 줄었을망정, 가방 하나 메고 혼자 훌쩍 떠나던 남편의 흔적과 체취를 맡은 안도감도 있었을 겁니다. 삶이 다 그런 것을….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도 올립니다.



태그:#성불사, #음악회, #청강스님, #부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