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18일 오전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 6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강원지역 총학생회장단과의 대화'를 마치고 나오고 있다. 박 후보에게 사학비리와 사학법 개정과 관련해서 질문을 한 박주환 상지대 총학생회장이 박 후보 뒤를 따라 나오고 있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18일 오전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 6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강원지역 총학생회장단과의 대화'를 마치고 나오고 있다. 박 후보에게 사학비리와 사학법 개정과 관련해서 질문을 한 박주환 상지대 총학생회장이 박 후보 뒤를 따라 나오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사학분쟁조정위는 학내의 갈등·분쟁을 조정하기 위해 만든 기구다. 후보도 잘 알겠지만 상지대, 세종대, 영남대를 비롯해 비리를 저질렀던 이사진이 복귀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강원도에서 일격을 당했다. 박 후보는 18일 오전 강원도 춘천 강원대학교에서 열린 강원지역 대학 총학생회장단 간담회에서 비리사학 문제 해결에 대한 답변을 요구받았다. 박 후보는 지난 2005년 '개방형이사제(재단 이사진에 외부인사 참여)' 도입을 골자로 한 사학법 개정에 반대하며 50여 일간 장외투쟁을 벌였다. 그 결과, 2007년 사학법이 재개정됐다.

질문을 던진 이는 박주환 상지대 총학생회장이었다. 상지대는 지난 2010년 사학분쟁조정위의 옛 재단 추천이사 정이사 선임 결정 이후부터 분쟁에 휩싸여 있다. 상지대 교수와 학생들은 비리로 물러난 옛 재단이 추천한 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비리재단의 복귀'나 다름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 회장이 영남대까지 거론한 것도 공교로웠다. 영남대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7년 청구대와 대구대를 통합해 만든 곳이다. 박 후보는 10·26 다음 해인 1980년 4월 3대 이사장을 취임했으나 학생들의 반대로 그해 11월 이사장직을 내놓았다. 여러모로 박 후보에게 아플 수밖에 없는 질문인 셈이다. 

일단, 박 후보는 "이 자리에서 세종대, 상지대 등 특정대학을 다 거론하면서 말하기엔 적합하지 않은 것 같다"며 "사학분쟁조정위가 그 취지에 맞게 활동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정학교명을 들먹거리며 얘기하기에는"이라고 말끝을 흐렸다. 이에 박 회장은 "사립대에서 비리가 굉장히 많이 발생하지 않냐"며 "2007년 사학법 재개정 당시 한나라당이 주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침을 가했다. 또 "(박 후보가) 사학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알고 싶다"고 물었다.

박 후보는 "사학을 설립하는 분들은 건학이념이나 종교적 이념에 맞는 인재를 키우고 싶다는 꿈을 갖고 사재를 턴 것 아니겠나"라며 "당시 국가가 어려운 살림이라 (인재를 키우는 일을) 다 못했다, 사학을 세운 분들이 인재를 키우는 일에 공헌했다고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사학 소유구조 바꾼다고 무조건 사학비리 멈춘다는 생각 잘못돼"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18일 오전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 60주년기념관에서 '강원지역 총학생회장단과의 대화'를 갖고 있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18일 오전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 60주년기념관에서 '강원지역 총학생회장단과의 대화'를 갖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2005년 12월 16일 오후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사학법 강행처리 무효 대규모 장외집회에서 당시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와 의원들이 사학법 반대구호를 외치고 있다.
 2005년 12월 16일 오후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사학법 강행처리 무효 대규모 장외집회에서 당시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와 의원들이 사학법 반대구호를 외치고 있다.
ⓒ 오마이뉴스 이종호

관련사진보기


무엇보다 그는 "사학법 재개정 취지는 사학이 자립성·자율성을 갖고, 건학이념을 잘 살려서 인재를 육성하자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일일이 간섭하면 (사학이) 발전하지 못한다"면서 "당시 한나라당이 내놓은 법안은 자율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비리 부분에 대해선 굉장히 엄격하게 적용하는 법"이라고 강조했다. 또 "소유구조를 자꾸 바꿔서 여러 사람을 넣으면 무조건 사학비리가 멈출 것이란 건 잘못된 생각"이라며 "사학의 자율성을 해칠 뿐이지, 실질적 변화는 없다"고 덧붙였다.

박 회장은 "앞으로 반값등록금이 실현된다면 사립학교에도 국가재원이 투입돼야 할텐데 그만큼 사학에 대한 감시와 책임이 필요하지 않겠나"라며 "현 시스템상으로는 이사장·총장 등을 (설립자의) 친인척들이 하고 있어 불가능하다"고 반문했다.

박 후보는 이에 "친인척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법에 돼 있다, 이상하게 숨겨서 못하도록 돼 있으니 법대로 하면 된다"고 답했다. 이어, "반값등록금 이런 것을 지원할 때 대학들에 개혁 요구를 할 것"이라며 "대학도 같이 노력해서 합리적으로 구조조정하고 회계 투명성 등에 대해 의무를 하도록 하면 된다, 대학에 요구할 것은 요구할 것"이라고 답했다. 박 회장은 "사학분쟁조정위 결정으로 대부분의 학교에서 갈등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달라"고 부탁하며 질문을 마쳤다.

그러나 박 회장은 <오마이뉴스> 기자와 만나, "만족할만한 답변이 아니었다"며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대선후보로서 말씀에 책임지셔야 해서 그렇게 답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장외투쟁을 하며 사학법 재개정을 이끈 장본인 아닌가"라며 "지금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상지대에서는 계속 농성과 집회가 열리고 있다, 저 역시 이사회로부터 민·형사상 고발을 당한 상태"라며 "이건 상지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사학은 개인의 재산이 아닌 사회에 기여한 공익적 가치가 있다는 것을 생각해주셨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18일 오전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 6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강원지역 총학생회장단과의 대화'에서 학생들의 질문을 들으며 수첩에 기록하고 있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18일 오전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 6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강원지역 총학생회장단과의 대화'에서 학생들의 질문을 들으며 수첩에 기록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태그:#박근혜, #상지대, #사학법 재개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