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여름 휴가철을 맞아 말레이시아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나라 전체가 국기로 뒤덮였다할 만큼 곳곳에 다양한 방법으로 게양된 국기를 보고 고개를 갸우뚱하게 됩니다.

독립기념일을 맞아 다양한 방법으로 국기를 게양한 상가
▲ 독립기념일의 국기 게양 독립기념일을 맞아 다양한 방법으로 국기를 게양한 상가
ⓒ 김훈욱

관련사진보기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으로는 국기는 기념일에 게양했다가 소중하게 다시 보관하는 것인데 이들은 8월 달 내내 게양합니다. 이는 8월 31일 독립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서입니다. 말레이시아도 1941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지배가 끝나고, 1945년 우리와 같이 독립을 맞았습니다.

그러나 해방을 맞은 말레이시아는 국가 안정을 위해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영국의 도움으로 말라야 연방을 형성하고 영토를 재정립했습니다. 이후 공산주의자의 준동을 안정시킨 다음 안정적 국가 운영이 가능하다는 판단이 선 1957년에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이런 연유로 1945년 우리와 같은해에 일본의 지배에서 벗어났지만, 12년이 늦은 1957년 8월 31일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독립기념일을 기념하기 위해 자동차에 부착한 국기
▲ 국기로 장식한 자동차 독립기념일을 기념하기 위해 자동차에 부착한 국기
ⓒ 김훈욱

관련사진보기


말레이시아에서는 경축일 당일에만 국기를 게양하는 우리와는 달리 독립기념일만 되면 거의 한달 전부터 자발적으로 국기를 게양합니다. 국기를 게양하는 방식도 우리처럼 일률적인 것이 아니고 공공건물에는 그 건물에 맞게, 가정에서는 집 구조에 어울리도록 특색있게 게양합니다. 그러다보니 국기를 벽에 붙이는 사람, 울타리 전체를 도배하는 사람,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됩니다.

건축 공사장에도 국기로 장식을 합니다
▲ 건축 공사장을 장식한 국기 건축 공사장에도 국기로 장식을 합니다
ⓒ 김훈욱

관련사진보기


말레이시아에서는 독립기념일을 전후하여 전국적인 할인판매 행사를 실시합니다. 이는 독립기념일을 맞아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함인데, 이 기간에는 상점에서 파는 물건만 할인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것 등이 할인됩니다. 예를 들어 여행 상품, 자동차는 물론 부동산 심지어 금융기관에서는 특별 금리로 대출을 해 줍니다. 또, 식당에서는 음식 값도 할인하여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예술성 높은 조형물을 설치하고 공원을 조성했습니다.
▲ 말레이시아 독립기념탑 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예술성 높은 조형물을 설치하고 공원을 조성했습니다.
ⓒ 김훈욱

관련사진보기


독립기념일이 가까워지면 각 회사와 학교 등에서는 행진 연습을 합니다. 이 행사는 강제성이 없지만, 전국의 초등학생에서 대학생 그리고 기업체 및 관공서에서는 자발적으로 팀을 만들고 한달 정도 연습한 다음 독립기념일에 군인, 경찰들과 자랑스럽게 행진을 합니다. 이 행사는 매년 수도인 콸라룸푸르와 지방을 번갈아 개최됩니다.

말레이시아가 독립기념일에 시민들이 참여하는 행사를 개최하는 것은 전 국민을 한 방향, 한 마음으로 이끌기 위한 시도인 것 같습니다.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의 사람들이 각자 자기 민족의 언어와 전통의식을 지키며 생활하기 때문에 독립기념일이라는 공통의 기념일을 맞아 스스로 국가를 생각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국민에게 직접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도록 물건을 싸게 팔고 국가에서는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합니다.

우리도 광복절을 맞는 8월 달에 이들처럼 서민생활에 직접 도움이 그런 광복절 행사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요즘 말레이시아는 국민통합을 위해 하나의 말레이시아 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하나의 말레이시아 로고 요즘 말레이시아는 국민통합을 위해 하나의 말레이시아 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김훈욱

관련사진보기



태그:#메르데카기념일, #말레이시아 독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한국 사진작가협회 정회원이었으며, 아름다운 자연과 일반 관광으로 찾기 힘든 관광지, 현지의 풍습과 전통문화 등 여행에 관한 정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생활정보와 현지에서의 사업과 인.허가에 관한 상세 정보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