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누리당 대선기획단 정치쇄신특별위원장으로 선임된 안대희 전 대법관이 27일 오후 여의도 새누리당사 기자실에서 박근혜 대선후보 캠프에 참여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새누리당 대선기획단 정치쇄신특별위원장으로 선임된 안대희 전 대법관이 27일 오후 여의도 새누리당사 기자실에서 박근혜 대선후보 캠프에 참여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죄송한 말이지만, '차떼기'로 대표되는 정치구태는 계속됐다. 제가 이제 와서 근절 대책 한 번 만들어보겠다."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의 '차떼기 대선자금' 수사를 진두지휘한 안대희 전 대법관이 박근혜 대선캠프 양대 축 중 하나인 '정치쇄신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인선되며 밝힌 첫 일성이다. 그는 27일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떼기로 대표되는 정치구태는 항상 있었고 특검도 계속 반복되고 있다"며 "국민들이 편안하게 살 수 있는, 정치부패 없는 나라·신뢰할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보겠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중시하는 직업을 가졌고, 당 측에서 (위원장직) 제의가 왔다고 쉽게 수락하기 힘들었다"면서 정치쇄신특위 제안을 쉽게 수용하기 힘들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근혜, 두 차례 직접 만나 제의 받아... 생각 같은 부분 많아"

그러나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직접 안 위원장을 두 차례 만나 정치쇄신특위를 맡아줄 것을 요청하면서 합류 결정을 내릴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7월 초 약간의 (영입) 움직임이 있었지만 연연하지 않고 미 스탠포드 대학에 (펠로우쉽 연수를) 가기로 약속돼 있었다"며 "경선 과정 중으로 아는데 7월 말 박근혜 후보를 직접 만났고 지난 24일 박 후보를 다시 만났다"고 말했다.

또 "첫 만남에선 (박 후보가) 도움을 요청했는데 미국에 가야 한다는 일반적인 얘기만 하고 회동이 끝났다"며 "금요일(24일) 후보를 뵙고 그 분이 나라를 사랑하는 진정성, 한 번 한 말은 지킬 것이란 믿음이 있어 깨끗하고 맑은 나라를 만드는 데 내가 일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이 자리를 수락했다"고 덧붙였다. 

두 번의 만남 중 어떤 부분에서 박 후보의 '진정성'을 느꼈는지에 대해선 "제가 대의란 말, 대도무문(大道無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큰 도리나 정도에는 거칠 것이 없다는 뜻)이란 말을 많이 쓰는데 (박 후보는) 깨끗한 정치, 바로 가는 나라, 질서가 잡힌 나라 이런 말을 많이 하셨다, 저와 생각이 같은 부분이 많았다"며 "생각이 같은 사람을 위해서 일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후보와 인연이 크게 없어 잘 모르지만 말씀하신 건 반드시 실천하고 그를 담보하기 위해 저 같은 사람을 위원장 시킨 것 아닌가 생각한다"며 "공직을 35년 했는데 더 이상 자리에 미련을 갖고 온 게 아니다, 언제든지 새누리당이 잘못된 방향으로 간다면 그만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거 대선자금 수사 과정에서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이 자신에 대해 '민주당 봐주기'를 했다고 비판한 것에 대해선 "모든 수사에는 역사적 평가가 있겠지만 여·야를 가리지 않는 공정한 수사였다"며 "제 마음도 그랬고 결과도 그랬다"고 반박했다.

"전직 대법관이 특정정당의 선거조직에 합류한 것에 대해 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는 "좋은 점과 나쁜 점이 함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며 "선거운동을 하는 게 아니라 나라의 틀을 잡고 제 생각과 경륜을 보탠다는 생각에서, 직접적인 정치가 아니란 측면에서 스스로 위안을 삼아본다"고 말했다.

"박근혜 측근·친인척도 감시 대상, 아니라면 내가 있을 이유 없어"

새누리당 대선기획단 정치쇄신특별위원장으로 선임된 안대희 전 대법관이 27일 오후 여의도 새누리당사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기 위해 도착하고 있다.
 새누리당 대선기획단 정치쇄신특별위원장으로 선임된 안대희 전 대법관이 27일 오후 여의도 새누리당사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기 위해 도착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정치쇄신특위의 향후 활동 방향에 대해선 "위원회인만큼 소속 위원들과 상의해야 한다"고 전제한 뒤, "측근 비리, 권력형 비리가 다시는 재발되지 않도록 실질적 대책을 마련하고 (후보의 측근 및 친인척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고 법원·검찰 등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 문제, 공천 비리 문제 등을 근절시킬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법부의 신뢰를 제고하는 것이 곧 '사법개혁'을 의미하느냐는 질문에는 "후보가 내세우는 대선공약에 (사법개혁) 포함되지 않겠나"라며 "공약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전문성 있는 분야인만큼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측근 및 친인척 비리 감시 및 근절 대책과 관련해선 "국민이 싫어하는 것을 없애는 게 기본"이라면서 "선거를 둘러싼 부정, 권력형 비리 등을 볼텐데 (특위 위원장직을) 제의하신 분이라도 예외 없다, 박 후보의 측근이라도 (후보에게) 건의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또 "박 후보의 가족들도 (감시 대상에) 포함된다"면서 "법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이다, 박 후보의 가족이 제외된다면 이 자리에 (내가) 있는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선거기구인 특위가 누군가를 감시하거나 조사할 법적권한이 없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법률적으로 조사권한이 있거나 한 건 아니다"면서도 "일반 사람이 일반 사람을 감시하는 정도일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정치쇄신특위가 '뇌물공천 파문'의 당사자인 현영희 의원과 현기환 전 의원 문제를 다루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안 위원장은 "검찰이 현재 수사 중인 사안"이라며 부정적으로 답했다.

한편, 정치쇄신특위는 두 명의 위원을 추가 보강할 예정이다. 안 위원장은 "오늘(27일) 발표된 분 외에도 외부에서 들어올 분이 두 사람 정도 있다, 제가 추천한 사람들"이라며 "절차가 남아있어 구체적인 것을 밝히긴 힘들다"고 말했다.


태그:#안대희, #박근혜, #정치쇄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