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세종시 조감도.
 세종시 조감도.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제공

관련사진보기


세종시가 1일 출범한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신행정수도 충청권 건설'을 약속 한 이후 10년 만이다. 지난 2004년 관습헌법 논란을 일으켰던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 이후 행정중심복합도시로 건설이 결정됐던 세종시는 이명박 정권에 들어 수정 추진 논란을 겪으면서 출범에 이르렀다.

우선 국무총리실을 비롯해 올해 안에 6개 중앙행정기관이 입주할 예정이다. 2014년까지 16개 중앙행정기관과 20개 소속기관 등 모두 36개 기관이 이전하게 되면 공무원만 1만4000여 명이 움직이게 된다. 현재 출범 인구는 12만 명이 조금 넘는 규모다. 하지만 2030년에는 50만 명에 달할 전망이다.

중앙행정기관의 이전은 올 연말부터 본격화 된다.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오는 12월 자리를 옮긴다. 내년 연말에는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지식경제부, 국가보훈처가 2단계로 이전하고, 마지막 2014년 11월에는 법제처, 국민권익위원회, 국세청, 소방방재청 등이 들어선다.

2010년 12월 27일 공포된 '세종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설치된 세종시는 관할구역에 시·군·구 등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두지 않는 자치단체다. 따라서 광역·기초사무를 동시에 수행한다. 관할구역은 연기군 전역(361.4㎢)과 공주시(77.6㎢), 청원군(27.2㎢) 일부를 흡수한 465.2㎢로, 서울의 70% 정도 크기다.

2014년까지 36개 기관 이전... 2030년에는 인구 50만 전망 

도시 구조는 서울과 많이 다르다. 기존 도시들이 대부분 중심부에 주요시설이 들어섰던 것과 달리 세종시는 3개의 대규모 공원이 들어선다. 그 주변을 주거지역과 행정시설들이 둘러싸는 형태다. 단일 공원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134만㎡ 면적의 중앙공원과 대규모 호수공원이 만들어진다. 65만㎡에 이르는 국립수목원도 들어선다. 공원녹지율이 52.4%에 달한다.

눈에 보이는 이동보다 더 관심이 높아지는 건 그동안 수도권에 집중돼 있던 권력의 분산이다. 중앙정부의 지방시대를 열면서 인구 증가와 함께 의료, 교육, 문화 등 국가 서비스 산업 전반의 '대이동'이 일어날 전망이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2015년 세종시에 캠퍼스를 열 예정이고 아트센터, 국립도서관, 디지털문화유산박물관, 대통령기록관, 국가기록박물관 등도 건립된다.

정부기관이 들어서면서 시민사회도 활성화 될 전망이다. YMCA, 참여자치시민연대, 환경운동연합 등 전국 규모의 시민사회단체들이 세종시 지역본부를 설립을 적극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세종시 측은 7월 2일 세종시 조치원읍 세종시민체육관에서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유명 정치인들과 정부주요인사 등 2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치러지는 출범식에 이명박 대통령은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태그:#세종시, #이명박, #노무현, #관습헌법, #출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