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장진수 전 주무관에게 전달된 관봉 다발 5000만 원이 어느 은행에서 나왔는지 파악하고 있다."

 

박영선 민주통합당 MB-새누리당 정권 부패 청산국민위원회(MB 청산위) 위원장의 말이다.

 

그는 14일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금융계 쪽에 알아보니, 관봉다발의 출처를 아는 것이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라며 "그럼에도 검찰 수사에서 밝혀지지 않은 것은 수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 위원장은 "지금 어느 은행인지 밝히면, 검찰이 또 수사에 들어갈 것이기 때문에 지금 밝히진 않겠다"라며 "국정조사를 하게 되면 이런 부분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관봉의 출처가 개인이냐, 기업체냐, 국정원의 특수활동비냐를 밝히는 것이 이 사건이 어떤 성격을 갖고 있느냐를 밝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민간인 사찰에 대한 검찰의 재수사 결과 발표에 대해 "원숭이에게 검사복을 입혀서 수사를 했어도 할 수 있을 만큼 증거가 많이 나와 있었다, 심부름센터에 시켰어도 이렇게는 안 했을 것이다"라며 맹비난했다.

 

검찰의 재수사 후 'VIP 충성 문건'에 대한 입장 발표가 없었던 데 대해서도 그는 "VIP 충성문건에 대해 기사를 쓴 기자가 출처가 어디냐를 두고 검찰로부터 수사를 받았다"라며 "그 문건 자체가 사실임을 의미한다, 검찰이 의도적으로 그 부분을 발표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간인 사찰과 관련해 MB측의 대응은 항상 '개인 차원'이라며 버텨왔다"라며 "검찰은 이 부분에 대해 심도 깊은 수사를 했어야 하는데, 이런 식의 곁가지를 수사해 보도를 한 기자를 협박하는 행태는 앞으로 짚고 넘어가야 되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5000만원 돈 다발 출처에 대한 수사 외에 검찰이 '민정수석실이나 대통령실의 개입 여부, 대통령에 대한 보고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판단, "3차 수사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이 민주당에서 요구한 국정조사를 거부하고 있는 데 대해 그는 "국정조사를 하게 되면 자료 제출을 할 수밖에 없는데, 그 자료를 통해 많은 것을 밝힐 수 있다"며 "새누리당은 국정조사를 두려워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이 국정조사를 할 시, 참여정부 때 민간인 사찰한 것도 함께 넣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을 두고 박 위원장은 "참여정부 때 했던 것도 원하면 하자"며 "(참여정부 당시 사찰)자료를 다 분석해 봤는데 참여정부 때 불법 사찰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태그:#민간인 사찰, #박영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