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서울에도 봄이 완연합니다. 이제서야 우리 곁에 왔는데, 봄을 느끼기도 전에 가버리는 것이 아닐까 싶은 봄날입니다.
▲ 꽃마리 서울에도 봄이 완연합니다. 이제서야 우리 곁에 왔는데, 봄을 느끼기도 전에 가버리는 것이 아닐까 싶은 봄날입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저 꽃이 떨어지고나면 빨간 앵두가 익겠지요. 앵두가 익을 무렵이면 봄은 저만치 달아나고 여름이 성큼 다가오겠지요.
▲ 앵두 저 꽃이 떨어지고나면 빨간 앵두가 익겠지요. 앵두가 익을 무렵이면 봄은 저만치 달아나고 여름이 성큼 다가오겠지요.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아직 피어보지도 못한 채 간밤의 비바람에 떨어져 버린 꽃.
▲ 살구꽃 아직 피어보지도 못한 채 간밤의 비바람에 떨어져 버린 꽃.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맨땅에 떨어지는 것도 서러운데 콘크리트 바닥입니다. 떨어져서도 돌아갈 곳 없어 그냥 말라 비틀어진 운명입니다.
▲ 개나리 맨땅에 떨어지는 것도 서러운데 콘크리트 바닥입니다. 떨어져서도 돌아갈 곳 없어 그냥 말라 비틀어진 운명입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매화의 꽃잎도 하나 둘 떨어집니다. 검은 아스콘에 떨어진 꽃잎, 낙화한 꽃의 마음과 대비되는 듯하여 마음이 짠합니다.
▲ 매화 매화의 꽃잎도 하나 둘 떨어집니다. 검은 아스콘에 떨어진 꽃잎, 낙화한 꽃의 마음과 대비되는 듯하여 마음이 짠합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바람에 흔들리는 버드나무. 저 멀리 보이는 성냥갑 같은 건물들은 바람에 흔들릴 줄도 모릅니다.
▲ 버드나무 바람에 흔들리는 버드나무. 저 멀리 보이는 성냥갑 같은 건물들은 바람에 흔들릴 줄도 모릅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노란 봄, 그 봄은 그냥 그렇게 피는 듯 가버렸습니다.
▲ 개나리 노란 봄, 그 봄은 그냥 그렇게 피는 듯 가버렸습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작은 흙 한 줌, 콘크리트 갈라진 작은 틈만 있어도 희망을 피우는 꽃.
▲ 민들레 작은 흙 한 줌, 콘크리트 갈라진 작은 틈만 있어도 희망을 피우는 꽃.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화들짝 피어난 진달래, 길어야 일주일도 가지 못하는 청춘이건만 겨우내 인내하며 피어났습니다.
▲ 진달래 화들짝 피어난 진달래, 길어야 일주일도 가지 못하는 청춘이건만 겨우내 인내하며 피어났습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산동네를 오르는 계단과 벽에 그려진 그림. 꽃이 피어날 수 없는 곳에 꽃이 피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림을 그렸을 것입니다.
▲ 그림 산동네를 오르는 계단과 벽에 그려진 그림. 꽃이 피어날 수 없는 곳에 꽃이 피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림을 그렸을 것입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는가 싶더니, 그냥 허무하게 가버립니다. 봄이 와도 봄을 보는 사람만이 볼 수 있듯이, 봄이 다 지나고 나서야 지나간 봄을 아쉬워합니다. 역사의 봄맞이를 하지 못한 듯하여 헛헛한 날입니다. 삶이란 자신이 선택한 것에 대한 책임입니다. 봄이 왔을 때, 봄을 느낄 수 있는 심성을 더 키운 뒤에야 봄이 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직은 봄이요, 열심히 봄이 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젯밤(11일) 바람이 차가웠는지, 봄이 다 오기도 전에 낙화한 꽃들이 보입니다.

살구꽃, 개나리, 매화...

떨어진 그들이 있어, 남은 꽃이 더 실한 열매를 맺을 수 있을 것입니다. 떨어진 꽃에게 감사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아직도 더 많은 꽃을 떨구고서야 열매 맺을 준비를 하겠지요. 자잘한 열매를 수없이 맺는 것보다 제대로 된 열매를 맺기 위한 배려겠지요. 떨어진 꽃은 기꺼이 그들이 보지 못할 열매를 위해 콘크리트, 아스팔트 바닥에 날개도 없이 추락했습니다.

꽃은 흙에서만 피어나지 않습니다. 때에 따라서는 도저히 꽃이 피어날 수 없는 곳에 피어나기도 합니다. 스스로 피어나지 못하면 그림을 그려서라도 꽃을 피어나게 하는 것은 꽃이 희망을 상징하기 때문인가 봅니다. 아직, 우리들 마음엔 희망의 씨앗이 남아 있는 것일까요?

"아직도 봄이건만 너는 어찌 벌써 떨어졌는고?"

물어도 아무 대답이 없습니다. 날개도 없이 추락한 충격 때문인가 봅니다.

덧붙이는 글 | 이 사진은 4월 12일, 서대문구 금화동과 충정로 일대에서 담은 것들입니다.



태그:#진달래, #살구, #앵두, #개나리, #꽃마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