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 마련된 선거종합상황실에서 김포에 출마한 유정복 후보가 당선 확정되자, 이혜훈 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이 종합상황판의 후보 이름에 태극기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 마련된 선거종합상황실에서 김포에 출마한 유정복 후보가 당선 확정되자, 이혜훈 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이 종합상황판의 후보 이름에 태극기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이렇게 될 줄 예상 못했다. 설명할 길이 없다. 허허"

민주통합당의 넋두리가 아니다. 이상돈 새누리당 비대위원도 그저 웃을 뿐, 새누리당 19대 총선 승리 원인을 명쾌히 설명해내지 못했다. 

이번 총선 결과는 명백한 '박근혜의 승리'다. '탄핵 역풍 때보다 민심이 안 좋다'던 열세 상황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은 당도 구하고 민간인 불법사찰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청와대도 구했다.

박근혜 위원장이 당을 맡아 당 이름도, 정강도, 총선 공천자들도 대거 바꿨고 전국을 돌며 지원유세를 펼친 결과 '탄핵 역풍 때보다 상황이 안좋다'던 새누리당은 원내 1당의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새누리당 원내 1당 수성...박근혜의 득표력 입증

새누리당이 패한 지역이라곤 전통적 약세지역인 전남·전북을 제외하면 서울과 경기 정도다. 같은 수도권인 인천에서도 새누리당은 승리했다. 패배한 서울·경기에서도 득표결과를 보면 박빙 승부가 많아 예상 외로 선전했다는 평가다.

야권이 '낙동강 벨트'를 내세워 대대적 공세를 펼친 부산에서도 3선에 성공한 조경태 의원 지역구 외에 대선주자 문재인 후보의 사상만 내주고 지켜내는 데에 성공했다. 서울과 경기 지역만 제외하면 '박근혜의 득표력'이 그대로 입증된 셈이다. 

선거기간 내내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이 폭로됐고, 그 전 부터도 새누리당 앞에는 이명박 정부의 실정과 무능, 대통령 측근들의 비리 사건, 중앙선관위 서버 디도스 공격 사건 등 굵직한 악재들이 펼쳐졌다. 여권에는 악재가 계속되고, 야권은 공세 수위를 최고조로 올린 상황에서 박 위원장이 대반전을 펼쳐낸 것.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신랄한 비판으로 새누리당과 현 정권의 차별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 이상돈 비대위원은 '박근혜의 힘'에 대해 "설명할 길이 없다"면서도 몇 가지 분석을 내놨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 마련된 선거종합상황실에서 이준석 비대위원이 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보고 있던 박근혜 중앙선대위원장에게 앵그리버드를 보여주고 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 마련된 선거종합상황실에서 이준석 비대위원이 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보고 있던 박근혜 중앙선대위원장에게 앵그리버드를 보여주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심판' '척결' 같은 거친 말에 피로감...'오직 민생'은 환영"

"야권이 너무 거칠었다"는 게 이 위원의 진단이다. 그는 "박 위원장은 줄곧 민생 얘기만 한 반면, 야권에선 '심판' '척결' 같은 말을 쓰면서 심판론을 부각했는데, 지난해 무상급식 주민투표와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비슷한 말을 들어온 유권자들이 피로함을 느꼈을 거라 본다"고 분석했다.

이 위원은 이어 "정치하는 사람들의 문법으론 당연한 얘기겠지만 일반 국민들은 그런데에 익숙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박 위원장의 어젠더 설정이 좋았다. 오로지 민생 얘기만 하고 '매사에 진보니 보수니 하지 말자'는 메시지가 통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또 "새누리당 공천 후반부에는 문제가 있었지만, 교체비율 25%를 정해놓고 다선 의원들을 대거 교체한 것도 국민에게는 신선하게 다가갔을 것"이라며 "민주당이 식상한 공천으로 지탄을 받으면서 이 부분이 더욱 부각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위원은 이어 "주변에서 '듣도 보도 못한 후보들이 나와 많이 선전하고 있는 게 좋다'는 평가를 많이 들었다"며 "정치 초짜들이 많이 등장한 것에 대해 국민들이 신선하게 본 것 아니겠느냐"고 평가했다.

'박근혜의 힘'의 원천이 무엇이든 간에 탄핵역풍 속에서 천막당사로 당을 구한 데 이어 '지는 판'이 뻔했던 1총선을 승리로 이끌어 명실상부 '선거의 여왕'이 된 박 위원장에 대한 새누리당의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당내 견제도 쉽지 않다. 정몽준, 이재오 의원 등 잠재적 비판세력도 이번 선거에서 살아남았지만, 이들을 받쳐줘야 할 주요 측근들은 공천에서 탈락하거나 선거에서 패배해 세력을 유지하기 힘들게 됐다.

이번 총선 결과로 박 위원장에 대한 '수도권 득표력이 약하다'는 평가는 여전히 남을지 몰라도, 박 위원장이 서울·경기 이외의 지역에서 보여준 득표력으로 수도권 열세를 만회한 것을 보면,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과정에서 친이명박계가 주장했던 '박근혜 한계론'도 힘을 얻기 어렵게 됐다.


태그:#박근혜, #선거의여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상근기자. 평화를 만들어 갑시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