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4․11 총선 때 투표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참정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이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9일 오전 고용노동부 창원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 투표시간 보장'을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노동자 투표참여 캠페인'을 벌이면서, 7일까지 1주일 동안 전화·전자우편으로 노동자들한테 투표시간을 보장하지 않는 업체들에 대한 제보를 받았고, 주요 사례를 이날 공개했다.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과 김천욱 민주노총 경남본부장, 허재우 금속노조 수석부위원장은 9일 오전 고용노동부 창원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 투표시간 보장"을 촉구했다.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과 김천욱 민주노총 경남본부장, 허재우 금속노조 수석부위원장은 9일 오전 고용노동부 창원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 투표시간 보장"을 촉구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민주노총은 1주일 동안 총 783건의 제보가 있었고, 연락처가 확인된 364곳에 대해 사실 여부를 파악하고 투표시간을 정상적으로 보장해 줄 것을 요청했다. 364곳 가운데 297개 업체는 시정을 약속했고 나머지는 사실과 다르다거나 특별한 대답을 하지 않았다는 것.

경기도 반월공단에 있는 '시험기관'에 다니는 한 노동자는 "선거일에 출근하라고 한다. 비밀보장을 부탁하는데, 안 되면 회사에서 잘릴지 모른다"고, 부산 강서 녹산공단 내 한 업체에 다니는 노동자는 "투표날 출근해야 한다. 회사 혼내달라"고 알려왔다는 것이다.

또 한 학습지 노동자는 "매번 선거 때마다 항상 출근했다고, 또 한 중소업체 근무자는 "10년 일하는 동안 선거날에 단 한 번도 휴일을 경험해 보지 않았다"고, 한 전자서비스 전국센터 노동자는 "노동부에 문의했더니 노조가 있어야 된다고 하던데 노조도 없고 해서 아침에 투표하고 출근하기 힘들다"고 제보했던 것이다.

밀양의 한 개인병원 종사자는 "선거일에 평상시와 동일하게 근무해야 한다"고, 한 택배기사는 "선거날 배송 때문에 투표 못하고 일해야 한다"고, 창원 한 대기업 계열사 종사자는 "오후 5시 퇴근인데 씻고 가려면 투표하기 힘들다"고 호소했다.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과 김천욱 민주노총 경남본부장, 허재우 금속노조 수석부위원장은 9일 오전 고용노동부 창원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 투표시간 보장"을 촉구했다. 사진은 김영훈 위원장이 회견문을 낭독하는 모습.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과 김천욱 민주노총 경남본부장, 허재우 금속노조 수석부위원장은 9일 오전 고용노동부 창원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 투표시간 보장"을 촉구했다. 사진은 김영훈 위원장이 회견문을 낭독하는 모습.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김영훈 위원장은 "젊은 사람들이 정치에 무관심해서 투표율이 낮아진다고 하는데, 사실은 투표 자체가 봉쇄되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비정규직차별보호법이 있지만, 신고 주체가 비정규직으로 되어 있어 해고를 감내해야 한다. 참정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며 투표는 모든 유권자에게 공평하게 주어지는 권리다"며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투표를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노동자들이 너무나 많다"고 밝혔다.

이어 "이같은 현실은 주무기관인 노동부와 선관위의 책임이 크다. 근로감독권을 가진 노동부는 노동자 참정권 보장을 위한 어떠한 활동도 하지 않았고, 선관위 역시 홍보조차 제대로 하지 않았다"며 "심지어 이런 현실 개선을 위한 민주노총의 면담요구조차 묵살하였다"고 덧붙였다.

민주노총은 "전 조직을 가동하여 투표참여 캠페인을 더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공정언론을 쟁취하기 위해 파업투쟁을 전개하고 있는 언론노조 소속 노동자들과 함께 참정권 행사를 호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4.11총선, #참정권, #민주노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