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인규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 등 민간인 불법사찰을 저지른 공직윤리지원관실 핵심 4인방이 2008년 7월 16일부터 2010년 6월 23일까지 총 195회에 걸쳐 청와대를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인규 지원관을 비롯해 진경락 전 총리실 기획총괄과장, 왕충식, 김충곤 전 사무관 등 4명은 당시 청와대를 방문해 권재진 청와대 민정수석(현 법무장관), 장석명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 이강덕 민정수석실 공직기강팀장(현 서울지방경찰청장) 등을 만난 것으로 확인됐다.

 

박영선 민주통합당 'MB-새누리 심판 국민위원회' 위원장은 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공직윤리지원관실 직원들의 청와대 출입기록을 공개하고 "민간인 불법사찰 관련 보고가 민정수석실을 비롯한 청와대에 보고됐다는 증거자료"라고 밝혔다.

 

박영선 "청와대, 더이상 몰랐다 발뺌하기 힘들 것"

 

민주당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이인규 전 지원관은 지난 2008년 7월 16일 당시 조재정 청와대 사회정책수석실 선임행정관을 3시간 52분 동안 만난 것을 비롯해 2010년 6월 7일까지 총 62회나 청와대를 방문했다.

 

권재진 전 민정수석과는 6차례, 장석명 선임행정관과는 27차례, 이강덕 전 공직기강팀장과는 15차례, 최종석 전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과는 7차례, '몸통'을 자처한 이영호 전 고용노사비서관과는 2차례 만났다. 이 전 지원관의 청와대 출입기록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최종석 전 행정관과 이강덕 전 팀장을 주로 만났고 2009년 4월 이후로는 장석명 전 행정관을 만났다.

 

진경락 전 총리실 기획총괄과장은 2008년 7월31일 최종석 전 행정관 면담을 시작으로 2010년 6월 23일까지 총 83회 청와대를 방문했다. 진 전 과장은 최종석 전 행정관을 63회나 만났고 장석명 전 선임행정관과 이강덕 전 팀장도 각각 5회와 2회 면담했다.

 

또 왕충식 전 사무관은 48회, 김충곤 전 사무관(점검1팀장)은 2회 청와대를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영선 위원장은 "이들의 출입기록을 볼 때 청와대는 더 이상 몰랐다고 발뺌하기 힘들어 보인다"며 "당시 권재진 민정수석, 장석명 비서관 등은 이들로부터 무엇을 보고 받고 무엇을 은폐하라고 지시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권재진 전 수석이 법무부 장관 위치에 있는 한 검찰이 아무리 사즉생 각오로 수사해도 제대로 될 리가 없다"며 "권 장관은 당장 물러나고 검찰은 사찰 관련 보고 회사가 많은 장석명 전 비서관에 대한 수사에도 바로 착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와대에 83차례나 드나든 진경락 전 과장도 당장 소환해야 한다, 진 전 과장에 대한 수사가 민간인 사찰과 증거 인멸을 규명하는 핵심 고리"라고 강조했다.

 

"권재진 사퇴, 장석명·진경락 바로 수사해야"

 

 

박 위원장은 또 2010년 6월 23일 이후 이들 4인방의 청와대 출입기록 공개도 요구했다. 그는 "민간인 불법사찰이 들통난 이후에도 이들은 청와대에 출입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청와대가 출입 기록을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전날(1일) 청와대가 참여정부 시절에도 총리실 조사심의관실에서 사찰이 이뤄졌다고 주장하면 김영환 의원 등을 사례로 제시한 것에 대해서도 적극 반박했다. 2003년 2월 만들어진 김 의원 관련 보고서에는 김 의원이 세무조사를 무마해달라는 주유소 사장의 청탁을 받고 국세청 간부에게 선처를 부탁했다는 의혹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위원장은 "청와대가 현재 총선 후보인 김영환 의원을 언급한 것은 명백한 선거개입"이라며 "이름만 언급할 게 아니라 자료가 있다면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도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이 주장한 김영환 의원 관련 문건은 첩보사항에 대한 단순 문건으로 그 내용도 청탁을 받았다고 의심되는 국세청 간부에 대한 통상적인 감찰 이전의 첩보 수준"이라며 "청와대가 잘못했으면 지난 정부도 잘못한 것이라는 청와대의 논리가 해괴하다"고 밝혔다.


태그:#불법사찰, #박영선, #권재진, #진경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