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숲의 봄은 가장 낮은 곳에서부터 옵니다.
▲ 너도바람꽃 숲의 봄은 가장 낮은 곳에서부터 옵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봄비가 내렸습니다.
그 숲, 그 자리에 여전히 그 꽃은 피어날까 궁금했습니다.
위태위태하지만 숲 가장 낮은 곳에 점점히 뿌려진 흰눈같이 피어난 꽃들이 보입니다.

그녀의 이름은 너도바람꽃입니다.
숲은 절대로 키 큰 나무부터 싹을 내지 않습니다.
가장 여린 것들과 숲의 가장 낮은 곳에 사는 이들이 피고지면, 그보다 조금 더 큰 것들이 싹을 내고, 그렇게 숲의 봄은 옵니다.

이끼의 삭이 봄비를 머금고 있습니다.
▲ 이끼의 삭 이끼의 삭이 봄비를 머금고 있습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추운 겨울, 혹시라도 땅 속에 있는 씨앗들 얼어터질까 그들을 감싸주었던 이끼입니다.
'지의류'는 땅의 옷에 해당하는 식물입니다.

봄이 오니 이제 그들은 갈 준비를 하면서 삭을 내놓습니다.
봄비가 그들의 노고를 치하하려는 듯 영롱한 비이슬을 달아주고, 마침 햇살이 비추어 그들을 세상의 어떤 보석보다도 눈부시게 합니다.

봄의 빛깔, 작은 이끼의 삭들이 봄의 노래를 부르는 듯합니다.
▲ 봄빛 봄의 빛깔, 작은 이끼의 삭들이 봄의 노래를 부르는 듯합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이렇게 낮고, 작고, 연약한 것들이 먼저 봄을 맞이하도록 배려하는 자연처럼 우리네 세상도 그러면 얼마나 좋을까 싶습니다.

세상은 피어나려하면 짓밟고, 꺾어버립니다.
자라나는 이들에게 이런저런 스펙들을 쌓아야만 한다고 강요하며 자신을 자책하게 만듭니다. 어른들의 잘못을 고스란히 젊은 세대에게 전가하면서도 "왜, 너희는 그렇게 밖에 못사냐?"고 호통치는 세상입니다.

앉은부채의 속내, 철퇴를 닮았습니다.
▲ 앉은부채 앉은부채의 속내, 철퇴를 닮았습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철퇴를 닮은 앉은부채의 열매, 연하디 연한 철퇴지만 얼음을 녹이고 피어났습니다.
세상 물을 흐리는 이들에게 한 번쯤은 정신차리라고 철퇴를 휘두른다면 세상은 좀 나아질까요?

철퇴를 맞아야 할 이들이 판을 치는 세상이지만 절망할 수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봄이 가장 낮은 곳에서부터 연약한 것들로부터 오는 것처럼, 역사의 봄은 기득권자들에게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서 소외당한 이들, 낮은 삶을 강요당하는 이들에게로부터 오기 때문입니다.

조금 더뎌도 그렇게 봄이 오듯, 역사도 후퇴하는 듯하지만 진보할 것입니다.

계곡의 얼음이 차마 녹기전에 피어나는 꽃입니다.
▲ 괭이눈 계곡의 얼음이 차마 녹기전에 피어나는 꽃입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계곡의 얼음이 아직 다 녹지 않았는데 뭐가 그리 급하다고 피어났을까 싶습니다.
"그들이 피어나야 봄이니까"라고 이제 막 맑은 소리를 내는 계곡물에 힘을 실어준 물방울이 속삭입니다.

그렇지요.
그들이 피어나야 봄이 오지요.

햇살에 기지개를 켜는 너도바람꽃입니다.
▲ 너도바람꽃 햇살에 기지개를 켜는 너도바람꽃입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아주 오랜만에 그 숲에 오랫동안 머물렀습니다.
그래도 몸이 춥지않은 것을 보니 완연한 봄, 거스를 수 없는 봄이 왔습니다.

다시 너도바람꽃이 피어난 곳으로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다소곳이 고개를 숙이고 있더니만 기재개를 펴듯 활짝 피어났습니다.

숲은 아직 텅 비어있습니다.
이제 막 낮은 곳에서부터 찬란한 봄이 시작되었기에 텅 비어있습니다.
이 텅 빈 숲 충만해질 즈음이면 봄은 가고 또다른 계절이 우리 앞에 와 있을 것입니다. 그때엔 우리의 역사도 겨울 지나고 봄이면 좋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3월 17일 경기중부지역에서 담은 사진들입니다.



태그:#너도바람꽃, #이끼, #봄비, #앉은부채, #괭이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