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참여연대와 민변 회원들이 14일 오전 청와대 입구 청운동사무소앞에서 '민간사찰·증거은폐 관련 대통령 사과 및 진실규명 요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참여연대와 민변 회원들이 14일 오전 청와대 입구 청운동사무소앞에서 '민간사찰·증거은폐 관련 대통령 사과 및 진실규명 요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오마이뉴스>가 만드는 팟캐스트 방송 <이슈 털어주는 남자>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된 '민간인 불법 사찰 증거 인멸 사건'과 관련 한상대 검찰총장 등 검찰 수뇌부가 이 문제를 재수사하기로 결정해 주목된다.

'민간인 불법 사찰 증거 인멸' 과정을 밝힌 장진수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은 "청와대와 검찰의 개입 의혹이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장 전 주무관은 16일 오전 <오마이뉴스>와 한 전화통화에서 "검찰이 재수사에 나선 것은 반가운 일"이라며 "검찰 재수사를 통해 진실이 더 밝혀지길 바란다"고 기대를 나타냈다. 그는 "최종석 전 청와대 행정관이 제게 했던 말들, 특히 증거인멸과 관련해 청와대와 검찰 조율 의혹이 사실인지 아닌지 밝혀져야 한다"며 "검찰이 의지를 가지고 수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 전 주무관은 "청와대와 검찰이 조율했기 때문에 (저의 증거인멸 실행이) 전혀 문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지만 저는 결국 사법처리됐다"며 "이것은 개인적으로 풀어졌으면 하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검찰, '재수사' 급선회... 윗선 수사 불가피

검찰은 전날(15일) 민간인 사찰 증거인멸 지시 의혹을 재수사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오후까지만 해도 "총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머뭇거리던 검찰이 '재수사'로 급선회한 것이다.

이날 대검의 한 관계자는 "원래 선거기간에는 정치적 사건을 수사하지 않는 게 원칙"이라며 "민간인 사찰 증거인멸 의혹도 총선 전에 재수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검찰은 "장 전 주무관의 주장 중 새로운 진술이 재수사를 할 만한 증거라고 판단해 검찰 수뇌부가 재수사를 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재수사는 서울중앙지검에서 맡을 예정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최종석 전 행정관이 민간인 사찰 증거인멸을 지시했고, 이것을 장 전 주무관이 폭로하려고 하자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과 최 전 행정관이 취업과 현금 등을 미끼로 회유했다는 '새로운 주장'의 사실 여부를 가려야 한다. '국기문란행위'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의혹도 검찰이 풀어야 할 과제다. 

결국 이는 '증거인멸 지시의 윗선' 수사로 드러날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이영호 전 비서관과 최종석 전 행정관, 진경락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 기획총괄과장 등이 수사선상에 오를 전망이다.

<오마이뉴스>는 이영호 전 비서관의 핸드폰을 통해 연락을 시도했지만 핸드폰이 꺼진 상태였다. 다만 이 전 비서관과 직접 통화했다는 한 인사는 "이 전 비서관이 특수활동비 280만 원 상납 등에 관해 전혀 모르는 분위기였다"고만 전했다.

또한 장 전 주무관이 "최종석 전 행정관이 '청와대 민정수석실과 얘기가 다 됐다, 검찰에서도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주장한 것도 수사대상에 오를지 관심대상이다. 검찰도 증거인멸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이어서 검찰로서는 가장 곤혹스러운 대목이다.

☞ '민간인 불법사찰 증거 인멸 사건' 최초 공개, 이털남 듣기


태그:#민간인 사찰 증거인멸 의혹, #장진수, #이영호, #검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1970년 전남 강진 출생. 조대부고-고려대 국문과. 월간 <사회평론 길>과 <말>거쳐 현재 <오마이뉴스> 기자. 한국인터넷기자상과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2회) 수상. 저서 : <검사와 스폰서><시민을 고소하는 나라><한 조각의 진실><표창원, 보수의 품격><대한민국 진보 어디로 가는가><국세청은 정의로운가><나의 MB 재산 답사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