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빗소리가 창밖을 두드리는 이슥한 밤, 전화벨이 요란스럽다. 몽롱한 정신으로 전화를 받자마자 여자의 곡소리가 들려왔다. 제XX, 지겹도록 끈질기게 따라붙는 몽달귀신 같은 고약한 인연(因緣)에게서 걸려온 전화였다. 모처에 글을 썼는데 자기가 쓴 글에 댓글 안 달아줬다고 새벽 3시에 걸려온 전화였다. 내가 별난 사람인지 내 주변 사람들이 별난 건지 나에게는 별별 웃기지도 않는 인연들이 수두룩하다.

"으~흐흐흑~~~ 흑흑~~~."
"아이 낌짝이야! 누구야? 왜 그러세요?"
"누나다 상연아. 으흑흑~~~."
"누구세요? 아이참!"
"흑흑~~~ 누나야. 이제는 목소리도 잊었니?"
"이 밤중에 웬일이슈? 옆에서 누워 자던 서방이 죽었수? 왜 울고 그래?"
"그게 아니구, 내 글에 너는 댓글 안 달더라? 너 누나 미워하니?"
"제XX, 잠 좀 자게 전화 좀 끊어 제발."
"이 자식아 너 누나한테 그러면 안 돼. 으~흐흑~ 흑흑~~~."
"옆에 누워 있는 서방 안 죽구 멀쩡히 살아있으면 울지 말고 이제 그만 좀 끊어 제발."
"야 상연아, 으~흐흐흑~흑흑~~~ "

오는 정이 있어야 가는 정도 있고 댓글도 품앗이라고 어떤 이가 그러더라만 제법 공감이 가는 얘기다. 그렇다고 새벽 3시에 전화까지 걸어가며 댓글 구걸은 좀 우습지 않은가? 소통이라는 것이 꼭 오고가는 게 있어야만 소통이 아니다. 마음으로는 분명 뭔가 와 닿는데 글로 표현하기가 어려워 댓글을 못 쓰는 수도 있고 나처럼 게을러서 안 쓰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내 글에 댓글을 달아달라는 구걸을 하기 전에 일부러 내 글을 클릭해서 읽는 상대방의 귀한 시간을 아깝게 하지는 않았는가? 부터 반성할 일이다.

.
▲ . .
ⓒ 조상연

관련사진보기


기사도 마찬가지다. 메인에 실리는 기사든, 쪽 기사든 신문사에서 정해놓은 잣대라는 게 있다. 오마이뉴스 같은 경우 잉걸기사는 잉걸기사 만큼, 버금은 버금만큼, 으뜸이나 오름 역시 나름대로의 기준이 있다. 나도 간혹 '사는이야기' 쪽에 소소한 일상사를 보내지만 열에 아홉은 잉걸기사다. 그러나 나는 안다. 왜 내 기사가 잉걸수준에 머무르는지를.

기사 속에 심오한(?) 철학이 들어 있느냐 아니냐를 따지기 전에 신문이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신문사의 기자들도 메인을 차지하기 위해서 눈에 안 보이는 경쟁이 있는 줄 안다. 그러나 내 기사가 메인에 안 실리는 것을 탓하기 이전에 왜 그럴 수밖에 없는가 하는 철저한 자기반성이 앞서야 되지 않겠는가.

.
▲ . .
ⓒ 조상연

관련사진보기


가수가 음반 안 팔린다고 기획사 탓을 하고 소설가가 책 안 팔린다고 출판사의 마케팅전략을 탓할 수는 없는 일이다. 노래를 잘 하면 마케팅이 없어도 음반은 팔리고 소설의 내용이 재미있고 글 속에 알맹이가 있으면 대형서점의 안 보이는 구석에 처박혀 있는 책이라도 독자들은 귀신같이 찾아낸다. 엄밀히 말하면 노래나 글도 하나의 상품이다. 상품의 질이 좋으면 소비자는 더 많은 대가를 치르더라도 구매할 수밖에 없다. 루이비통이 그렇고 독일의 아우디가 그렇다.

가수가 음반 안 팔린다고 기획사의 마케팅 전략을 탓하며 소설가가 책이 안 팔린다며 출판사의 마케팅전략을 탓할 일은 아니다. 또한 내 글에 댓글 안 달아준다고 타박할 일도 아니다. 일차적인 문제는 노래를 못하는 가수 자신에 있고 알맹이가 없는 글을 쓴 자신에게 있지 마케팅을 주도하는 그룹이나 소비자에게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도대체 무슨 근거로 자신의 노래가 최고요, 내 글이 최고라며 소비자를 향해 옥석도 구분 못한다고 손가락질을 해대는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사설이 길었는데 새벽 3시에 전화기를 통해 들려오는 귀신 곡하는 소리도 무작정 미워할 수만은 없는 게 가수나 소설가나 또는 댓글 안달아 준다고 안달하는 누이나 그들의 철딱서니 없는 모습에서 알싸한 연민의 정을 느끼는 까닭이다. 너나 할 것 없이 사람의 욕심이 다 그렇고, 사람 사는 모습이 다 거기서 거기지 싶은 게다. 나라고 뭐 별 수 있겠나? 아무튼 자기 글에 아는 척 안 해준다는 누이의 한밤중 전화 속 눈물로 별스런 글을 다 써본다.


태그:#소설가, #가수, #댓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편안한 단어로 짧고 쉽게 사는이야기를 쓰고자 합니다. http://blog.ohmynews.com/hanast/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