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4일 군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문 시장은 해수유통을 주장하는 서천군의 주장에 대해 "절대 불가"라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 문동신 군산시장 14일 군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문 시장은 해수유통을 주장하는 서천군의 주장에 대해 "절대 불가"라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 장희용

관련사진보기


문동신 전북 군산시장이 금강 하굿둑 철거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충남 서천군에 대해 "일고의 가치도 없는 주장"이라는 강경한 어조를 보이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또한 농·공업용수 확보의 구체적인 대안없이 서천군이 해수유통을 지속적으로 관철할 경우, 군산시도 발생할 문제점을 신중하게 파악해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문동신 군산시장은 14일 오전 군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서천군이 아무런 대안 없이 해수 유통을 주장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며 "일고의 가치도 없는 주장"이라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문 시장은 "해수유통으로 수질개선의 해답을 찾으려는 것은 논리상 맞지 않다"면서 서천군의 주장처럼 해수유통을 할 경우 ▲ 염분 확산으로 인한 농·공업 용수 공급 전면 중단 ▲ 취수장 기능 상실과 그에 따른 취수장 상류 이전 시, 천문학적 비용 발생 ▲ 금강 하류 연안 저지대 침수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문 시장은 구체적으로 해수유통을 할 경우 상류 24km에 소재하고 있는 부여군  양화면 입포리까지 염분 확산으로 농경지에 농업용수 및 산업단지 내 공업용수 확보가 불가능해 전북은 물론 충남 지역의 산업 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강하구와 인접하고 있는 농업용 양수장과 공업용수 취수장이 곧바로 기능을 상실함은 물론, 이로 인해 취수 대체시설 조성 시 막대한 추가 비용 부담이 발생하고, 조위(밀물과 썰물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해면(海面)의 높이)의 영향으로 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금강 주변 저지대 7천ha가 침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시장은 이 같은 이유를 들어 서천군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해수유통을 통한 수질개선이 아닌, 금강 본류와 지천에 대한 수질개선 문제가 선결과제라며 해당 지역 충남 지자체들의 노력을 촉구했다.

문 시장은 "금강 수질 악화의 주요인은 상류인 대전~서천 간 금강 본류와 지류로 유입되는 생활 오·폐수"라면서 금강의 수질 개선을 원한다면 이 지역들에 위치한 지자체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천군은 계속해 해수유통 주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서천군은 금강하구둑으로 인해 금강물과 서해 바닷물의 자연적 흐름이 막히면서 금강하구 일대가 심각한 생태적 오염이 되고 있다며 철거와 해수유통 등 문제해결 방안을 군산측에 제기하고 있다.

양 시군의 갈등이 심화되자 국토해양부는 지난 2010년부터 '금강하구역 생태조사 및 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중간용역 발표에서는 해수유통 등이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발표됐으나 최종 용역결과는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금강하굿둑은 전북 군산시 성산면과 충남 서천군 마서면을 잇는 총 길이 1841m로 1990년 준공됐다. 현재 금강호로부터 군산국가산업단지 등에 33백만 톤의 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군산, 서천, 익산, 김제 등 4만3633ha에  2011년 기준으로 연간 총 340백만 톤의 농·공업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태그:#금강하구둑, #철새, #생태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는 사람입니다. 아름다운 세상, 누군가 그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결코 오지 않을 세상입니다. 오마이 뉴스를 통해 아주 작고도 작은 힘이지만 아름다운 세상을 위해 땀을 흘리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