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주말인 11월 18일 부터 직장동료 여섯 명이 부부 동반하여 전라남도 지역을 여행하였다. 호남 고속도로를 따라 장성의 백양사를 들리고, 순천의 송광사와 선암사. 그리고 화순의 운주사까지 들렸으니 남도 사찰 순례라고 불러도 무리는 아닐듯 싶다.

대부분의 사찰이 낙옆이 지고 겨울로 접어드는 길목이어서인지는 몰라도 한적하여 둘러보기 참으로 편안하였다. 백양사는 조용한 가운데 침묵이 감도는 분위기. 송광사는 얼마전 입적하신 법정스님처럼 소탈하면서도 오랜 역사를 느끼기에 충분했다. 화순 운주사는 이국적인 분위기이면서도 조용함이 묻어나는 듯해서 비수기인 요즘에도 둘러보기 참 좋았다.
..
▲ 백양사 대웅전 ..
ⓒ 양동정

관련사진보기


..
▲ 송광사 대웅전 ..
ⓒ 양동정

관련사진보기


,,
▲ 운주사 대웅전 ,,
ⓒ 양동정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순천 선암사는 정말로 실망했다. 어린시절을 대부분 순천에서 보낸 관계로 자주 찾던 곳이어서 선암사 올라가는 길이라든가, 승선교 주변의 고즈넉하고 고풍스런 분위기를 참으로 좋아했었다. 그래서 이 번 여행에서도 가장 기대를 갖고 들린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의 기대는 입구에 들어서는 순간 산산이 깨어지고 말았다. 들어가는 길 내내 여러개의 현수막과 수백개의 연등이 달려 있어 나무 숲사이 비포장 길을 걷는 기분은 엉망이 되었고, 초등학교 교과서에 까지 소개되기 했던 보물 승선교 주변 역시 마찬가지다.

정말로 운치있는 길이었다.
그런데 현수막과 연등이 매달려 있어 그런 기분을 느낄수 없다.
▲ 선암사 들어가는 길 정말로 운치있는 길이었다. 그런데 현수막과 연등이 매달려 있어 그런 기분을 느낄수 없다.
ⓒ 양동정

관련사진보기


보물인 승선교 위에도 등은 설치되어 있습니다.
▲ 승선교 위에도 보물인 승선교 위에도 등은 설치되어 있습니다.
ⓒ 양동정

관련사진보기


진입로에 있는 전나무가 등을 달기위한 전깃줄로 상처를 입고 있습니다.
▲ 진입로의 전나무 진입로에 있는 전나무가 등을 달기위한 전깃줄로 상처를 입고 있습니다.
ⓒ 양동정

관련사진보기


더욱 가관인 것은 대웅전 앞에 있는 보물 395호인 3층 석탑 주변이나 범종각 주변에는 철제 파이프를 세워 수백 수천개의 등이 달려 있어 대웅전을 바라 볼 수 가없다.
만일에 강한 바람이라도 불어서 설치된 쇠파이프가 넘어간다면 삼층석탑도 넘어가지 않을 까 아슬 아슬하다.
대웅전 앞에 있는 석탑주변이 등을 달기위한 쇠파이프로 둘러 쌓여있어
강한 바람이라도 불면 위험할 것 같은 생각이다.
▲ 보물 395호 삼층석탑 대웅전 앞에 있는 석탑주변이 등을 달기위한 쇠파이프로 둘러 쌓여있어 강한 바람이라도 불면 위험할 것 같은 생각이다.
ⓒ 양동정

관련사진보기


범종각 앞에도 이런 시설물을 설치하고 등을 달아놓았습니다.
▲ 범종각 앞 범종각 앞에도 이런 시설물을 설치하고 등을 달아놓았습니다.
ⓒ 양동정

관련사진보기


연등. 인등값을 알리는 선암사 대웅전앞.
▲ 선암사 대웅전 연등. 인등값을 알리는 선암사 대웅전앞.
ⓒ 양동정

관련사진보기


물론 등을 다는 것은 절측의 마음 이겠지만...종교를 갖고있지 않은 나는 대부분의 절에서는 석가 탄신일인 사월 초파일에 등을 많이 달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떼어내는 것으로 알고있다. 그런데 선암사는 11월인 아직까지 이렇게 많은 등을 달아 두어 선암사를 좋아하는방문객을  전혀 배려치 않는 것 같아 실망했다.

평상시 가장 찾고 싶던 선암사가 가장 가고 싶지 않은 절로 마음속에 자리 매김 할것 같아
몹시 안타깝다.


태그:#선암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앞서가는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의 역할에 공감하는 바 있어 오랜 공직 생활 동안의 경험으로 고착화 된 생각에서 탈피한 시민의 시각으로 살아가는 이야기를 진솔하게 그려 보고싶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