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농구 KBL 외국인선수 제도가 또 다시 술렁이고 있다. 오는 14일 KBL 정기 이사회에서 2012-2013 시즌 외국인 선수 제도 관련 논의가 있을 예정이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10개 구단 중 8개 구단이 외국인 선수 2명 보유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이유로는 ▲외국인 선수 부상 시 대체 선수를 찾기 어려운 점 ▲시즌 중반 이후 외국인 선수 체력부담이 크다는 점을 들고 있다.

외국인 선수 제도를 다시 2명 보유 체제로 바꾸는 것은 근시안적 행정이다. 2명 보유 1명 출전, 신장 제한, 장신자·단신자 구분, 2~3쿼터 1명 출전 등 나열만 해도 복잡하다. 스포츠의 장점과 매력은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전술이 녹아 있는 것이다.

즐겁게 스트레스 풀려는 농구에 자꾸 특별법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 이는 드문드문 농구를 보는 일반적인 수준의 팬들에게는 혼란만 준다. 농구를 막 좋아하려 하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귀찮고 성가시다. 요즘 프로농구 관중 수가 늘고 중계도 많아졌다. 다시 농구에 관심 가지려는 사람에게도 복잡해서 좋을 것 없다.

 

 찰스 로드(왼쪽)과 로드 벤슨

찰스 로드(왼쪽)과 로드 벤슨 ⓒ KBL

 

여자 친구랑 농구장 갔는데 "프로 농구는 외국인 선수를 2명 뽑을 수 있어. 그리고 1명은 키가 195cm를 넘으면 안 되고, 외국인 선수 2명이 키를 합쳐서 400cm를 넘을 수 없어. 아! 2쿼터랑 3쿼터에는 1명만 뛰어야 해"라고 설명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게 무슨 사마귀 유치원 일수꾼 대사인가. 이런 가타부타 붙어 있는 조항들은 사라져야 한다. 트레블링, 3초룰 설명이면 충분하다. 어떻게든 여자 친구 농구팬 만들어서 자주 농구장 데이트 하고 싶은 남자 친구는 곤혹스럽다. 그냥 단순하게 "외국인 선수는 1명 쓸 수 있어"라고 끝내는 게 쉽고 편하다.

외국인 선수 1명 보유로 시즌 중반 이후 체력이 걱정된다는 것도 핑계다. 외국인 선수 2명 데리고 있다고 1군 등록 선수 1명 더 늘지 않는다. 이런 핑계대지 말고 외국인 선수 1명 체력 안배시키려면 국내 후보 선수들 더 출장시키면 된다. KT가 찰스 로드 빼고도 좋은 경기 보여준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외국인 선수 1명한테 더 줄 연봉으로 2군 선수들 지원해서 키우면 된다.

예전과 같은 2명 보유였으면, 올 시즌 KCC 김태홍 같은 선수는 안 나왔다. 애초에 1명 보유로 바꾼 취지가 그렇다. 가능성 있는 선수들에게 기회가 있어야 한다. 그게 장기적인 관점에서 KBL을 살리는 일이다. 선수층을 두텁게 하는 초석이다. 나아가 국제대회 좋은 성적으로 가는 첫 단추다.

외국인 선수 1명 보유는 흥행에서도 크게 문제없다. 지난 시즌 보다 올 시즌 관중 수는 늘었다. 박진감 넘치는 경기도 많아졌다.

 

 KT 윤여권의 슛을 블락 하는 동부 김주성

KT 윤여권의 슛을 블락 하는 동부 김주성 ⓒ KBL

 

지난 6월 XTM 주관으로 열린 '추억의 고연전' 라이벌 매치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전성기가 한참 지난 이상민, 문경은, 김병철, 전희철 등이 뛰었다. 그럼에도 팬들은 열광했고, 오랜만에 각종 포털 사이트 검색에서 농구 관련 단어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팬들은 이런 것을 원한다. 단순히 외국인 선수가 덩크슛 몇 번 더 하는 것 보다 '이야기'와 '감동'에 목말라 있다. NBA급 화려함을 보여줄 거 아니면, 덩크슛은 지금 정도도 괜찮다. 외국인 선수 1명 더 늘린다고 얼마나 더 멋진 장면과 덩크슛이 나오겠나. 외국인 선수 1명 더 데려오고, 트라이아웃제, 드래프트제, 신장제한범위 고민할 시간에 이야기와 감동거리 만들 걱정해야 한다. 

 

KBL은 1997년 출범부터 2명 외국인 선수를 뒀다. 2003-2004 시즌부터 외국인 선수 출전 쿼터를 제한했다. 2008-2009 시즌부터 지난 시즌까지는 2명 중 1명만 뛸 수 있었다. 그리고 올 시즌 최초로 외국인 선수 1명 보유로 변했다. KBL 출범 후 15년 만에 이뤄진 큰 변화다.

15년 했으니, 변화가 가져오는 진통은 당연하다. 올 시즌 겨우 1라운드를 지났다. KBL은 지난 15년 동안 많은 장신 유망주들이 사라졌다. 국제 대회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시는 이유다. 외국인 선수로 흥행 탓 하면서 요리조리 제도 뜯어 고치는 것은 답이 아니다. 팬들이 진짜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야 한다. 이야기 거리와 감동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봐야한다.

덧붙이는 글 | http://blog.naver.com/komsy

2011.11.11 11:40 ⓒ 2011 OhmyNews
덧붙이는 글 http://blog.naver.com/komsy
KBL 외국인선수 KBL용병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