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시각장애인들이 마음으로 봄을 보기를 열망하는 것으 표현한 춤
▲ 봄을 보러 가자 시각장애인들이 마음으로 봄을 보기를 열망하는 것으 표현한 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장애, 장애인, 그런 것들이 이들에게는 별로 닿지 않는 말이다. 10월 28일 금요일. 광주 염주종합체육관 공연장에서 만난 유네스코 예술단의 공연은 많은 사람들에게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난 그 많은 공연 중 단연 이 두 가지 공연을 잊을 수가 없다. 장애를 딛고 일어 선 인간의 위대한 승리. 난 이들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내가 이렇게 칭찬을 하는 이유는 장애는 결코 사람의 인생에서 덧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준 무대였기 때문이다. 한 가지는 시각장애인들이 군무로 보여 준 '봄을 보러가자'는 무용이었다. 또 하나는 양팔을 잃은 황양광의 '싱싱한 새싹'이란 무용이다. 이 두 가지의 무대를 보면서 내내 코끝이 징했다. 그리고 그들에게 큰 박수를 보냈다.

시각장애인들이 무대에 나타낫다. 이들이 짚고 있는 지팡이는 하나의 소도구일 뿐이다
▲ 춤 시각장애인들이 무대에 나타낫다. 이들이 짚고 있는 지팡이는 하나의 소도구일 뿐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허리가 끈으로 연결이 되어잇다. 이 끈이 이들의 마음까지 연결을 해준다
▲ 끈 허리가 끈으로 연결이 되어잇다. 이 끈이 이들의 마음까지 연결을 해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시각장애를 이겨 내 마음으로의 춤

무대 한 편에서 지팡이를 든 사람들이 나온다. 머리에는 모판을 상징하는 소도구를 이고 있다. 그런네 이들에게 특별한 것이 있다. 바로 허리를 줄로 묶어 이었다는 것이다. 허리마다 줄을 묶고 있는 이들은 하나의 마음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들의 허리를 묶은 이 줄들은 서로의 체온이 전해져 한 사람처럼 일사분란하게 움직인다. 동작 하나하나를 이 줄로 느끼는 것이다. 눈이 보이지 않는다고 동작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 이 줄은 이들에게는 생명의 줄인 셈이다. 봄을 보고 싶어하는 시각장애인들. 그들의 마음속에 염원을 닮은 무용이다.

이들은 마음으로 봄을 본다. 그리고 그것을 느낀다. 마음이 닫힌 자들을 질타한다. 마음으로 세상 모든 것을 보라고
▲ 봄을 보러 가자 이들은 마음으로 봄을 본다. 그리고 그것을 느낀다. 마음이 닫힌 자들을 질타한다. 마음으로 세상 모든 것을 보라고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마음으로 봄을 본 시각장애인들. 이들에게 시각장애란 단지 조금 불편할 뿐이다.
▲ 간구 마음으로 봄을 본 시각장애인들. 이들에게 시각장애란 단지 조금 불편할 뿐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이들은 이 줄로 모든 것을 느낀다. 동료의 마음을 느끼고 보이지 않는 봄을 느낀다. 그리고 그것을 마음 속으로 그려보고 있는 것이다. 지팡이를 소고두로 삼아 무대위에서 움직이는 이들. 이들의 움직임을 보면서 시각장애인이라는 것을 잠시 잊게된다. 몸을 묶어 '장애를 예술로 승화시켰다'는 봄을 보러 가자. 아마 이들은 무대 위에서 그 누구보다도 아름다운 봄을 보았을 것이다.

두 팔을 잃은 최고의 무용수

두 팔이 없다. 그러나 그것이 황양광에게는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는다. 다섯 살 때 고압전기를 건드려 두 팔을 잃었다. 황양광은 두 팔을 잃은 슬픔을 이렇게 이야기한다.

'처음엔 아팠고, 다음엔 불편했고, 그 다음엔 슬펐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의지를 배웠습니다. 처음으로 내가 쓴 글씨를 보았습니다. 없어진 팔, 그 자리에서 희망이 새싹처럼 돋아났습니다. 하루가 고스란히 선물같기만 합니다.'

싱싱한 새싹은 황양광의 실제 체험을 무용으로 엮은 것이다. 황양광은 지게질을 하면서 모자를 돌리고 여기저기 새싹들이 대지를 뚫고 나오는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봄을 노래한다.

두 팔을 모두 잃은 황왕광. 그는 중국 최고의 무영수로 박수를 받고 있다
▲ 새싹 두 팔을 모두 잃은 황왕광. 그는 중국 최고의 무영수로 박수를 받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지신의 장애로 인한 체험을 무용극으로 만든 황양광의 '싱싱한 새싹'
▲ 새싹 지신의 장애로 인한 체험을 무용극으로 만든 황양광의 '싱싱한 새싹'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장애는 마음의 병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도 장애를 딛고 훌륭한 예술인으로 살아가는 분들이 있다. 이 두 가지 무대를 보면서 이들에게 장애란, 살아갈 때 남들보다 조금 불편하게 느껴지는 것일 뿐이란 생각을 했다. 많은 세게의 장애인들에게 꿈을 주고 있는 유네스코 평화예술단. 그들이 전 세계를 누비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 꿈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 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장애, #유네스코 평화에술단, #황양광, #무용수, #연주종합체육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