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박원순 "모레 마을버스·지하철타고 서울시청 출근"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오늘(25일), 박원순 서울시장 야권단일 후보는 투표 참여를 적극 독려하는데 집중했다.
ⓒ 최인성

관련영상보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오늘(25일), 박원순 서울시장 야권단일 후보는 투표 참여를 적극 독려하는데 집중했습니다.

25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공동선대위원장단과 기자회견을 한 박 후보는 "마지막까지 흔들리지 않고, 정성을 모아 승리를 지켜야할 것"이라며 시민들에게 내일 투표에 참여해 줄 것을 호소했습니다.

"천만 서울시민 여러분, 투표가 내 삶을 바꿉니다. 투표가 서울을 바꿉니다. 낡은 시대를 연장하려는 세력이 다시 총 결집하고 있습니다. 변화를 바라는 우리 모두가 마지막까지 흔들리지 않고, 정성을 모아 승리를 지켜야할 것입니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도 "박 후보의 승리는 내년 정권교체의 신호탄"이라며 "모두 투표장에 나와 정권교체를 여는 축포를 함께 터트리자"고 강조했습니다.

"박원순의 승리는 이제 내년도 정권교체의 대신호탄이 될 것입니다. 우리 모두 내일 투표장에 나와서 새로운 사회를 여는, 정권교체를 여는 커다란 축포를 함께 터트립시다."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하루 앞둔 25일 박원순 야권통합 후보와 선대위원장단이 서울광장에서 투표참여를 호소하고 있다.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하루 앞둔 25일 박원순 야권통합 후보와 선대위원장단이 서울광장에서 투표참여를 호소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이날 자정부터 일정을 시작해 쉴틈 없이 시민들과 만난 박 후보는 기자회견 후에도 속도를 늦추지 않았습니다. 이후 화곡역, 영등포역, 홍대 앞 등을 찾아 시민들을 상대로 막판 유세를 벌였습니다.

"내일 서울시장이 되면, 여러분들이 서울시장으로 뽑아주시면 저는 모레 첫 출근하면서 마을버스타고 지하철타고 서울시청에 출근하겠습니다. 선거 때나 여기 와서 이런 소리하고, 재래시장 다녀보고, 지하철 타 보고 이런 시장이 아니라 늘 시민들 옆에서 여러분들의 말씀을 듣고 여러분들의 고통을 해결하는 그런 시민의 시장, 시민이 주인 되는 그런 시장이 되겠습니다. 여러분!" - 박원순 서울시장 야권단일 후보

오후에 유세를 펼친 홍대 앞에서는 젊은이들과 인증샷을 찍으며 투표 참여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10명에게 투표참여 문자하고, 10명에게 투표참여 전화하기'라는 내용의 '텐텐 캠페인'에는 많은 젊은이들이 박 후보와 사진을 찍기 위해 몰렸습니다.

10.26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를 하루 앞 둔 25일 오후 박원순 야권단일 후보가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앞에서 막판 유세를 펼친 후, 젊은층 유권자들에게 투표참여를 독려하며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10.26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를 하루 앞 둔 25일 오후 박원순 야권단일 후보가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앞에서 막판 유세를 펼친 후, 젊은층 유권자들에게 투표참여를 독려하며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 최인성

관련사진보기


홍대 앞 유세에는 박 후보와 함께 야권단일 후보 경선을 치렀던 박영선 민주당 의원, 최규엽 민주노동당 새세상연구소장을 비롯해 한명숙 전 총리,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 심상정 전 진보신당 대표 등이 참석하며 야권에서도 막판 총력 지원을 더했습니다.

특히 박 후보의 선대위에서 멘토로 활동하고 있는 신경민 전 문화방송 앵커도 유세현장에 나와 청년층의 투표참여를 호소했습니다.

"내일 투표장에서 뵙겠습니다. 제가 트위터에 썼듯이 투표가 모든 것을 이루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투표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는 시작입니다. 그리고 기본입니다. 여러분에게 이 기본을 요구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이 요구를 들어주시겠습니까. (시민들 : 네)" - 신경민 전 문화방송 앵커

나경원 한나라당 후보와 박원순 야권단일 후보, 두 후보가 10·26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를 하루 앞두고도 박빙의 승부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내일 투표율이 당락을 좌우할 최종 변수로 남았습니다.


태그:#박원순, #나경원, #서울시장, #선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