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강정마을에서 바다로 가는 길엔, 해군기지 공사를 강행하기 위한 높다른 가림막이 설치되어 있다.
▲ 강정마을 강정마을에서 바다로 가는 길엔, 해군기지 공사를 강행하기 위한 높다른 가림막이 설치되어 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강정포구에서 바라본 해군기지 공사현장, 하나뿐인 구럼비 바위를 마구 훼손하고 있다. 저 멀리 한라산 백록담이 보이는 맑은 날, 차라리 울지 못하고 두 눈 부릅뜨고 강정바다가 유린당하는 것을 지켜보고자 하는 것이 아닐까?
▲ 강정마을 강정포구에서 바라본 해군기지 공사현장, 하나뿐인 구럼비 바위를 마구 훼손하고 있다. 저 멀리 한라산 백록담이 보이는 맑은 날, 차라리 울지 못하고 두 눈 부릅뜨고 강정바다가 유린당하는 것을 지켜보고자 하는 것이 아닐까?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해군기지, 원전. 그것이 진정 우리에게 평화를 가져오고 초록성장을 가져 온다고 생각하는가?
▲ 강정마을 해군기지, 원전. 그것이 진정 우리에게 평화를 가져오고 초록성장을 가져 온다고 생각하는가?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저 장벽은 바다와 나를 갈라놓았다. 마을을 갈라놓았고, 나라를 갈라놓았다.
▲ 강정마을 저 장벽은 바다와 나를 갈라놓았다. 마을을 갈라놓았고, 나라를 갈라놓았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해군기지 반대 깃발이 바람에 흩날리고 있다. 깃발의 몸짓이 외롭다.
▲ 강정마을 해군기지 반대 깃발이 바람에 흩날리고 있다. 깃발의 몸짓이 외롭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그럼에도 여전히 바다엔 바람이 불고, 파도가 치고, 바다에 나간 배들은 고기를 잡는다. 이 평화로움이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까?
▲ 강정바다 그럼에도 여전히 바다엔 바람이 불고, 파도가 치고, 바다에 나간 배들은 고기를 잡는다. 이 평화로움이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까?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파도를 막아주는 방파제, 그러나 그 방파제도 강정마을을 유린하는 제국주의의 폭압을 막지는 못했다.
▲ 강정마을 파도를 막아주는 방파제, 그러나 그 방파제도 강정마을을 유린하는 제국주의의 폭압을 막지는 못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눈이 부셨다. 시월의 어느 날, 이렇게 빛나는 푸른 바다를 보면서 그 마음이 흥겨우면 얼마나 좋을까? 시리고 아픈 날이다.
▲ 강정바다 눈이 부셨다. 시월의 어느 날, 이렇게 빛나는 푸른 바다를 보면서 그 마음이 흥겨우면 얼마나 좋을까? 시리고 아픈 날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누가 이 평화로운 바다를 유린하는가?
▲ 강정바다 누가 이 평화로운 바다를 유린하는가?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깃발이 외로이 바다에 흩날리고 있다. 그리고 등대도 외로워 보인다.
모든 것이 그렇게 외로워 보인다.
▲ 강정포구 깃발이 외로이 바다에 흩날리고 있다. 그리고 등대도 외로워 보인다. 모든 것이 그렇게 외로워 보인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서늘한 시월의 바람이 분다.

'아, 제주구나! 맞아, 이것이 제주의 바람의 맛이야!'
몸이 먼저 느끼고 마음에게 말을 건낸다.
"여기 제주도야!"

그러나 마음은 서럽기만 하다.
'아니, 하필이면 이렇게 날씨가 맑고 바람이 좋을게 뭐람?'하면서도, 비바람이 불었더라면 더 슬펐을 것이라는 것을 알기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강정바다를 바라본다.

나 한 사람이 이곳에 와서 기도를 한다고, 서러워 한다고 바뀔까?
이미 구럼비 바위는 유린 되고 있었다. 그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무기력함에 마음이 편치않다. 이건 입장 차이의 문제가 아니다. 안보에 대한, 혹은 진보나 보수라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할 사안이 아닌 것이다. 물론 돈의 문제도 아니다.

그냥 바다, 구럼비 바위, 거기에 기대어 사는 것들의 입장에 서면 너무도 분명한 답이 있다. 그 해답을 애써 피해가며, 오답을 정답이라고 우기고, 기어이 오답이 정답이 되는 현실을 목도하면서도 그냥 그렇게 무기력하게 바라만 본다.

여전히 불어오는 바람, 파도, 햇살에 부서지는 시월의 바다….
그 모든 것이 서럽다.

그래, 아파도 외면하지 말자. 외면하고 싶어도 담아 두자.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16일 제주 강정마을에 다녀와 작성했습니다.



태그:#강정마을, #해군기지, #구럼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