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남 기념물 제70호로 지정이 된 장성의 요월정원림. 노송과 각종 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 요월정원림 전남 기념물 제70호로 지정이 된 장성의 요월정원림. 노송과 각종 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남 장성군 황룡면 황룡리에 가면, 전라남도 기념물 제70호로 지정이 된 '요월정원림'이 있다. 500~600년이 지난 소나무들이 여기저기 서 있는 이 숲은, 그야말로 '원림(園林)'이라는 명칭이 부끄럽지 않은 곳이다. 아니 그보다 '원시림(原始林)'이라고 표현함이 옳을 듯도 하다. 그만큼 노송과 각종 나무들이 어우러진 숲이다.

5월 22일, 장성군의 몇 군데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찾아간 요월정원림. 휴일이라 그런지 숲 앞 황룡강가에는 많은 사람들이 쉬고 있었다. 황룡강을 앞에 두고 서 있는 이 숲은 약 4,500평 규모로 그리 큰 숲은 아니다. 그러나 숲 안으로 들어가면, 아주 오랜 옛 이야기를 들을 만한 곳이다.  

아래로는 황룡강이 흐르고 있고, 숲 속에는 소나무와 배롱나무, 자미나무 등이 숲을 이룬다
▲ 숲 아래로는 황룡강이 흐르고 있고, 숲 속에는 소나무와 배롱나무, 자미나무 등이 숲을 이룬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김경우가 지은 요월정. 숲 속에 황룡강을 내여다보며 서 있다
▲ 요월정 김경우가 지은 요월정. 숲 속에 황룡강을 내여다보며 서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숲과 강과 정자가 한데 어우러지다

길을 지나다가 이름이 생소하여 들린 요월정원림. 사실은 이 숲보다는 정자가 있다는 말에 눈이 번쩍 뜨였다. 주차장에 차를 대고 숲길로 들어서니, 초여름 더위를 가시게 하는 바람과 숲의 내음이 코를 간질인다. 숨을 한 번 크게 들이쉬고 천천히 계단을 오른다. 답사를 할 때는 늘 바삐 걸음을 옮기지만, 이곳은 그렇게 바쁜 걸음을 걷게 하지 않는다.

도로변에 가까이 있으면서도, 숲 안으로 들어서면 깊은 산 속에 들어온 듯하다. 산책로를 따라가다 보니, 황룡강을 굽이보고 있는 노송들이 보인다. 아래쪽을 보니 그 굵기가 꽤나 됨직하다. 이곳 소나무들은 수령이 500~600년이 되었다고 한다.

요월정은 당대의 명사들이 찾아 글을 남긴 곳이다
▲ 현판 요월정은 당대의 명사들이 찾아 글을 남긴 곳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요월정은 겹처마 팔작지붕에 세 칸으로 꾸몄다. 활주를 내어 지붕을 받치고 있다
▲ 요월정 요월정은 겹처마 팔작지붕에 세 칸으로 꾸몄다. 활주를 내어 지붕을 받치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500년 가까이 된 요월정, 살림집처럼 꾸며

이 숲 안에는 조선 명종 때에 공조좌랑을 지낸 요월정 김경우(1517~1559)가, 말년에 낙향하여 지은 정자가 있다. 산수를 벗하며 음풍농월하기 위해 건축한 요월정이 바로 그 정자다. 앞으로는 황룡강이 흐르고, 주변에는 수령 100년이 지난 자미나무와 배롱나무가 서 있다. 아마도 이 요월정은 1550년 이후에 지어진 듯하다.

요월정은 1811년에 1차로 중건을 하였으며, 1925년 후손 김계두가 중건하였다. 요월정은 많은 시인묵객들이 찾아들었던 곳이다. 당대의 명사인 하서 김인후, 고봉 기대승, 송천 양웅정 등이 이곳에서 시를 읊고 글을 남겼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의 요월정은 정자이기 보다는 차라리 살림집처럼 꾸며 놓았다. 이곳에서 노후를 보내고자 한 김경우의 마음이었을 것이다.

방을 꾸민 앞으로는 툇마루를 내달아 앞으로의 경치를 구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툇마루 방을 꾸민 앞으로는 툇마루를 내달아 앞으로의 경치를 구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의 요월정. 활주를 내달아 측면이 세 칸은 듯하나, 실은 두 칸이다
▲ 요월정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의 요월정. 활주를 내달아 측면이 세 칸은 듯하나, 실은 두 칸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정자는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꾸미고 사방에 활주를 달아 지붕을 받치고 있다. 측면으로 보면 앞으로 툇마루를 놓아 세 칸인 듯 보이나, 전체적인 넓이는 두 칸 정도이다, 다만 처마를 앞으로 내밀어 세 칸으로 보인다. 요월정은 전면은 모두 문을 달았다. 두 개의 방으로 들인 요월정은 '당(堂)'에 가까운 살림집의 형태다.

'황룡은 조선제일, 한양은 천하제일입니다'

이곳에 전하는 말로는 김경우의 후손인 김경찬이, 이 정자의 경치를 찬양하여 '조선 제일 황룡리'라 현판하였다 한다. 이에 나라에서 장성 황룡이 조선제일이면, 한양은 어떠하냐는 질문을 해왔다. 자칫 대답을 잘못하면 목숨도 잃을 판이다. 김경찬은 바로 답을 내었다.

요월정원림 안에는 수령이 500~600년이 된 노송들이 서 있다. 이 숲의 역사를 말하고 있다
▲ 노송 요월정원림 안에는 수령이 500~600년이 된 노송들이 서 있다. 이 숲의 역사를 말하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요월정 앞으로는 황룡강 비탈에 배롱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다
▲ 배롱나무 요월정 앞으로는 황룡강 비탈에 배롱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황룡은 조선제일, 한양은 천하에 제일이다.'

그는 이 답으로 화를 면했다고 한다. 정자 앞으로는 황룡강이 흐르고, 주변은 오래된 노송과 숲으로 우거진 곳. 이곳에서 시를 읊고 자연을 벗 삼아 살아갔던 사람들. 우리 선조들은 이렇게 자연과 하나가 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숲길을 천천히 걸어본다. 이 시간에는 답사의 바쁜 걸음도 잊고 싶다. 아래쪽으로 흐르는 황룡강에 낚싯대를 늘여놓고, 세월을 낚고 싶다. 아마도 이 노송들도 그런 마음에 강 쪽으로 가지를 두었는가 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요월정원림, #장성, #황룡강, #기념물 제70호, #김경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