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과학벨트 거점지구에서 세종시가 제외된 가운데 안희정 충남지사가 "정부 결정을 존중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안 지사는 16일 오후 3시 30분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연 기자간담회를 통해 "아쉬운 점은 있지만 정부의 최종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안 지사는 "거점지구에서 세종시가 제외된 아쉬움은 잠시 접고 과학계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과학벨트가 대한민국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협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안 지사는 "정부는 입지선정 과정에서 신의 없는 국정운영으로 국민적 불신과 지역갈등을 자초한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며 "국민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고 반성할 것"을 촉구했다.

 

"정부, 불신과 지역갈등 초래한 점 책임져야"

 

그는 또 "세종시 성공 건설의 책임은 적적으로 정부에 있다"며 "세종시가 세계적인 명품도시로 건설될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을 조속히 마련 시행할 것"을 강조했다.

 

안 지사는 향후 계획에 대해 "17일 충청권 3개 시·도지사가 모여 충청권 공조협력방안과 관련한 견해를 밝히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충청권 3개 시·도지사는 17일 오전 10시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과학벨트 입지선정에 따른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안 지사는 "그동안 이 사업이 과잉 포장돼 왔다고 지적해 왔었다"며 "이후에도 분산과 나눠먹기로 국정이 운영되지 않도록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이날 과학벨트 거점지구를 대덕단지로 선정하고 핵심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대형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게 된다고 밝혔다. 또 이를 뒷받침할 기능지구로는 대덕단지와 인접한 청원(오송·오창)·연기(세종시)·천안 등이 지정됐다.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50개 연구단 가운데 절반가량은 원칙대로 거점지구(대덕단지)에, 나머지는 최종 5개 후보지에 들었다가 탈락한 광주·경북권(대구·포항·울산)에 집중 배치된다. 본원 외 연구단(사이트랩)의 상당수가 이 지역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기대(UNIST) 등을 포스트로 들어설 전망이다.


태그:#과학벨트, #거점지구, #안희정, #충남도, #세종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