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사지에는 모두 다섯 점의 보물이 있다. 좌상으로 조성한 두 점의 석불과 두 점의 광배(조각에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원광) 및 대좌(불상을 올려놓는 대), 그리고 전각 앞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이 다섯 점의 문화재가 모두 보물로 지정될 만큼 물걸리사지의 문화재는 품위가 있다. 물걸리사지에는 보물 제541호 석조여래좌상을 비롯하여, 보물 제54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543호인 불대좌, 보물 제544호 불대좌 및 광배, 보물 제545호인 3층 석탑이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문화재를 보더라도 물걸리사지에 있던 옛 절은 상당한 규모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금은 절은 흔적이 없고, 전하는 말에는 '홍양사터'라고 하지만 그것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1967년 4월에 이 절터를 발굴하면서,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금동여래입상 1구를 비롯하여, 철불 조각, 청자편, 수막새와 암막새 기와와 사기편 등을 발견했다.

 

 

광배만으로도 보물급인 석조물

 

보물 제544호인 물걸리사지 불대좌와 광배는, 석불이 없이 남은 석조물만으로도 능히 아름답다. 어떤 석불을 모셨는지는 모르나, 현재 불상은 없고 광배와 대좌만 남아 있다. 위가 뾰족하게 조형된 완전한 배 모양의 광배에는, 가운데에 연꽃 무늬와 덩굴 무늬를 새겨넣었다. 가장자리에는 불꽃 모양이 섬세하다. 

 

이 배 모양의 광배는, 불상을 앉히면 그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화려한 연꽃과 덩굴 문양이 에워싸게 조각하였다. 그리고 석불로 가려지는 부분에는 꽃을 조각하였다. 이 꽃은 커다란 화병에 꽃혀 있는데, 8잎을 가진 꽃 한 송이로 조성하였다. 광배의 윗부분과 좌우 등 에는 9곳에 작은 부처인 화불을 새겨넣었다.

 

이 화불들은 모두 손 모양을 달리하고 있는 게 특징이다. 작은 화불에도 두광(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부처와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표현하였다. 섬세하게 돋을새김으로 처리한 광배는, 그 하나만 갖고도 보물급의 가치를 갖고 있다는 생각이다.

 

작은 귀꽃이 아름다운 대좌

 

광배를 받치고 있는 대좌는 모두 3단으로 구성된 8각 모양이다. 맨 아랫단은 아래로 향한 연꽃 무늬가 각 면에 새겨져 있고, 모서리에는 작은 귀꽃이 있다. 그 밑으로는 안상을 새겨넣은 팔각의 밑면이 있다. 앙증맞게 조각한 귀꽃에 눈길이 머문다. 일반적으로 석등 등의 귀꽃이 큼지막하게 돌출된 데 비해, 이 대좌의 귀꽃은 있는 듯 없는 듯 수줍음을 타는 듯하다.

 

중간 팔각의 면에는 불상과, 악귀를 쫓아준다는 신장상이 새겨져 있다. 밑은 평평하고 위는 넓고 둥글게 깎아내면서, 그 안에 돋을새김으로 불상과 신장상을 조각하였다. 대좌는 아랫부분과 윗부분은 크게 조성하고 중간부분은 잘록하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균형감이 있도록 하였다. 

 

대좌의 맨 윗부분은 연꽃이 활짝 핀 반원형 모양이고, 연꽃 안에 작은 꽃무늬가 새겨져 있어 화려함을 더해준다. 이 광배 및 대좌는 9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석조물에서 보이는 양식과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물걸리사지 불대좌 및 광배. 그동안 많은 광배를 보아왔지만, 물걸리사지에 남아있는 광배처럼 아름다운 것은 그리 흔하지가 않다. 지난 4월 10일 세 번째로 찾아간 물걸리사지. 그 많은 보물들을 볼 때마다 더욱 감탄을 자아내게 된다.


태그:#물걸리사지, #불대좌 및 광배, #보물, #홍천, #통일신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