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바야흐로 서바이벌 시대다. 국민적 호응을 이끌어낸 가수 오디션 프로그램 이후 방송에도 무한 경쟁의 꽃이 피었다. 가수와 더불어 디자이너, 모델, 탤런트 등 최후의 1인이 되기 위한 오디션 프로그램은 끝을 알 수 없는 길을 가고 있다.

 

최근에는 가수들끼리 경쟁하는가하면 MBC 신입 아나운서 채용 과정까지 전파를 타고 있다. 지상파, 케이블 모두 앞다퉈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봇물처럼 내놓은 결과다. 현재 진행되는 서바이벌 예능이 하나둘씩 마무리되면 지난해 큰 성공을 거둔 '슈퍼스타K'의 다음 시즌이 시작될 것이다. 2011년 한 해도 브라운관은 오디션으로 가득할 예정이다.

 

서바이벌 형식은 시대상을 반영함과 동시에 자극적인 요소를 담고 있어 시청자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무한 경쟁에 내던져진 지원자들을 지켜보고 있노라면 불편한 마음을 감출 길이 없다. 탈락의 위기 앞에 내던져진 개인은 눈물을 쏟아내기 일쑤고 심사를 맡은 사람들도 자칫 구설에 오르내리기 십상이다. 과연 서바이벌 예능을 편안한 마음으로 즐길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불필요한 경쟁을 부추기는 예능이 문제

 

서바이벌이라는 냉혹한 방식을 아무리 예능으로 포장해도 결국 본질은 무한 경쟁이다. 그 경쟁의 과정과 결과를 마음 편히 보고, 또 웃어넘길 수 없는 이유다. 지금 쓰나미처럼 몰려든 서바이벌 프로그램 중에서 특히 MBC '나는 가수다'의 메시지는 위험천만하기까지 하다. 프로그램은 각자 특색을 살려 그 실력을 인정받은 가수들끼리 경쟁하는 설정이다. 그리고 대중은 평가단이라는 이름으로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가수의 등수를 매기는 작업에 동원된다. 서열화할 수 없는 것을 줄 세우는 작업, 줄 세우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무의미한 싸움을 하고 있는 것이다. 방송을 통해 시청자들은 등수를 운운하며 상대를 압박하는 사회의 서열화 작업에 익숙해져만 간다.

 

 

경쟁 없는 사회를 만들자는 소리가 아니다. 다만 경쟁하지 않아도 되는 일들까지 경쟁하도록 부추기는 일은 없어야 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경쟁은 그 과정을 즐길 수도, 그 결과를 공감하기도 어려운 법이다. 불가능한 서열화를 진행하다 보니 꼴찌를 하게 되는 사람을 두고 '충격적인 결과'라고 할 수밖에 없다. 억지스러운 서바이벌 구도로 빚어진 '충격'로의 귀결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나는 가수다'의 지난 방송분에서는 그러한 서바이벌 체제의 불편한 심경을 고스라니 전하기도 했다.

 

더 이상 개인을 내몰아선 안돼

 

또 한 가지의 문제는 한 개인을 경쟁의 무대에 내모는 것이다. 경쟁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모르는 이는 없다. 하지만 방송에서 다루는 개인 경쟁의 구도는 그 처절한 싸움을 증폭시키는데 한 몫 하게 된다. 즉 승자에게만 모든 공이 돌아가고, 패자에게는 그 원인을 자질의 문제로 삼게 만든다. 그래서 당사자도 보는 이도 초조할 수밖에 없다.

 

 

개인이 의지할 곳이라고는 자신밖에 없는 냉혹한 무대에 홀로 세우는 일 자체가 불편한 사실이다. 하지만 방송사 입장에서는 예능에서 경쟁 요소를 포기하기란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개인 경쟁보다는 팀 경쟁으로 가는 것이 옳다. 이른바 '지속가능한 경쟁'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스포츠 경기가 하나의 예다. 스포츠 역시 경쟁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하지만 스포츠는 팀이라는 집단적 경쟁 문화를 통해서도 대중을 충분히 열광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능에서는 KBS '1박2일'이 출연자들끼리 경쟁의 끈을 놓지 않으면서도 항상 '팀 스피릿(Team Spirit)'을 활용해 재미있는 장면들을 연출하고 있다. 굳이 개인을 따로 분리해서 경쟁시켜야만 그 재미가 극대화 된다고는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집단적 경쟁 구도는 시청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재미를 줄 수 있다.

 

대중을 위로하는 예능을 기대

 

대중들은 불과 얼마 전만 하더라도 가수가 되기 위해 힘겹게 경쟁하던 모습을 지켜봤다. 이제는 이미 가수가 된 사람들조차 경쟁하는 꼴을 봐야 한다. 탈락하지 않기 위해서 혼자 살아남기 위해서 싸우고 또 싸워야 하는 비극은 TV에서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다. 중․고등학생들은 수능이라는 벽 앞에서 홀로 외로운 싸움을 하고 있다. 대학생들은 취업이라는 더 높은 벽을 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이 모든 경쟁은 오로지 개인이 이겨내야 하는 현실이다. 방송에서까지 이러한 슬픈 현실을 다시 각인시켜줄 필요는 없다. 예능 방송은 오히려 즐길 수 있는 경쟁을 통해 대중에게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개인블로그(http://www.moonilyo.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나는 가수다, #서바이벌, #서열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