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이 당초 약속과 다르게 공모를 통해 입지를 선정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충청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대전·충남·충북이 공동으로 구성키로 한 '과학벨트 조성 충청권 협의회'에 세종시 수정안 찬성론자들이 포함되어 논란이 일고 있다.

 

충청권 3개 시·도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이끌어 내기 위해 오는 17일 충북도청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충청권 추진협의회'를 출범 시킬 예정이다. 이 협의회는 3개시·도에서 각각 11명씩 33명을 위원으로 위촉하고, 3개 시·도지사가 공동위원장을 맡을 예정이다.

 

문제는 대전시가 위촉한 위원 11명 중 일부 인사들이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려다가 충청권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쳐 무산된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했던 인사들이라는 것.

 

가장 대표적인 인사는 대전 상공회의소 송인섭 회장이다. 송 회장은 지난해 2010년 1월 16일 유성호텔에서 열린 대덕특구 정부출연 기관장 및 상공인과 정운찬 전 총리와의 만찬간담회에 참석해 "대전산업단지, 대덕산업단지와 대덕테크노밸리 등 3개 지역 산업단지가 모두 수정안 쪽으로 결의했다"며 수정안 찬성을 적극 지지한 인물이다.

 

그는 또 지난해 국회에서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되자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매우 아쉬운 선택"이라고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었다.

 

또한 이상윤 대전사랑시민협의회 회장도 지난해 2월 25일 대전·충남지역 기독교계 인사 350여명이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지지 의사를 밝히는 성명서를 발표하는데 자신의 이름을 올린 인사다. 이들은 성명에서 "원안보다 수정안이 국가적으로나 충청지역을 위해서나 유리하다"고 주장했었다.

 

이 밖에도 또 다른 인사들도 이명박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했던 것으로 알려져 '부적절한 위촉'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즉, 이명박 대통령이 자신의 대선 공약을 어기고 세종시를 수정하려할 때는 지지입장을 표명하던 인사들이 이제 와서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이라는 대통령 공약에 대해 '약속을 지키라'고 주장할 자격이 없다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세종시 원안 건설'이라는 충청권 주민들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이명박 정권의 편에 서서 주민 설득에 나섰던 인사들이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된 지 채 1년도 되지 않아 이명박 정권에 맞서서 과학벨트를 지켜내는 일에 앞장선다는 것은 '몰염치한' 행태라는 것.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민주당대전시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세종시 수정론자들의 뻔뻔한 변신을 경계한다"며 "빠른 시간 내에 이들을 교체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은 성명에서 "지난해 MB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대대적 홍보에 나섰을 때 찬성 견해를 밝혀 지역 여론을 호도하려던 인물들이 이제 와서 과학벨트 사수 투쟁의 선봉에 서겠다는 철면피 변신"이라며 "이는 곧 일제강점기 친일에 앞장서다 해방 후 반공을 기치로 민족주의자로 변신한 대한민국 일부 기득권층의 모습 그대로"라고 비난했다.

 

민주당은 또 "이들이 어떻게 대전시를 대표하는 인물들로 선출되었는지 과정도 투명하게 밝혀져야 한다"며 "대전시는 빠른 사태 파악과 함께 협의회 출범식을 늦추더라도 첫 단추를 올바르게 꿰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행정도시정상추진 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논평을 발표하고 "대전시는 당장 해당 인사를 교체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논평에서 "충남과 충북의 인사들이 자연스럽게 세종시 사수투쟁에 나선 인사들로 구성된 것에 비해 유독 대전만 시민단체도 제외하고 수정안 찬성인사들로 구성했는지 저의가 무엇인지 궁금하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는 사실 행정도시 백지화를 위해 충청권에 미끼로 던져진 대통령의 공약이었다"며 "그러나 수정안이 좌절되자 이 정권은 뻔뻔스럽게 법안에서 충청권 입지를 명기하지 않더니 청와대비서관까지 나서 전국 공모 입장을 흘리는 등 세종시 죽이기 당시의 비열한 수법이 재연되고 있어 공분을 사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이처럼 정권의 정치보복성 정책 빼돌리기를 막기 위한 조직에 수정안 찬성론자를 세우는 것은 과학벨트를 포기하자는 것이며 전임 시장 때부터 과학벨트 유치를 위해 전력투구한 대전시민의 염원을 스스로 짓밟는 행위"라면서 "대전시는 당장 해당 인사를 교체하여 제대로 된 과학벨트투쟁을 할 수 있도록 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이 같은 지적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세종시 수정안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별도의 사안으로 이 두 사안을 연계해 생각하지 않았다"며 "협의회 위원으로 위촉된 분들은 과학기술계와 경제계 인사, 도시계획 전문가, 시민단체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분들"이라고 말했다.


태그:#과학벨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대전시, #과학벨트추진협의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