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롭게 의혹이 제기된 민간인 불법사찰 등에 대한 국정조사·특검 실시를 놓고 파행 중인 예산국회를 정상화하기 위해 여야 원내대표가 21일 협상을 벌였지만 돌파구를 마련하진 못했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와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30분간 대화를 나눴지만 결과는 지난 19일 협상 때와 '대동소이'했다.

 

양 원내대표는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22일 오전 상대 당의 입장에 대해 당 지도부와 논의하겠다"는 입장만 밝혔다. 이처럼 여야 원내대표 회동이 성과 없이 끝나면서 예산국회 파행상태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쳐지고 있다.

 

김 원내대표는 "여러가지 고민은 같이 하되 예산만큼은 정해진 일정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참여해달라고 간곡하게 요청했다"며 "야당으로선 야5당이 합의한, '차명폰(대포폰)'에 관련한 국정조사를 요구했고 거기에 대해선 당 지도부와 상의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도 "예산(심사)에 대해 민주당은 국회를 떠날 생각은 없다"며 "김무성 원내대표께서 국정조사에 대해 당 지도부와 상의하겠다고 한 만큼, 예산심사에 대해서 우리도 지도부와 상의하겠다, 좋은 방향으로 풀어가자고 했다"고 말했다.

 

양 원내대표 모두, '극한 대치'로 가는 상황만큼은 피하자는 데 의견을 모은 셈이다. 박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 "지금까지 제가 한 번도 싸우지 않고 대화도 잘했고 (여당과) 협력하면서 (목적도) 잘 이뤄냈다"며 "제가 말한 내용이 잘 풀리지 않겠나 하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어, "손학규 대표가 농성을 진행 중인 만큼 오늘 상의를 드린 뒤, 내일(22일) 오전 8시 최고위, 9시 의원총회 개최를 예정하고 있다"며 당의 최종입장이 22일 결정될 것임을 밝혔다.

 

그러나 김 원내대표는 "오늘 민주당과의 대화는 더 이상 진전이 없을 것"이라며 섣부른 관측을 경계하고 나섰다.

 

그는 또 "오후엔 권선택 자유선진당 원내대표와 만나기로 돼 있다"며 자유선진당과의 공조 아래 예산심사를 진행할 수 있음을 넌지시 내비쳤다. 또 22일 의원총회 개회 여부에 대해서도 "당 지도부와 상의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예산정국 파행상태의 '분수령'은 22일 열릴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 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나라당은 예결위 종합정책질의를 단독으로라도 진행해 법정시한(12월 2일)까지 예산심사를 끝마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지난 19일 손피켓 시위 등을 통해 의사일정 진행을 막아온 민주당 역시 '국정조사·특검 선(先) 수용' 없이 예산심사를 진행할 수 없단 강경한 태도를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한편, 이춘석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8일 한나라당 원내지도부를 불러 내달 2일까지 예산을 통과시키라고 주문했다"며 "또 다시 국회를 전쟁터로 만들라는 하명"이라고 비판했다.

 

또 이 대변인은 "민간인 불법사찰·대포폰 게이트 국정조사와 특검 수용 여부로 대치된 상황에서 여당은 어떠한 재량권도 없고 청와대는 마이동풍이다"며 "예산정국이 또 다시 파행을 맞는다면 그에 대한 책임은 청와대에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주장했다.

 


태그:#민간인 불법사찰, #박지원, #김무성, #예산국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