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사 보강 : 21일 오후 6시 ]

 

민간인 불법사찰·청와대 대포폰 등에 대한 국정조사와 특검 도입을 놓고 여·야 대치가 격화되는 가운데 '열쇠'를 쥐고 있는 이 중 하나로 꼽히는 이재오 특임장관이 국정조사·특검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거듭 내놓고 있다. 이처럼 이명박 대통령의 결단을 이끌어낼 수 있는 실세' 장관이 강경한 입장을 취하면서 예산국회 파행 정국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재오 장관은 지난 19일 트위터를 통해 "오늘 총리와 전 국무위원들과 정부 기관장들이 국회에서 (시간을)허비했다"면서 "야당이 방해(했기)때문이다, 안타깝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다음 날인 20일 "여의도만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하다"며 "정치는 분명 지력을 다한 것 같다, 이젠 객토를 해야 할 것 같다"고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 

 

'청와대 대포폰' 의혹에 이어, 국정원 파견 청와대 행정관이 정세균 전 민주당 대표와 김성호 전 국가정보원장 등을 사찰했다는 의혹이 새롭게 제기되는 등 갈수록 확산되고 있는 민간인 불법사찰 의혹을 여·야 간의 정쟁(政爭)으로만 바라보고 있는 것.

 

또한 이 장관이 쓴 '객토(客土 : 토질을 개량하기 위하여 다른 곳에서 흙을 파다가 논밭에 옮기는 일)'라는 단어에 정치권은 주목하고 있다. 현재 여·야 모두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청목회) 입법로비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 대상으로 지목되는 등 '기획사정설'이 나도는 민감한 상황인데다, 이 장관이 G20 정상회의 이후로 미뤄둔 '개헌 논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그가 쓴 '객토'가 곧 본격적인 정계개편을 의미한다는 분석도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앞서도 이 장관은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를 만나 "이미 검찰에서 다 수사했던 내용"이라며 야당의 국정조사·특검 요구를 거부한 바 있다.

 

이 장관은 21일 MBC <뉴스투데이>와 인터뷰에서도 민간인 불법사찰·청와대 대포폰에 대한 재수사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확실히 밝혔다. 여당 일각에서 국정조사·특검이 아닌 재수사로 이 문제를 짚고 넘어가야 한단 주장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재수사마저 안 된다는 입장을 피력한 셈.

 

이 장관은 "우선 좀 정정해야 될 것이 대포폰이 아니라 차명폰"이라며 "대포폰이 아닌 것이 신원이 확실하고 또 주고받은 사람이 친한 친구, 지인 관계였기 때문에 그것이 범죄를 구성하거나 은폐할 만한 근거가 없다는 것이 당국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검찰이 조사를 해봤더니 아무것도 아니"라며 "아무것도 아닌 것을 갖고 다 조사하라고 하는 것은 애매하다"고 말했다.

 

여·야 대치 정국, 22일 기점으로 격화될 듯... 김무성·박지원, '절충점' 찾을까

 

한편, 여·야 대치 상황은 오는 22일을 분수령으로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22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를 시작으로 예산심사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지만 민주당은 민간인 불법사찰 등에 대한 국정조사·특검이 이보다 먼저 수용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이주영 예결위원장(한)이 21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예결특위 종합정책질의에 민주당이 안 들어온다고 해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이번 주까지 부별 심사를 마치고 계수조정소위도 구성할 방침"이라고 '단독 심사' 방침을 밝힌 상황이다.

 

이처럼 여·야가 타협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21일 오후로 예정된 여·야 원내대표 간의 회동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와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접촉을 갖고 현재의 대치 정국을 풀기 위한 절충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난 20일 회담에서도 서로의 입장 차만 확인하고 돌아선 바 있어 타협 전망은 높지 않다.


태그:#이재오, #불법사찰, #대포폰, #예산국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2007~2009.11)·현안이슈팀(2016.1~2016.6)·기획취재팀(2017.1~2017.6)·기동팀(2017.11~2018.5)·정치부(2009.12~2014.12, 2016.7~2016.12, 2017.6~2017.11, 2018.5~2024.6) 활동.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